필립 워런 앤더슨

미국의 물리학자 (1923-2020)
(필립 앤더슨에서 넘어옴)

필립 워런 앤더슨(Philip Warren Anderson, 1923년 12월 13일 ~ 2020년 3월 29일)은 미국물리학자이자 노벨 상(1977) 수상자이다. 그는 앤더슨 국재반강자성, 고온 초전도체 연구에 공헌을 했다.

Picto infobox character.png
필립 워런 앤더슨 Nobel Prize.png
Philip Warren Anderson
Andersonphoto.jpg
출생 1923년 12월 13일(1923-12-13)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사망 2020년 3월 29일(2020-03-29)(96세)
국적 미국
분야 물리학
출신 대학 하버드 대학교
지도 교수 존 해즈브룩 밴블렉
수상 노벨 물리학상 (1977)

생애편집

그는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출생했고 일리노이주 어배너에서 자랐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한 후 대학원에서 공부하다가 전쟁 중에는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일했다. 대학원 지도교수는 존 해즈브룩 밴블렉이었다.

1949년부터 1984년까지 그는 뉴저지주에 있는 벨 연구소에서 일했다. 여기서 일하는 동안 그는 계 내부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확장 상태가 국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앤더슨 국소화의 개념, 전이금속전자앤더슨 해밀토니안, 기본입자질량을 측정하는 힉스 메커니즘, 가상 스핀을 발견했다.

1967년부터 1975년까지 그는 스탠포드 대학교이론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77년에는 자기계 및 무질서계의 전기적 구조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네빌 프랜시스 모트존 해즈브룩 밴블렉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1982년, 그는 미국 과학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1984년벨 연구소에서 은퇴한 뒤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로 일했다.

2006년, 호세 솔레르는 과학 논문에서의 인용 건수와 언급 횟수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논문을 작성했는데, 여기에서 그는 앤더슨을 세계에서 가장 창조적인 과학자라고 선언했다[1].

각주편집

  1. “세계에서 가장 창조적인 과학자가 밝혀지다 - physicsworld.com”. 2011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