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일양력(그레고리력)으로 1번째 날(첫해가 시작될 날)이다.

12월 - 1월 - 2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24년 기준
모두 보기
1월 1일
2026년: 목요일 2025년: 수요일
2024년: 월요일 2023년: 일요일
2022년: 토요일 2021년: 금요일
2020년: 수요일 2019년: 화요일
2018년: 월요일 2017년: 일요일
2016년: 금요일 2015년: 목요일
2014년: 수요일 2013년: 화요일
2012년: 일요일 2011년: 토요일
2010년: 금요일 2009년: 목요일
2008년: 화요일 2007년: 월요일
2006년: 일요일 2005년: 토요일
2004년: 목요일 2003년: 수요일
2002년: 화요일 2001년: 월요일
2000년: 토요일 1999년: 금요일
1998년: 목요일 1997년: 수요일
1996년: 월요일 1995년: 일요일
1994년: 토요일 1993년: 금요일
1992년: 수요일 1991년: 화요일

새해 첫날

편집

전세계적으로 새해를 맞이할 날인 새해 첫날로서 기념한다. 기원전 45년 카이사르로마 공화정의 유일한 권력자가 된 후, 봄의 시작에서 한겨울인 이 날로 1월 1일을 옮겼다. 그 근거가 로마의 남부 지방 이집트[1]에서는 옮겨진 1월 1일이 한겨울이 아닌 따뜻한 날짜라는 것이었으며, 옮기기 전에 1월 1일은 지금의 3월 1일이다.[2]

대한민국에선 이 날을 음력 1월 1일과 구분하여 '양력설' 또는 '신정(新正)'이라고 부른다. 일제강점기이승만 정부 시대와, 박정희 정부 시대 때에는 이중과세(二重過歲) 문제를 없앤다는 구실로 양력설만을 연휴(1월 1~3일)로 지정하고, 음력설을 쇠지 못하게 강제하여 서울 등 대도시에서는 양력설에 차례를 지내던 가정도 존재했다. 그러나, 음력설은 1985년 민속의 날이란 이름으로 공휴일이 됐고, 1989년 설날이란 이름을 되찾고 3일 연휴가 됐다. 이후 양력설은 연휴가 순차적으로 폐지되고, 1월 1일 하루만 공휴일이 된 것이다.

사건

편집

문화

편집

탄생

편집

미상

편집

사망

편집

기념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샐러드, 율리우스 카이사르(시저)”. 동아사이언스. 2019년 8월 27일. 
  2. “달력은 동서양 역사와 문화의 산물”. 사이언스타임즈. 2020년 1월 4일. 
  3. [네이버 지식백과] 단군기원 [檀君紀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1961년 12월 2일부 법률 제775호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대한민국의 공용연호는 서력기원으로 한다.”고 하고, 다시 그 부칙에서 “본 법은 서기 1962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법률 제4호에 관한 법률은 이를 폐지한다. 본 법 시행 당시의 공문서 중 단기로 표시된 연대는 당해 연대에서 2,333년을 감하여 이를 서력연대로 간주한다.”고 법제화함으로써 단군기원은 폐지되고 서력기원이 채택되었다.
  4. [네이버 지식백과] 단군기원 [檀君紀元]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1948년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의 수립과 동시에 모든 공문서(公文書)에 단군기원을 사용하기로 하여 10여 년간 시행해오다가 1961년 5 ·16군사정변 후 정부가 폐기하였고, 그 뒤부터 서력기원을 쓰고 있다.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