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윤석
조선 영·정조 시대의 학자

황윤석(黃胤錫, 1729년 5월 25일(음력 4월 28일) ~ 1791년 5월 19일(음력 4월 17일)[2])은 조선 영·정조 시대의 학자이다. 본관은 평해(平海)이고, 호는 이재(頤齋)이다. 김원행의 제자로 특히 경학에 밝았다. 1747년 영조 때 사마시에 급제하여 익찬에 이르렀다.
황윤석
黃胤錫 | |
---|---|
前 조선국 성균관 익찬 | |
임기 | 1761년 ~ 1783년 |
군주 | 영조 이금 정조 이산 |
섭정 | 사도장헌왕세자 이선(前) 왕세손 이산(前) 도승지 홍국영(前) |
신상정보 | |
출생일 | 1729년 5월 25일(음력 4월 28일) |
출생지 | 조선 전라도 흥덕현 구수동[1] |
사망일 | 1791년 5월 19일음력 4월 17일) | (61세) (
사망지 | 조선 전라도 전주 |
경력 | 실학자 겸 관료 |
정당 | 무소속 |
종교 | 유교(성리학) |
상훈 |
황윤석은 이재난고에서 1768년 7월 과거시험을 본 다음 날 점심에 일행과 함께 냉면을 시켜 먹었다라고 기술하였는데, 이는 한국사 최초의 배달 음식에 대한 기록으로서, 역사적이며 특이한 기술이다.
저서편집
- 《이재난고》(頤齋亂藁) - 시도유형문화재 제111호
- 《이재유고(頤齋遺稿)》 25권
- 《이재속고》(頤齋續稿)
- 《이수신편》(理藪新編)
- 《자지록》(恣知錄)
-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 : 아래 《자모변》과 함께 오늘날 국어 연구에 있어서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 《자모변》(字母辨)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지금의 전북 고창군 성내면 조동.
- ↑ 강신항 외 (2007년 11월 30일).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180쪽. ISBN 978-89-7105-641-7.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
- (한국관광공사) 황윤석 생가 - 시도민속문화재 제2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