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왕

하지왕(荷知王)은 가야의 국왕이었다. 남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치고는 보국장군(輔國將軍), 본국왕(本國王)의 관작을 하사받았다.[1]

하지왕
荷知王
대가야 제6대 군주
재위 479년~ ?
대관식 하지왕(荷知王)
전임 ?
후임 가실왕(嘉悉王)
부왕 ?
이름
?
이칭 없음
별호 없음
연호 없음
시호 없음
묘호 없음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生年 未詳)
출생지 ?
사망일 몰년 미상(沒年 未詳)
사망지 ?
왕조 대가야(大伽倻)
가문 ?
부친 ?
모친 ?
배우자 ?
자녀 ?
종교 없음
묘소 ?

미궁의 왕편집

금관가야의 왕이라는 설편집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하지왕을 금관가야 수로왕의 후손으로 비정했는데[2] 금관가야의 왕들 중 6대 좌지왕(坐知王), 8대 질지왕(銍知王), 9대 겸지왕(鉗知王) 등과 같이 지(知)자가 들어간 이름을 사용하는 왕들이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하지왕은 이 3명의 왕들 중 한 사람일 것이라고 추정했다.[3]

시간이 흘러 일제강점기 사학자 중 일부도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비정했는데 이마니시 류는 일본어의 발음상 겸(鉗: ゲノ)과 하(荷: ゲ)의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 9대 겸지왕과 동일인물로 파악했다. 하지만 겸지왕의 재위기간이 남제서의 기록과 맞지 않는 문제가 생기자 가락국기의 연대가 잘못된 것이라 주장했다.[4] 그러자 무라카미 요시오는 재위기간이 맞는 제8대 질지왕이라며 주장했다.[5]

현대에 들어서 금관국의 활발한 해상교역 능력을 강조하면서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비정하기도 한다.[6]

대가야의 왕이라는 설편집

가락국기에 보이는 금관가야 역대 왕명에 하지와 동일한 것이 없으며, 당시 백제가 남제와 통교하고 있었으므로 고령 지역에 위치한 가야 세력이 백제의 사신을 따라 남제와 통교한 것으로 파악했다.[7] 가야제국에 속한 나라들 중에서 대외적으로 "가라"를 칭할만한 강성한 세력으로 고고학적으로 볼 때에 5세기 후반 대에 가장 왕성한 세력을 이루었던 대가야를 가야제국을 대표해서 중국과 집적 통교할만한 위상을 갖춘 나라라고 보았으며, 또한 하지왕의 정체를 대가야가실왕으로 파악하였다.[8]

각주편집

  1. 소도성 (479년). 〈동남이(東南夷) 가라전(加羅傳)〉. 《南齊書》 [남제서]. 권 58 열전(列傳) 제39 만(蠻). 
  2. 정약용 (1985년) [1865년]. 〈봉전고 서(封典考敍)〉. 《茶山詩文集》 [다산시문집] 제15권. 번역 정태현. 2017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정약용 (1811년). 〈변진고(弁辰考)〉. 《아방강역고제1권. 
  4. 이마니시 류 (1937년). 《朝鮮古史の硏究》 [조선고사의 연구]. 고노자와서점 (近澤書店). 
  5. 무라카미 요시오 (1978년). 《朝鮮古代史硏究》 [조선고대사연구]. 개명서원(開明書院). 
  6. 연민수 (1997년).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ISBN 9788985905589. 
  7. 천관우 (1976년). 《三韓의 國家形成 (下) :「三韓攷 제3부》 (학술저널). 일지사. 
  8. 김태식 (1993년 12월 1일). 《가야연맹사》. 일조각. ISBN 9788933700563. 
전 임
7대 금림왕
제8대 대가야의 국왕
? ~ ?
후 임
9대 이뇌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