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마팔라

(호법에서 넘어옴)

다르마팔라(산스크리트어: धर्मपाल:, 530~561) 또는 호법(護法), 달마바라(達磨波羅)는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승려이다.

호법은 미륵(彌勒, Maitreya: ?~?) → 무착(無着, Asaṅga: 300?~390?) → 세친(世親, Vasubandhu: 320?~400?) → 진나(陳那, Dignāga: 480~540) → 무성(無性, Asvabhāva: ?~?)으로 이어진,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에 비친 객관의 모습은 실재라는 관점, 주관에 형성된 대상의 모습은 고유한 본질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관점, 즉 마음에 내재(內在)하는 사물의 모습은 허구가 아니라는 관점의 경공심유(境空心有: 현상은 없으나 마음(제8식)은 있다, 청정해진 마음(제8식)이 곧 진여다)의 방편유식설(方便唯識說)을 주장한 유상유식파(有相唯識派)의 계보를 이은 유식 논사로,[1][2] 인도유식 10대 논사의 한 사람으로 유명하였다.[3] 또한, 그는 유가행파와 함께 인도 대승불교의 2대 조류를 형성하고 있던 중관파에 속한 청변(清辯, Bhavyaviveka: 490?~570?)과 동시대인이었는데 이들이 서로 논쟁한 것은 공유논쟁(空有論爭)이라고 하여 불교사에서 유명한 일이었다.[4]

호법은 세친의 《유식삼십송》에 대한 해석서를 저술하였는데, 이것은 세친의 사상 해석에 있어 새로운 면을 개척한 것이었다.[5] 호법의 저서로는 《성유식론(成唯識論)》에 포함된 그의 주석 외에, 《대승백론석론(大乘百論釋論)》·《성유식보생론(成唯識寶生論)》·《관소연론석(觀所緣論釋)》등이 있다.[3]

호법은 학설은 중국 · 한국 · 일본 불교유식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장(玄裝: 600~664)은 호법의 제자 계현(戒賢: ?~?)으로부터 호법 계통의 유상유식파의 학설인 경공심유방편유식설을 전해받고 많은 경론을 번역함과 동시에 유식의 교리를 선양했다.[2][6] 세친의 《유식삼십송》에 대한 유식 10대 논사의 학설을 호법의 학설을 중심으로 하여 현장이 번역 · 편집한 《성유식론》은 중국일본법상종의 소의 논서가 되었다.[7] 즉, 경공심유방편유식설을 주장한 유상유식파의 계보가 현장을 통해 중국 · 한국 · 일본 불교법상종으로 이어졌다.[2][7]

