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덕영
홍덕영(洪德泳, 1926년 5월 5일, 함흥 ~ 2005년 9월 13일)은 대한민국의 축구감독이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축구선수였다. 그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첫 해외 원정, 첫 올림픽, 첫 FIFA 월드컵에 출전했던 한국 축구의 1세대이다. 함흥고등보통학교와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했으며 1948년 런던 올림픽과 195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던 골키퍼였고, 국가대표 은퇴 뒤에는 국제심판과 고려대 축구부 감독(1959년 ~ 1962년), 서울은행 감독(1969년 ~ 1976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1970년 ~ 1971년) 감독, 대한축구협회 부회장(1985년 ~ 1987년)을 역임했고, 2002년 FIFA 월드컵 조직위원회 위원도 역임하며 한국 축구의 사상 첫 월드컵 4강 진출의 큰 역할을 수행했다.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Hong Deok-Yeong | |||||
출생일 | 1926년 5월 5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함흥시 | |||||
사망일 | 2005년 9월 13일 | (79세)|||||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키 | 176cm | |||||
포지션 | 감독 (과거 골키퍼) | |||||
청소년 클럽 기록 | ||||||
고려대학교 | ||||||
클럽 기록* | ||||||
연도 | 클럽 | 출전 | (득점) | |||
1951-1955 | 조선방직 축구단 | |||||
국가대표팀 기록‡ | ||||||
1947-1954 | 대한민국 | 25 (0)[1] | ||||
지도자 기록 | ||||||
1959-1962 1969-1976 1970-1971 |
고려대학교 서울은행 축구단 대한민국 | |||||
* 클럽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 등 공식 경기 기록만 집계함. 또한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3년 1월 1일 기준임. ‡ 국가대표팀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3년 1월 1일 기준임. |
생애편집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하계 올림픽을 시작으로 첫 국제경기에 참가했는데 이때 홍덕영도 골키퍼로 참가했었다. 당시 첫 경기의 상대는 멕시코였고 그 당시 멕시코를 5 : 3으로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한다. 하지만 8강 상대는 바로 유럽의 전통 강호 스웨덴이었고 졸전 끝에 결국 0 : 12의 대패를 당했으며 이날의 패배는 한국 축구 역사상 최대점수차 패배로 남겨지게 되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한국 전쟁이 종식된 뒤인 1954년 FIFA 월드컵예선에서 일본을 상대로 각각 5 : 1로 승리, 2 : 2로 비겨 1승 1무로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게 된다. (홍덕영은 훗날 1954년 3월 7일 일본 도쿄에서 열렸던 스위스 월드컵 플레이오프 경기를 가장 인상적인 경기로 기억했다. 그는 "일본 땅에 처음 펄럭이는 태극기와 애국가 연주를 들으면서 느꼈던 뭉클한 기억을 죽어서도 잊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경기에서 한국은 일본에 5-1로 이겼다). 이것이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본선이었다. 하지만 헝가리와 터키에게 각각 9 : 0, 7 : 0이라는 엄청난 점수로 패배하여 돌아왔다. 특히 헝가리전에서 홍덕영은 푸슈카시의 강력한 슈팅으로 인하여 공포에 질리기도 했다. 홍덕영은 이 대회에서 2경기 16골을 실점한 선수였다.
그 뒤 선수생활을 접고, 1957년부터 1967년까지 국제심판으로 활동했고,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모교인 고려대, 1969년부터 1976년까지 서울은행 감독을 맡아 수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국가대표 감독(1970년 ~ 1971년)을 역임했고, 1974년에는 국제축구연맹에서 주는 심판특별상을 받기도 했다. 대한축구협회 이사를 거쳐 1985~1986년 2년 동안은 축구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 뒤 한일월드컵 조직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그는 대한민국 축구 역사의 시작을 알렸던 축구인 중 하나였으며, 20세기 한국축구의 거목 7인 중 하나이다.
그는 2005년 고(故) 김용식, 거스 히딩크 감독 등 여섯 명과 함께 대한축구협회가 선정한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2]
말년에 그는 당뇨 합병증으로 시력을 잃은데다 발가락 절단 수술을 받는 등 힘겨운 투병생활을 했다.
축구 경력편집
- 보성전문학교
- 1948년 런던 올림픽 대표
- 1954년 스위스 월드컵 대표
- 국제 심판(1954년 ~ )
- 고려대 축구부 감독(1959년 ~ 1962년)
- 서울은행 감독(1969년 ~ 1976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970년 ~ 1971년)
- 2002년 한일 월드컵 조직위원회 위원
- 대한민국 20팀 감독 2002~2009.3.2일
수상 경력편집
- FIFA 국제축구연맹 심판특별상(1974년)
- 축구 명예의 전당 선수부문 헌액 (2005년)[2]
각주편집
- ↑ 축구원로 홍덕영씨 부고, 《서울신문》, 2005년 9월 14일 작성.
- ↑ 가 나 “축구 명예의 전당에 홍덕영, 차범근 등 7명 헌액”. 2005년 3월 17일. 2008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WorldReferee 프로필 (영어)
전임 한홍기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1971년 11월 |
후임 박병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