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4년 아리카 지진

남아메리카에서 발생한 지진

1604년 아리카 지진은 1604년 11월 24일 오후 1시 30분경 스페인 제국 페루 도독령(현 칠레) 아리카 서부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추정 규모는 표면파 규모 기준 Ms8.0~8.5, 모멘트 규모 기준으로 최대 Mw9.0이다. 지진으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해 아리카 시가지가 파괴되었으며 아레키파가 큰 피해를 입었다. 쓰나미는 1,200 km에 달하는 해안선에 피해를 입혔다.[3] 지진으로 기록된 여러 피해는 1868년 아리카 지진 당시의 피해와 매우 유사한데 이는 나스카판남아메리카판 사이의 경계인 메가스러스트 섭입대에서 난 지진임을 의미한다.[4] 멀리 채텀 제도에 남아 있는 지진해일 퇴적물도 1604년 본진의 영향으로 발생했다고 추정된다.[5]

1604년 아리카 지진
1604년 아리카 지진은(는) 페루 안에 위치해 있다
1604년 아리카 지진
본진
UTC 시각1604-11-24 18:30:00
현지일1604년 11월 24일
현지시간13시 30분경
규모   표면파 규모 8.0~8.5
Muk9.0[1]
최대 진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 XI : [2]
진원 깊이30[2] km
진앙칠레 아리카 서쪽 해역
남위 18° 30′ 서경 70° 24′ / 남위 18.5° 서경 70.4°  / -18.5; -70.4
종류스러스트 단층형 지진, 칠레-페루 해구 지진
피해
피해 지역현 칠레 및 페루 지역
지진해일큰 높이로 발생
사상자100여명 이상[2]

지질학적 환경

편집

페루와 칠레 해안을 끼고 있는 나스카판페루-칠레 해구를 따라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한다. 지진이 발생한 해역에서 두 판의 수렴 속도는 1년에 약 6 cm이다.[6] 판 경계에서는 큰 규모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며 페루-칠레 해구에서도 1687년, 1784년, 1868년 2001년에 이와 유사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주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지진이 여러 차례 반복해서 일어나다 긴 주기로 매우 큰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는 양 모드성 주기를 띈다. 1604년과 1868년 지진이 대표적인 긴 주기의 매우 큰 지진에 해당한다.

지진

편집

이 지진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으나 1868년 아리카 지진과 규모 및 발생 단층이 거의 비슷하다고 추정된다.[3] 아레키파, 타크나, 모케과에서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VIII 이상의 흔들림을 느꼈고, 쿠스코, 이카에서는 VI 이상의 흔들림을 느꼈다.[1] 파열된 단층 길이는 400~450 km 사이로 추정된다.[7] 1604년 지진의 경우에는 나즈카 해령 북쪽으로는 단층 파괴가 일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1868년 지진과 같이 규모가 매우 큰 지진만이 반영구적인 단층장벽을 통과해 단층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다.[1]

쓰나미

편집

지진으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해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 쓰나미는 1868년 지진과 함께 "페루-칠레 해구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역사적 쓰나미"로 불린다. 쓰나미의 최대 높이는 약 16 m로 추정된다.[8] 리마에서 콘셉시온 사이 최소 1,200 km, 최대 2,800 km 길이 남아메리카 해안에서 쓰나미가 닥쳤다.[4] 오세아니아의 채텀 제도에서도 1604년 쓰나미로 인한 흔적과 퇴적물이 발견되었다.[5]

피해

편집

아리카는 지진 후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고, 아레키파는 산프란치스코 수도원만 남고 나머지 건물들이 전부 무너졌다.[3] 피스코에서는 마을 특정 지역만 피해를 입었다.[4] 태평양 건너편에서도 피해가 보고되었다.[3] 전반적으로 1868년 지진과 피해가 비슷했다.[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Wong 등. 2012.
  2.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CEI/WDS Global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1972).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doi:10.7289/V5TD9V7K. 2022년 3월 30일에 확인함. 
  3. Lomnitz 2004.
  4. Okal, Borrero & Synolakis 2006.
  5. Goff 등. 2010.
  6. Villegas-Lanza 등. 2016.
  7. Comte & Pardo 1991.
  8. Kulikov, Rabinovich & Thomson 2005.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