한편, 미륵무착세친덕혜(德慧, Gunamati: 5세기 후반~6세기 전반) → 안혜(安慧, Sthiramati: 475~555 또는 510~570)로 이어진,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에 비친 객관의 모습은 허구라는 관점, 주관에 형성된 대상의 모습에는 고유한 본질적 성질이 없다는 관점, 즉 마음에 내재(內在)하는 사물의 모습은 허구라는 관점의 경식구공(境識俱空: 현상도 없고 마음(제8식)도 없다, 현상과 마음(제8식)이 모두 사라진 곳에 진여(제9식)가 있다)의 진실유식설(眞實唯識說)은 인도 불교에서는 무상유식파(無相唯識派)라고 불렸는데, 이 유파의 학설은 진제(眞諦: 499~569)에 의해 중국에 전파되어 섭론종으로 발전하였다.[2][8][9] 진제가 번역한 《섭대승론》(563)을 소의 논서로 하여 성립된 섭론종유식설구역(舊譯) 또는 구유식(舊唯識)이라 하고 현장(玄奘: 602~664)이 번역 · 편집한 《성유식론》(659)을 소의 논서로 하여 성립된 법상종유식설신역(新譯) 또는 신유식(新唯識)이라 한다.[6]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곽철환 2003, "유상유식(有相唯識)".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
    "유상유식(有相唯識): 마음에 비친 객관의 모습은 실재라는 관점. 주관에 형성된 대상의 모습은 고유한 본성을 지니고 있다는 관점. 마음에 내재(內在)하는 사물의 모습은 허구가 아니라는 관점. 진나(陳那)·무성(無性)·호법(護法)·계현(戒賢)·현장(玄奘) 계통의 유식학이 이러한 관점임. ⇒ 무상유식 (無相唯識)"
  2.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유식파의 계보,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유식파의 계보: 唯識派-系譜 유식설(唯識說)은 비스반두 이후 인도의 사상계에 있어서 대단히 우세하게 되어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으며 여러 가지 이상한 학파(異流)를 성립시켰다. 아상가. 바스반두에서 유래한 경식구공(境識俱空)을 주장하는 진실유식설(眞實唯識說)은 인도에서는 무상유식파(無相唯識派)라고 호칭된다. 이는 진제삼장(眞諦三藏, 499∼590)에 의해 중국에 전파되어 섭론종(攝論宗)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대하여 일단 식(識)의 존재를 인정하는 입장, 즉 경공심유(境空心有)의 방편유식설(方便唯識說)은 유상유식파(有相唯識派)가 주장한 것으로서, 디그나가(Dignaga 陳那·域龍)에서 시작하여 무성(無性)을 거쳐 호법(護法 530∼561)에 이르러 대성하였다. 이는 현장 삼장(玄裝三藏)에 의해 중국·한국에 전해져 법상종(法相宗)이 되었다. 디그나가는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 등을 저작하였다. 그는 지식근거로서 직접지각(直接知覺)과 추론(推論)과의 두 종류만은 승인하면서, 직접지각은 분별(分別)을 떠난 것이어서 내용이 없는 것이지만, 추론의 작용이 가(加)해짐으로써 구체적인 지식으로서 성립한다고 한다. 또 보편(普遍)의 존재를 부인하여, 그것은 타자(他者)의 배제(排除)에 의하여 부정적으로 구상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참뜻으로 말하는 개별자란 작용의 어느 순간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는 '신인명(新因明)'을 확립하였다. 샨카라스바민(Sankarasvamin)의 <인명입정이론(因明入正理論)>(玄裝譯)은 그 입문서(入門書)인데, 중국·한국에서는 인명(因明)의 근본 전적(根本典籍)으로서 많이 연구되었다. 디그나가의 논리사상은 다르마키르티(Dharmakirti, 法稱, 650?)에 의해서 더 한층 세밀한 것으로 되었다. 그에 의하면 각 순간이 승의(勝義)에 있어서 어떤 것이다. 우리는 각 순간의 연속으로서 의식의 흐름을 상정(想定)하여 개인의 사유에 의하여 구상된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한다. 그는 또 논거 그 자체로부터 인도되어 나오는 추론과 결과를 논거로 하는 추론과를 구별하였다."
  3. 운허 & 동국역경원. "護法(호법)" Archived 2016년 3월 6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14일에 확인.
    "護法(호법): [1] 교법을 보호함. [2] 인도 스님. 【범】 Dharmapāla 달마파라(達磨波羅)라 음역. 남인도 달라비다국 사람. 6세기 초에 건지보라성 대신의 맏아들로 태어나서, 이웃 나라 공주와 약혼하고, 결혼하는 날 저녁에 절에 들어가 출가하여 불법을 수학. 마침내 사방으로 돌아다니면서 교법을 크게 선양하다. 중 인도 교상미국과 비색가국에서 외도들과 대론하여 이름을 드날리고, 뒤에 마갈타국 나란타사에 있으면서 교화에 힘쓰다. 29세 이후로는 대보리사에 숨어 있으면서 선관(禪觀)을 닦는 여가에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의 해석서를 지어서 세친(世親)의 종의(宗義)를 밝히고, 32세에 죽다. 인도 유식 10대론사의 한 사람으로 유명. 저서로는 『성유식론(成唯識論)』ㆍ『대승백론석론(大乘百論釋論)』ㆍ『성유식보생론(成唯識寶生論)』ㆍ『관소연론석(觀所緣論釋)』 등이 있다."
  4. Williams, Paul (1989)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London: Routledge, p.88
