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뮤지컬어워즈
한국뮤지컬어워즈(Korea Musical Awards)는 대한민국의 뮤지컬 시상식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뮤지컬협회가 주관한다. 전문투표단 200명과 일반투표단 100명의 온라인 투표로 후보와 수상자를 선정한다. 전문투표단은 특별상을 제외한 16개 부문, 일반투표단은 남녀 주연·조연·신인상 등 6개 부문에 투표한다.[1]
제1회 시상식은 2017년 1월 16일에 열렸다. 2015년 12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국내에서 개막하여 14회 이상 유료 공연된 창작 및 라이선스 공연 중 출품된 77개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했다.[2][3]
시상 부문편집
- 한국뮤지컬어워즈 대상 : 창작과 라이선스 전체에서 가장 우수한 작품
- 한국뮤지컬 작품상 : 창작 초연에서 가장 우수한 작품
-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 남우신인상, 여우신인상
- 앙상블상
- 연출상, 신인연출상
- 극본/작사상, 작곡/음악감독상, 안무상, 무대예술상
- 프로듀서상
- 특별상(공로상)
역대 수상자(작)편집
2017년 제1회편집
부문 | 수상자 | 작품 |
---|---|---|
한국뮤지컬어워즈 대상 | 《스위니 토드》 | |
2016 한국뮤지컬 작품상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
남우주연상 | 정성화 | 《킹키 부츠》 |
여우주연상 | 전미도 | 《스위니 토드》 |
남우조연상 | 박은태 | 《도리안 그레이》 |
여우조연상 | 신영숙 | 《레베카》 |
남우신인상 | 김성철 | 《스위니 토드》 |
여우신인상 | 이예은 | 《위키드》 |
앙상블상 | 앙상블팀 | 《킹키 부츠》 |
연출상 | 오세혁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신인연출상 | 추정화 | 《인터뷰》 |
극본/작사상 | 박해림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작곡/음악감독상 | 이진욱 | 《라흐마니노프》 |
안무상 | 신선호 | 《로기수》 |
무대예술상 | 오필영 | 《마타 하리》 |
프로듀서상 | 엄홍현 | 《마타 하리》 |
특별공로상 | 박만규 | |
최고의 관객상 | 김행선 (총 89편 관람)[4] |
2018년 제2회편집
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벤허》 | |
작품상 | 《서편제》 | |
남우주연상 | 홍광호 | 《시라노》 |
여우주연상 | 전미도 | 《어쩌면 해피엔딩》 |
남우조연상 | 이정열 | 《서편제》 |
여우조연상 | 신영숙 | 《팬텀》 |
남우신인상 | 손유동 | 《찌질의 역사》 |
여우신인상 | 이소연 | 《서편제》 |
앙상블상 | 앙상블팀 | 《벤허》 |
연출상 | 김동연 | 《어쩌면 해피엔딩》 |
극본/작사상 | 박천휴, 윌 애런슨 | 《어쩌면 해피엔딩》 |
작곡상 | 윌 애런슨 | 《어쩌면 해피엔딩》 |
안무상 | 차진엽 | 《신과 함께_저승편》 |
무대예술상 | 서숙진 | 《벤허》 |
프로듀서상 | 한경숙 | 《어쩌면 해피엔딩》 |
특별상 (올해의 스태프) | 김문정 | |
공로상 | 강대진 |
2019년 제3회편집
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웃는 남자》 | |
작품상 | 《레드북》 | |
소극장 뮤지컬상 | 《베르나르다 알바》 | |
남우주연상 | 박효신 최재림 |
《웃는남자》 《마틸다》 |
여우주연상 | 정영주 | 《베르나르다 알바》 |
남우조연상 | 한지상 | 《젠틀맨스 가이드 :사랑과 살인편》 |
여우조연상 | 김국희 | 《레드북》 |
남우신인상 | 이휘종 | 《번지점프를하다》& 《브라더스 까라마조프》 |
여우신인상 | 김환희 | 《베르나르다 알바》 |
