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계
해시계 또는 일구(日晷)는 태양의 일주 운동을 이용하여 시간을 알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
해시계는 인간이 만든 가장 오래된 시계로, 원시시대부터 나무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측정하였고, 중세 유럽에 기계 시계가 출현·보급될 때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해시계의 종류에는 수평식과 수직식의 두 가지가 있다.
그림자의 길이를 재는 식의 해시계(영어: Gnomon)는 그 지역의 시간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태양의 움직임이 복잡하게 변하기 때문에 유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생겼다. 그래서 막대기를 지구의 자전축과 평행이되게 기울이는 방법을 쓰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해시계(영어: Sun dial)의 시초이자 시계 역사의 시초가 되었다. 그 예로 고대 이집트에서는 오벨리스크가 그노몬으로 쓰였는데, 지침(指針)은 지축에 평행하게 기울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해시계는 계절에 관계 없이 같은 장소에 그림자의 위치가 일정한 곳에 오지만, 그림자의 길이는 늘 변했다.
해시계는 기원전 1500년경에 이집트 해시계가 가장 오래된 것이지만, 이를 먼저 발명한 것은 아마도 바빌로니아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후 그노몬은 기원전 6세기 초에 그리스에 소개되는 등 차츰 동·서로 전해졌다. 그러나 밤이나 날씨가 궂은 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렇지만 17세기 까지만 해도 기계로 된 시계보다도 오히려 더 정확했다.
앙부일구는 해의 그림자를 이용해 시간을 표시하는 일종의 시계이다.
광해군
편집한국에서 사용된 실물 자료로는 경주에서 출토된 7세기 경의 해시계 파편이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이 유물은 원반모양의 시반을 24등분하여 자시ㆍ묘시 등의 24시를 새기고, 그 중심에는 시표인 막대기를 세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크기는 반지름 33.4cm이며, 현재 자시부터 묘시까지만 남아 있다.
이후 조선 세종 때 장영실 등이 제작한 앙부일구·정남일구·천평일구·현주일구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앙부일구는 외국과는 다른 조선 초의 독특한 형태로 일본에도 전해졌다.
참고 문헌
편집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