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의 법칙
헨리의 법칙(Henry's law)은 1803년 윌리엄 헨리가 발견한 기체 법칙이다. 법칙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기체의 종류는 액체에 소량이 녹는 것(대체로 무극성 기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메탄, 산소, 이산화탄소등이 이 법칙이 적용되지만, 암모니아와 같이, 물 속에 대량으로 녹아서 이온화되거나 산-염기 반응을 하는 기체(즉, 일부 극성 기체 분자)들은 이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헨리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p는 용액 위에 있는 기체의 분압, c는 용질의 농도, k는 농도위아력의 상수이다. 이 상수는 헨리의 상수로도 알려져 있는데, 용매, 용질,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참고 문헌편집
- Theodord L. Brown,《Chemistry: The Central Science》,10th Ed.,Pearson (2007)
외부 링크편집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