  5. "호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백과사전》. 2011년 3월 14일에 확인.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학승이다. 세친(世親)의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에 주석을 더하여 세친의 사상 해석에 새로운 면을 개척하였다."
  6.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법상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법상종: 法相宗 법상종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라고도 한다. 인도에서는 미륵(彌勒)·무착(無着)·세친의 유가유식파(瑜伽唯識派)에 기원하며 당나라 태종 시대에 인도로 경전을 구하러 간 현장(玄裝, 600∼664)이 호법(護法)의 제자 계현(戒贅)으로부터 호법 계통의 유식설을 전해받고 많은 경론(經論)을 전역(傳譯)함과 동시에 유식의 교리를 선양했다. 진체삼장(眞諦三藏)에 의해서 전해진 유식설을 '구역(舊譯)'이라고 함에 대해 이 현장이 전한 것을 '신역(新譯)'이라 한다. 현장은 호법의 설을 중시하여 <성유식론(成唯識論)>을 번역, 그의 제자 자은대사 규기(慈恩大師 窺基, 632∼682)가 <성유식론 술기(成唯識論述記)>·<대승법원의림장(大乘法苑義林章)> 등을 저술하여 법상종을 조직화했다. 규기와 동학(同學)으로는 원측(圓測)이 있으며 또한 문하생인 혜소(惠沼), 법손(法孫)인 지주(智周)는 규기와 함께 중국 법상의 삼조(三祖)라고 불린다. 극히 이론적이며 종교성이 빈약하기 때문에 종파로서는 얼마 후에 쇠퇴하나 법상종에 의해 개척된 유식법상의 교학(敎學)은 <구사론(俱舍論)>과 함께 훗날 불교 연구의 기초학으로서 중시되었다."
  7.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성유식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성유식론: 成唯識論 원명을 비즈냐프티마트라타싯디 샤스트라(Vijnaptimatratasiddhi­sastra)라고 하며, 세친(世親:320∼400경)의 저작이다.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에 호법(護法, 530∼600?)이 주석을 가한 것을 주로 하고 거기에다 다른 유식10대논사(唯識十大論師)의 학설을 취사선택하여 659년에 현장(玄奬)에 의하여 번역 편집된 것으로서,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불역(佛譯)도 있다. 유식설(唯識說)은 중기 대승불교의 유가행자(瑜伽行者)라고 불리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여 미륵(彌勒)·무착(無着)·세친(世親)에 의하여 계승되고 체계화된 학설로서, 일체의 식(識)은 표현이며 유식(唯識)만이 진실이고 외계의 대상은 실유(實有)가 아니다(唯識無境)라고 하는 것이 불교 무아설(無我說)의 귀결이라고 주장한다. 본론(本論)도 이런 입장에서 우선 외도(外道)의 설을 논파(論破)하고 이어서 대상을 낳는 주체(主體)인 아라야식, 아법2집(我法二執)의 근원이 되는 마나식, 6가지 요별작용(了別作用)을 하는 6식(六識)을 분명히 하고 나아가 제법(諸法)을 성격상으로 나눈 3성(三性)과 3성이 공(空)임을 나타내는 삼무성(三無性)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식수행(唯識修行)의 해위(楷位)로서 5위(五位)의 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끝을 맺었다. 중국과 일본의 법상종(法相宗)은 이 논에 기하여 세워진 종파이다."
  8. 곽철환 2003, "무상유식(無相唯識)".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
    "무상유식(無相唯識): 마음에 비친 객관의 모습은 허구라는 관점. 주관에 형성된 대상의 모습에는 고유한 본성이 없다는 관점. 마음에 내재(內在)하는 사물의 모습은 허구라는 관점. 미륵(彌勒)·무착(無著)·세친(世親)·안혜(安慧)·진제(眞諦) 계통의 유식학이 이러한 관점임."
  9. 한국사전연구사 1998, "안혜(安慧, Sthiramati)".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
    "안혜(安慧, Sthiramati): 인도 대승불교의 학승으로 일설에 510~570년경의 사람이라고도 한다. 유가행유식파(瑜伽行唯識派) 소속으로 10대 논사의 한 사람. 산스크리트명은 스티라마티(Sthiramati). 서인도의 카티아와르반도에 있는 와라비에서 태어나고, 덕혜(德慧)의 가르침을 받았다. 안혜의 학설은 <무상유식(無相有識)>이라고 하며, 동시대에 활약한 호법(護法)의 학설 <유상유식(有相唯識)>과 구별된다. 그 특색은 모든 마음 작용을 근저부터 규정하고 있는 잠재의식, 즉 아라야식(識)은 궁극적으로는 부정되며, 보는 것과 보여지는 것의 구별을 상실한 절대지(絶對知)를 얻는다. 그때 개체에는 최고 실재만이 있으며, 아라야식(識)은 없다고 한다. 『유식삼십송석론(唯識三十頌釋論)』, 『대승장엄경론석(大乘莊嚴經論釋)』, 『중변분별론석(中邊分別論釋)』,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등의 유식설 관계의 여러 주석 외에 『대승중관석론(大乘中觀釋論)』이나 『구사론실의소(俱舍論實義疏)』 등의 중관파(中觀派)나 소승불교의 논서에 대한 폭넓은 연구도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