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
혈압(血壓)은 혈관을 따라 흐르는 혈액이 혈관의 벽에 주는 압력이다. 주요한 생명 징후이기도 하다. 심장 박동에 따라 혈압은 최고혈압(수축기 혈압)과 최저혈압(이완기 혈압)을 넘나들며 변한다.[1] 혈압은 심박출량과 혈류의 저항에 기인하며, 심장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혈압은 소동맥을 지나면서 가장 급격하게 떨어지며, 모세혈관과 정맥을 지나면서 혈압은 더욱 떨어진다.[2] 중력의 힘에도 불구하고 순환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정맥의 판막과 근육의 수축 덕분이다.

혈압계. 동맥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혈압은 팔 윗부분에서 측정된 압력을 의미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혈압은 팔꿈치 안쪽의 상완동맥에서 측정된 값이다. 상완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전달하는 팔 윗부분의 큰 혈관이다.
혈압의 단위는 mmHg이며,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130mmHg, 이완기 혈압 80~85 mm Hg 내외이다. 이보다 일정 수준이상 높아지면 고혈압, 낮아지면 저혈압이라고 한다.
분류편집
다음은 18세 이상의 사람에 적용되는 미국에서의 혈압 분류이다. 측정값은 올바른 방법으로 2회 이상 측정된 값이어야 한다.[3] 영국에서는 140/90mmHg 이상의 혈압을 모두 고혈압이라고 칭한다.[4] 다음은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의 분류법을 따른 것이다.[5]:
분류 | 수축기(최고혈압), mmHg | 이완기(최저혈압), mmHg |
---|---|---|
정상 | ≤ 120 | ≤ 80 |
고혈압 전단계 (직전고혈압) | 120 – 139 | 80 – 89 |
1단계 고혈압 | 140 – 159 | 90 – 99 |
2단계 고혈압 | 160 - 179 | 100 - 109 |
고혈압성 위기 | ≥ 180 | ≥ 110 |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출처편집
- ↑ “Normal Blood Pressure Range Adults”. Health and Life. 2016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 Klabunde, Richard (2005). 《Cardiovascular Physiology Concept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93–4쪽. ISBN 978-0781750301.
- ↑ “Diseases and Conditions Index - Hypotens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8년 9월. 2008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Hypertension: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adults in primary care〉 (PDF). 《NICE Clinical Guideline 34》. London, England: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NICE). 2006년 6월. 2008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http://www.heart.org/HEARTORG/Conditions/HighBloodPressure/AboutHighBloodPressure/Understanding-Blood-Pressure-Readings_UCM_301764_Article.jsp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