앙상블상 | 앙상블팀 | 《마틸다》 |
연출상 | 오경택 | 《레드북》 |
극본상 | 정 영 | 《용의자 x의 헌신》 |
음악상 | 김성수 | 《베르나르다 알바》 |
안무상 | 홍유선 | 《레드북》 |
무대예술상 | 오필영 | 《웃는 남자》 |
프로듀서상 | 박명성 | 《마틸다》& 《빌리 엘리어트》 |
공로상 | 이종덕 | |
뉴웨이브상 | 레디 투 플라이 |
2020년 제4회편집
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
작품상(400석 이상) | 《스위니 토드》 | |
작품상(400석 미만) | 《아랑가》 | |
남우주연상 | 조형균 | 《시라노》 |
여우주연상 | 김선영 |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남우조연상 | 박강현 | 《엑스칼리버》 |
여우조연상 | 이예은 |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남우신인상 | 양희준 | 《스웨그에이지 : 외쳐, 조선!》 |
여우신인상 | 김수하 | 《스웨그에이지 : 외쳐, 조선!》 |
앙상블상 | 앙상블팀 | 《아이다》 |
연출상 | 오루피나 |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극본상 | 강남 |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음악상(작곡) | 김효은 |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음악상(편곡/음악감독) | 신은경 |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안무상 | 문성우 | 《벤허》 |
무대예술상(영상) | 박준 | 《시티오브엔젤》 |
무대예술상(무대) | 정승호 | 《엑스칼리버》 |
프로듀서상 | 오훈식 | 《그림자를 판 사나이》& 《더 데빌》& 《록키호러쇼》& 《킹아더》& 《호프 : 읽히지 않은 책과 읽히지 않은 인생》 |
공로상 | 송승환 | |
카카오 베스트 캐릭터상 | 모르가나 | 《엑스칼리버》 |
2021년 제5회편집
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마리퀴리》 | |
작품상(400석 이상) | 《스웨그에이지 : 외쳐, 조선!》 | |
작품상(400석 미만) | 《리지》 | |
남우주연상 | 강필석 | 《썸씽로튼》 |
여우주연상 | 김수하 | 《렌트》 |
남우조연상 | 서경수 | 《썸씽로튼》 |
여우조연상 | 이봄소리 | 《차미》 |
남우신인상 | 이준영 | 《스웨그에이지 : 외쳐, 조선!》 |
여우신인상 | 한재아 | 《어쩌면 해피엔딩》 |
앙상블상 | 앙상블팀 | 《브로드웨이 42번가》 |
연출상 | 김태형 | 《마리퀴리》 |
극본상 | 천세은 | 《마리퀴리》 |
음악상(편곡/음악감독) | 김성수 | 《썸씽로튼》 |
음악상(작곡) | 최종윤 | 《마리퀴리》 |
안무상 | 김은총 | 《스웨그에이지 : 외쳐, 조선!》 |
무대예술상(무대) | 오필영 | 《젠틀맨스 가이드 : 사랑과 살인편》 |
무대예술상(조명) | 이우형 | 《빅 피쉬》 |
프로듀서상 | 강병원 | 《광주》& 《마리퀴리》& 《팬레터》 |
공로상 | 더 뮤지컬 |
각주편집
- ↑ 조승예 (2016년 12월 8일). “뮤지컬인들이 만든 새로운 뮤지컬 시상식 '제1회 한국뮤지컬어워즈'”. 포커스뉴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재훈 (2016년 12월 8일). “한국뮤지컬협 "한국 뮤지컬 어워즈, 어느 시상식보다 공정"”. 뉴시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제1회 한국뮤지컬어워즈 출품리스트”. 2016년 12월 15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재훈 (2017년 1월 16일). “'스위니 토드', '제1회 한국뮤지컬어워즈' 대상”.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