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9년
연도
해 1946년 1947년 1948년 - 1949년 - 1950년 1951년 1952년 |
연대 1920년대 1930년대 - 1940년대 - 1950년대 196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사건편집
- 1월 21일 - 중화민국 총통 장제스 하야, 부총통 리쭝런 권한대행 취임.
- 1월 31일 - 베이징이 중국 인민해방군에 함락.
- 4월 4일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창설.
- 4월 23일 - 중국의 수도 난징이 중국 인민해방군에 함락.
- 5월 8일 - 독일, 기본법 제정 회의가 기본법을 통과시키다. 이후에 미국·영국·프랑스의 Trizone란 점령지(즉 소련 점령지, 베를린, 자르, 동부 영토 이외 독일)의 주의회들의 11개 중에 10개 통과.
- 5월 11일 - 이스라엘이 유엔에 가입.
- 5월 20일 - 국회 프락치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김약수, 이문원, 노일환 의원이 체포되었다.
- 5월 23일 - 이북5도위원회 설립.
- 5월 24일 - 독일, 23일에 기본법이 기본법 제정 회의에서 선포돼 24일부터 시행. 이로써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 성립.
- 6월 6일 - 반민특위, 내무차관 장경근 등에 의해 특경대가 해산되고 이 활동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어 심한 고문을 당하는 이른바 6.6 사건이 발생. 중부경찰서장 윤기병이 지휘하는 무장경찰이 특경대원을 비롯해 반민특위 요원 35명을 체포해 수감하는 습격사건.
- 6월 8일 - 1984년 출간.
- 6월 15일 - 신 타이완 달러 정식 발행 시작.
- 6월 26일 - 한국에서 미국군 철수. 김구가 육군 소위 안두희에게 살해됨.
- 8월 6일 - 대한민국, 병역제도를 모병제에서 전시 징병제 (후에 징병제)로 개정.
- 8월 8일 - 부탄 독립.
- 8월 12일 - 전쟁 포로와 전시 민간인에 대한 대우 등을 규정한 제네바 협약 조인.
- 8월 15일 - 수원면, 수원시로 승격
- 8월 21일 - 독일을 점령한 서방 3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군정 체제 종식.
- 8월 29일 - 소비에트 연방, 원자 폭탄 실험 성공.
- 8월 30일 - 대한민국 최초의 국비유학생 6명, 미국 유학.
- 9월 14일 - 목포 형무소에서 수감자 350여 명이 감옥을 파괴하고 탈출하는 사건 발생.
- 9월 19일 - 소비에트 연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둔 자국군 철수 계획 발표.
- 9월 22일 - 대한민국 국회,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폐지법안 가결.
- 9월 26일 - 대한민국 정부, 법원조직법 공포.
-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 10월 7일 -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 성립.
- 10월 12일 - 대한민국 공군 창설. (초대 사령관 김정렬 대령)
- 10월 14일 -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전신인 항공사관학교 창설.
- 10월 15일 - 대한민국과 일본, 한일통상협정 조인.
- 12월 7일 - 중화민국, 수도를 타이베이로 이전. (국부천대)
- 12월 27일 - 인도네시아 네덜란드로부터 독립.
- 한글 타자기 첫 시판.
- 베를린 봉쇄(1948년 6월 24일부터 1949년 5월 12일)
탄생편집
- 1월 12일
- 1월 19일 - 홍콩의 배우 주윤견
- 대한민국의 배우 박원숙
- 2월 1일 - 영국의 기업인 데이비드 설리번.
- 2월 18일 - 前 KBO 사무총장, 前 KBS, KBS N 스포츠의 야구해설위원 하일성
- 2월 22일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국방인, 정치인 송영무.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장승길.
- 3월 6일 - 파키스탄의 정치인 샤우카트 아지즈.
- 3월 8일 - 페루의 전 축구 선수 테오필로 쿠비야스. ,대한민국 기업인 조양호.
- 3월 14일 - 대한만국의 배우 한진희.
- 3월 21일 - 슬로베니아의 사상가 슬라보이 지제크.
- 3월 22일 - 프랑스의 기업인 장미셸 올라스.
- 4월 4일 - 중국의 필즈상 수상 수학자 야우씽퉁.
- 4월 11일 - 독일의 영화 제작자 베른트 아이힝거.
- 4월 18일 - 미국의 필즈상 수상 수학자 찰스 페퍼먼.
- 4월 25일 - 프랑스의 정치가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윤선.
- 5월 9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빌리 조엘.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장현.
- 5월 27일 - 영국 노동당의 당수 제러미 코빈.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혁
- 6월 18일 - 폴란드의 정치가 레흐 카친스키.
- 6월 23일 - 미국의 영화 제작자 로런 슐러 도너.
- 6월 24일 - 독일의 적군파 대원 브리기테 몬하우프트.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성우 윤주상.
- 7월 3일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겸 정치가 나상기.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김양곤.
- 7월 26일
- 8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동환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주선.
- 9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채무.
- 9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수미.
- 9월 21일 - 대한만국 국회의원 고희선.
- 9월 25일 - 스페인의 감독 페드로 알모도바르.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문주란.
- 10월 22일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아르센 웽거.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재희.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인덕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방송프로듀서 남성우.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 김정수.
- 12월 3일 - 미국 가수 겸 작곡가 미키 토머스
- 12월 12일 - 영국의 배우 빌 나이.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진도희
- 12월 22일
- 12월 25일 - 파키스탄의 정치인 나와즈 샤리프.
- 12월 27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클라우스 피셔.
사망편집
노벨상편집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병인 | 대 | 1월 29일 | 기미 |
2월 | 정묘 | 대 | 2월 28일 | 기축 |
3월 | 무진 | 소 | 3월 30일 | 기미 |
4월 | 기사 | 대 | 4월 28일 | 무자 |
5월 | 경오 | 소 | 5월 28일 | 무오 |
6월 | 신미 | 대 | 6월 26일 | 정해 |
7월 | 임신 | 소 | 7월 26일 | 정사 |
윤7월 | 소 | 8월 24일 | 병술 | |
8월 | 계유 | 대 | 9월 22일 | 을묘 |
9월 | 갑술 | 소 | 10월 22일 | 을유 |
10월 | 을해 | 대 | 11월 20일 | 갑인 |
11월 | 병자 | 소 | 12월 20일 | 갑신 |
12월 | 정축 | 대 | 1950년 1월 18일 | 계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