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무장 지대 분쟁
한반도 비무장 지대 분쟁은 6.25 전쟁 휴전 이후 1966년부터 1969년까지 DMZ에서 벌어진 대한민국 국군 및 미군 그리고 북한군과의 군사적 충돌을 의미한다.
상세
편집한국전쟁이 정전협정 체결 이후 휴전 상태에 진입하면서 전쟁은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군사적 긴장과 충돌이 비무장지대에서 발생하게 된다.[1][2] 비무장 지대 내 분쟁은 대한민국 국군과 북한군 사이에서 발생하기도 하였고[3], 때로는 북한군과 미군의 직접적인 충돌도 여러 존재하였다.[4] 비무장지대 내 명확하지 않은 군사분계선 표식으로 인해 우발적인 충돌의 가능성도 높았다.[5]
1960년대 북한은 비무장지대와 더불어 한반도 이남의 후방 지역에서도 게릴라 작전을 수행하였는데, 비무장 지대 분쟁은 주로 소규모 국지전 형식으로 이뤄졌다.[6] 대한민국 국군과 미군 측 사상자는 1천2백명 정도가 나왔고, 대략 1000건의 교전이 발생하였다.[7] DMZ 군사충돌은 1960년대 및 1970년대 초반에 집중되었으며, 이후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8]
이러한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해서 한국은 한국과 미국은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 임진스카우트를 창설하여 비무장 지대 내 북한 특수군에 대한 정찰 및 격퇴 작전을 실시하였다.[9] 미군은 비무장 지대에 고엽제를 대량으로 살포하였으며,[10] 1960년대의 비무장지대 내 군사적 충돌은 역설적으로 비무장지대의 무장화를 초래하였다.[11]
연혁
편집1960년대
편집1960년대 중후반부에 접어들어 북한은 특수작전군을 활동하여 무장 도발을 감행하였다.
1964년 조선중앙통신사 부사장 이수근이 망명하는 과정에서 북한군이 총격을 가하는 일이 있었다.[12]
1968년 유엔군사령부 소속 트럭에 대하여 북한군이 기습공격하여 미군 2명이 전사하고 한국군 2명이 전사하였다.[13][14]
1970년대
편집베트남 전쟁이 시작한 가운데, 북한군은 비무장 지대에서 산발적이고 소규모적인 군사 도발을 실시하였다.[15] 이에 대한민국과 미국은 비무장지대에 임진스카우트를 배치하여 경계 및 정찰 임무에 투입하였다. 1976년에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이 발생하여 북미 간 긴장이 매우 심화되기도 하였다.
1980년대
편집소련 출신 판문점 여행가이드였던 바실리 마투조크가 급작스래 판문점 남측으로 망명하면서 남북 및 북미간 총격전이 발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장명기 상병이 전사하였다.[16][17]
1990년대
편집2000년대
편집2010년대
편집2015년 8월에 2015년 DMZ 지뢰폭발사건 및 서부전선 포격 사건이 발생하였다.
2020년대
편집2020년 5월에 2020년 GP 총격 사건이 발생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한국의 비무장지대”.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접경 지역의 삶”.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휴전선을 넘어 북한 부대를 공격하라””. 2014년 1월 24일.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북한과 미국의 DMZ 군사충돌 연구: 로동신문 1960~1969년을 중심으로”.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G1TV. “G1방송”.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통일부 공식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뉴스, JTBC (2020년 11월 26일). “'KOREAN WAR' 1960년대 말 한반도의 DMZ, 그날의 진실들”.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DMZ 군사충돌 사례와 요인 연구 -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 KISS”.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신간] ‘제2의 한국전쟁’ 60년 만에 최초 공개 ‘임진스카웃’”. 2022년 2월 11일.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1960년 말 다량의 고엽제 비무장지대 살포””.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기자, 송진식 (2023년 12월 18일). “[신간]DMZ로 톺아보는 남북관계”.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기자, 이혜리 (2018년 10월 11일). “위장간첩 몰려 사형된 지 49년…법원 “이수근, 간첩 아니다””. 2024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DMZ Flashpoints: The Deadly 1968 Truck Ambush” (미국 영어). 2009년 3월 30일.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DMZ ambush survivors seen lucky to be alive | 75th Anniversary”.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김국현 (2022년 3월). “베트남전쟁이 남북한 군사정책에 미친 영향”. 《한국군사학논총》 11 (1): 3–20. ISSN 2287-1373.
- ↑ Wonyeob, Managed by Jung; Writed by Jung wonyeob, Park Yonghan; Sunyoung, translated by Choi; Jeongbo, 3D Modeled by Shim; Seongryong, Video Edited by Kong; Designed by Chun Kihwan, Lim Haedn; Developed by Chun Kihwan, Won Nayeon. “Invite you to Historical Inter Korea Summit”. 2024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Haberman, Clyde (1984년 11월 27일). “DMZ DEFECTOR SAYS HE ACTED FREELY”.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4년 8월 23일에 확인함.
이 글은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