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광 (명나라)

한광(韓爌, 1565년 ~ 1644년)은 명나라의 정치가로서 진사(進士) 출신이다. 자(字)는 우신(虞臣), 호(號)는 상운(象雲)이다. 산서(山西) 포주(蒲州, 오늘날 영제永濟) 반저촌(盤底村) 출신이다.

한광
韓爌
소사겸태자태사건극전대학사이부상서
명나라내각대학사 수보
임기 1624년 ~ 1624년
1628년 ~ 1630년

신상정보
출생일 가정(嘉靖) 44년(1565)
사망일 숭정(崇禎) 17년(1644)
학력 만력(萬曆) 16년(1588) 무자과(戊子科) 거인(擧人)
만력(萬曆) 20년(1592) 임진과(壬辰科) 진사(進士)

생애

편집

만력(萬曆) 20년(1592) 임진과(壬辰科) 진사(進士)에 올랐고, 서길사(庶吉士), 소첨사(少詹事), 동궁(東宮) 강관(講官)을 역임했다. 만력 45년(1617) 예부우시랑(禮部右侍郞)에 올랐다. 태창(泰昌) 원년(1620) 예부상서겸동각대학사(禮部尙書兼東閣大學士)가 되었다.[1] 천계(天啓) 4년(1624) 위충현(魏忠賢)은 왕문언(汪文言)의 옥(獄)을 일으켰고,[2] 양련(楊漣)은 분개하여 위충현의 24대죄를 들어 참핵했다. 위충현은 놀라 한광에게 구원을 요청했지만 한광은 듣지 않았다.[3] 천계 5년(1625) 7월 26일, 양련과 좌광두(左光斗)는 같은 날 옥중에서 사망했다.[4] 같은해 위당(魏黨) 이로생(李魯生)이 탄핵하자 한광은 파직되었고, 후에 은 2천량을 뇌물로 받았다는 무고를 당하여 가산을 탕진당했다. 때문에 조상 묘지에 살 수 밖에 없었다.[5]

숭정(崇禎) 원년(1628) 숭정제 즉위 후, 12월에 소환되어 다시 수보대학사(首輔大學士)가 되었다.[6] 웅정필(熊廷弼)을 위해 신원해 주었다.[7] 한광은 천주교(天主敎) 인사 서광계(徐光啓)와 탕약망(湯若望) 등과 왕래하였고, 집안에는 영세받은 천주교인이 있었다. 병과(兵科) 급사중(給事中) 유무(劉懋)의 재역(裁驛)의 의(議)를 반대했다.[8] 숭정 3년(1630), 문생(門生) 원숭환(袁崇煥)이 모문룡(毛文龍)을 주살한 일로 파직 조처되었고, 정월 15일 주소를 올려 사직을 청했다.[9] 숭정 17년(1644) 봄, 이자성(李自成)이 포주(蒲州)를 함락한 후 한광의 손자를 붙잡고 접견을 협박하였고, 한광은 어쩔 수 없이 나갈 수 밖에 없었다. 이일로 한광은 분개하였고 오래잖아 분노하여 사망하였으니 향년 80세였다.

가족

편집

증조부 한홍(韓霐)은 의관(義官)이다. 조부 한파(韓玻)는 공과우급사중(工科右給事中)에 추증되었다. 부친 한즙(韓楫)은 가정 44년(1565) 진사였고 이과도급사중(吏科都給事中)에 올랐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240, “韓爌, 字象雲, 蒲州人. 萬曆二十年進士. 選庶吉士. 進編修, 歷少詹事, 充東宮講官. 四十五年, 擢禮部右侍郞, 協理詹事府. 久之, 命敎習庶吉士. 泰昌元年八月, 光宗嗣位, 拜禮部尙書兼東閣大學士.”
  2.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305, “四年, 給事中傅櫆結忠賢甥傅應星爲兄弟, 誣奏中書汪文言, 並及左光斗•魏大中. 下文言鎭撫獄, 將大行羅織.”
  3.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305, “於是副都御史楊漣憤甚, 疏上, 忠賢懼, 求解于韓爌, 不應.”
  4.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244, “而光斗與漣已同日爲獄卒所斃,時五年七月二十有六日也.”
  5.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240, “五年七月, 逆黨李魯生劾爌, 削籍除名. 又假他事坐贓二千, 斃其家人於獄. 爌鬻田宅, 貸親故以償, 乃棲止先墓上.”
  6.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240, “莊烈帝登極, 復故官. 崇禎元年, 言者爭請召用, 爲逆黨楊維垣等所扼, 但賜敕存問, 官其一子. 至五月, 始遣行人召之. 十二月還朝, 復爲首輔.”
  7.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240, “初, 熊廷弼旣死, 傳首九邊, 屍不得歸葬. 至是, 其子詣闕疏請. 爌等因言, 「廷弼之死, 由逆奄欲殺楊漣•魏大中, 誣以行賄, 因盡殺漣等, 復懸坐廷弼贓銀十七萬, 刑及妻孥, 寃之甚者.」 帝乃許收葬.”
  8.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240, “時遼事急, 朝議汰各鎭兵. 又以兵科給事中劉懋疏, 議裁驛卒. 帝以問爌, 爌言, 「汰兵止當淸占冒及增設冗兵爾. 沖地額兵不可汰也. 驛傳疲累, 當責按臣核減, 以蘇民困, 其所節省, 仍還之民.」 帝然之. 御史高捷•史褷以罪免, 永光力引之. 都御史曹於汴持不可, 永光再疏爭. 爌言, 故事當聽都察院咨用. 帝方眷永光, 不從. 九月, 以將行慶典, 請停秋決, 亦不從.”
  9. 청(淸) 장정옥(張廷玉) 등, 『명사(明史)』 卷240, “由崇煥殺毛文龍所致. 捷遂首攻龍錫, 逐之. 明年正月, 中書舍人加尙寶卿原抱奇故由輸貲進, 亦劾爌主款誤國, 招寇欺君, 郡邑殘破, 宗社阽危, 不能設一策, 拔一人, 坐視成敗, 以人國僥幸, 宜與龍錫並斥. 其言主款者, 以爌, 崇煥座主也. 帝重去爌, 貶抱奇秩. 無何, 左庶子丁進以遷擢愆期怨爌, 亦劾之, 而工部主事李逢申劾疏繼上. 爌卽三疏引疾.”
전임
섭향고(葉向高)
제62대 명나라 내각대학사 수보
1624년 ~ 1624년
후임
주국정(朱國禎)
전임
주도등(周道登)
명나라 내각대학사 수보
1628년 ~ 1630년
후임
이표(李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