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슈카랴나어

히슈카랴나어(Hixkaryana)는 브라질 아마존강 지류인 냐문다강 상류 지역에서 약 600명이 사용하는 카리브어족 언어이다. 처음으로 발견된 OVS형 언어로 여겨진다(언어학자 데스몬드 C. 더비셔가 처음 보고하였다).

히슈카랴나어
사용 국가 브라질
사용 지역 아마조나스주 냐문다강 상류
언어 인구 600명 (2000년)
언어 계통 카리브어족
 파루코토어파
  와이와이어군
   히슈카랴나어
언어 부호
ISO 639-3 hix 히슈카랴나어
글로톨로그 hixk1239[1]

음운론

편집

히슈카랴나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ɲ
파열음 p b t d ɟ k
마찰음 ɸ s ʃ h
탄음 ɾ ɽˡ
접근음 j w
  • /ɽˡ/설측 개방되는 권설 탄음이다.
  • 철자법은 다음과 같다. /tʃ ɟ/ = tx dy; /ɸ ʃ/ = f x; /ɲ/ = ny; /ɽˡ/ = ry; /j/ = y.

히슈카랴나어의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전설 후설
고모음 ɯ, u
중고모음 e
중저모음 ɔ
저모음 æ

모음 /ɯ/, /u/, /e/, /ɔ/, /æ/는 각각 ɨ, u, e, o, a로 표기된다.

문법

편집

히슈카랴나어에서 논항은 동사에 인칭 접두사로 표시된다. 이 접두사들은 직행-역류 체계와 비슷한 체계를 이루며, 2인칭 > 1인칭 > 3인칭의 위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논항이 동사에 표시된다. 이 위계에서 타동사의 목적어가 주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O-접두사가 사용된다. 그 외에는 A-접두사가 사용된다.

A-접두사 O-접두사
1A 0-/ɨ- 1O r(o)
2A m(ɨ)- 2O o(j)-/a(j)-
1+2A t(ɨ)- 1+2O k(ɨ)-
3A n(ɨ)-/j-

자동사에 붙는 인칭접두사도 위에 나온 타동사 인칭접두사와 유사하며, 분열 자동사 체계를 이룬다. 논항의 수 정보는 시제, 상, 법, 수를 한꺼번에 나타내는 동사 접미사로 표시된다.

대부분의 경우 인칭접미사를 통해 두 논항 중 어느 것이 주어이고 어느 것이 목적어인지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러나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3인칭인 경우, 인칭접미사만 가지고는 주어와 목적어를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어순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히슈카랴나어는 OVS형 기본 어순을 지녔다고 알려져 왔다. 아래의 예문 “toto yonoye kamara”은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인 “남자가 재규어를 먹었다”로는 해석될 수 없으며 목적어-동사-주어 어순인 “재규어가 남자를 먹었다”로만 해석될 수 있다.

toto yonoye kamara
toto y- ono -ye kamara
person 3SG- eat -DIST.PAST.COMPL jaguar
"재규어가 남자를 먹었다."

간접목적어는 주어 뒤에 나온다.

bɨryekomo yotahahono wosɨ tɨnyo wya
bɨryekomo y- otaha -ho -no wosɨ tɨnyo wya
boy 3SG- hit -CAUS -IMM.PAST woman her-husband by
"여자가 남편에게 아이를 때리도록 했다."

또한 비정형 내포절의 어순은 SOV이다.[2] 대부분의 OV 언어처럼 히슈카랴나어는 후치사를 사용한다.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Hixkaryana〉.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https://web.archive.org/web/20070221213347/http://www.ling.umd.edu/~soltan/LING419B/Handouts/handout3.pdf

참고 문헌

편집
  • Aikhenvald, A. & Dixon, R. (Eds.) (1999). 《The Amazonian Languag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521-57021-2. 
  • Derbyshire, D. (1979). 《Hixkaryana》. Amsterdam: North-Holland Publishing. ISBN. 
  • Derbyshire, D. (1985). 《Hixkaryana and Linguistic Typology》. Dallas, TX: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ISBN 0-88312-082-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