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산시

량강도의 하위 행정구역

혜산시(惠山市)는 량강도 북쪽에 있는 도시이다. 운하교통의 중심지이자 생산공급지이고 량강도의 도 소재지(량강도 인민위원회, 조선로동당 량강도당 등)이다. 당 책임비서는 장용석이다.

혜산시
혜산시의 위치
혜산시의 위치
현황
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면적 277 km2
총인구 192,680[1] 명 (2008)
25개
4개
중국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에서 본 혜산 시내와 압록강의 모습. 2005년 12월 촬영.

지리와 기후 편집

해발 2,000m급의 산들에 둘러싸인 혜산분지의 중심부에 있다. 한반도에서도 가장 추운 지역의 하나로, 1915년에는 사상 최저기온인 -42 °C를 기록했다. 연평균 기온은 3.7°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679 mm이다.

동쪽은 운흥군, 동북쪽은 보천군, 남쪽은 갑산군, 서쪽은 삼수군에 접한다.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이 있다.

혜산시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최고 기온 기록 °C (°F) 6.1
(43.0)
12.1
(53.8)
21.0
(69.8)
30.0
(86.0)
35.0
(95.0)
34.0
(93.2)
37.1
(98.8)
38.3
(100.9)
31.6
(88.9)
29.5
(85.1)
19.0
(66.2)
8.2
(46.8)
38.3
(100.9)
평균 최고 기온 °C (°F) −8.0
(17.6)
−2.8
(27.0)
4.5
(40.1)
13.6
(56.5)
20.8
(69.4)
25.1
(77.2)
27.7
(81.9)
27.0
(80.6)
21.9
(71.4)
14.2
(57.6)
2.9
(37.2)
−6.3
(20.7)
11.7
(53.1)
일 평균 기온 °C (°F) −15.9
(3.4)
−11.2
(11.8)
−2.7
(27.1)
6.0
(42.8)
12.8
(55.0)
17.5
(63.5)
21.1
(70.0)
20.3
(68.5)
13.8
(56.8)
5.8
(42.4)
−4.0
(24.8)
−13.2
(8.2)
4.2
(39.6)
평균 최저 기온 °C (°F) −22.2
(−8.0)
−18.5
(−1.3)
−9.5
(14.9)
−1.1
(30.0)
5.7
(42.3)
11.4
(52.5)
16.0
(60.8)
15.4
(59.7)
7.6
(45.7)
−0.7
(30.7)
−9.6
(14.7)
−19.1
(−2.4)
−2.1
(28.2)
최저 기온 기록 °C (°F) −37.2
(−35.0)
−33.0
(−27.4)
−27.8
(−18.0)
−20.0
(−4.0)
−4.3
(24.3)
−1.7
(28.9)
6.5
(43.7)
1.0
(33.8)
−4.3
(24.3)
−19.9
(−3.8)
−26.6
(−15.9)
−35.0
(−31.0)
−37.2
(−35.0)
평균 강수량 mm (인치) 5.0
(0.20)
9.1
(0.36)
11.6
(0.46)
30.0
(1.18)
62.4
(2.46)
86.8
(3.42)
135.2
(5.32)
112.9
(4.44)
48.9
(1.93)
27.7
(1.09)
19.6
(0.77)
9.8
(0.39)
559.0
(22.01)
평균 강수일수 (≥ 0.1 mm) 5.2 4.4 6.1 8.4 12.2 13.8 13.8 12.2 6.9 6.4 6.8 6.5 102.7
평균 강설일수 10.9 9.4 10.5 5.9 0.6 0.0 0.0 0.0 0.1 2.5 9.9 13.2 63.0
평균 상대 습도 (%) 73.3 68.6 63.2 59.6 61.1 69.8 75.3 77.0 72.8 65.9 72.2 74.2 69.4
평균 월간 일조시간 180 191 237 221 228 200 198 190 184 198 157 153 2,337
출처 1: 대한민국 기상청 (평균값, 1991년~2020년)[2]
출처 2: Deutscher Wetterdienst (일조시간, 1961년~1990년),[3] Meteo Climat (극값, 1957년~현재)[4]

역사 편집

요나라금나라의 영토였다.

역사적으로는 함경도 갑산의 일부였고 혜산진을 중심으로 변경 방어를 위한 요새가 놓여져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갑산부에 속했고 혜산진이 놓여져 병마첨절제사가 주재했다.

  • 1934년 - 보혜면이 혜산읍으로 승격하였다.
  • 1942년 4월 - 갑산군으로부터 혜산읍·운흥면·보천면을 분할하고 봉두면·대진면을 신설하였으며 삼수군 별동면을 편입해 혜산군을 신설하였다(1읍 5면).
  • 1952년 12월 - 혜산군의 혜산면·봉두면 전역, 운흥면·별동면의 일부에 의해 재구성되었다.
  • 1954년 10월 - 신설된 량강도에 속하게 되었고 중심부가 혜산시, 산간부가 운흥군이 되었다.
  • 1961년 3월 - 운흥군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행정구역 편집

25동과 4리로 구성되어 있다.

교통 편집

철도 도로 공항과 연결되어 있다.

문화 편집

혜산고등학교와 혜산여자학교가 있다.

관광지 편집

교육 편집

산업 편집

벌목업과 곡물생산업이 있고, 직물업이 왕성하다.[출처 필요]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2009년.
  2.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PDF). 대한민국 기상청. 2022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31일에 확인함. 
  3. “Station 47016 Hyesan”. 《Global station data 1961–1990—Sunshine Duration》. Deutscher Wetterdienst. 2017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6일에 확인함. 
  4. “Station Hyesan” (프랑스어). Meteo Climat. 2016년 11월 6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 Dormels, Rainer. North Korea's Cities: Industrial facilities, internal structures and typification. Jimoondang, 2014. ISBN 978-89-6297-167-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