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제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1981년 10월 2일부터 10월 4일까지 3일 간 서울에서 개최되었다.[1] 당시에는 '전국 장애자 체육대회' 또는 '전국 장애자 체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이 대회는 UN이 1981년을 세계 장애인의 해로 지정한 것을 기념하여 한국장애자재활협회 (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개최하였다.[2] 10월 2일 오전 10시에 개최된 개회식에서는 이순자 여사가 개회사를 하였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2가 1(현 종로구 새문안로 45, 새문안로 55)에 위치한 현대인력개발원 (현 현대건설기술교육원) 운동장 (전 서울고등학교 부지, 현 경희궁), 여의도 고수부지, YMCA 체육관, 정립회관 (수영) 등이다. 이 대회에서는 육상, 수영, 탁구 등 11개 종목에서 중등부, 고등부, 일반부 등으로 나누어 경기가 펼쳐졌다.[3][4]
1981년 전국체육대회 | |
---|---|
대회 | 제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개최국 | ![]() |
개최 도시 | 서울 |
참가 선수 | 761명 (남자: 615명, 여자: 146명) |
경기 종목 | 6개 종목, 11개 세부 종목 |
개막식 | 1981년 10월 2일 |
폐막식 | 1981년 10월 4일 |
개회 선언 | 이순자 |
1982 » |
장소편집
- 현대인력개발원 (육상)
- 정립회관 (수영)
- YMCA 체육관 (역도, 유도, 맹인탁구)
- 여의도 순환도로 (마라톤)
종목편집
- 육상: 100m (휠체어), 60m (청각장애), 투포환 (하체 마비 및 절단장애), 멀리뛰기, 높이뛰기
- 휠체어 마라톤 10km
- 역도
- 유도
- 수영
- 탁구
1개 세부종목 미상
각주편집
- ↑ “장애자 體典 폐막”. 《동아일보》. 1981년 10월 5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장애자 體典 폐막”. 《동아일보》. 1981년 10월 5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全國서 7백61명 參加 障碍者體典 개최”. 《매일경제》. 1981년 10월 2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國內 첫 障碍者體典 열려 李順子(이순자)여사 개회사 國內(국내) 첫障碍者體典 열려 李順子 여사 개회사”. 《동아일보》. 1981년 10월 2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첫 障碍者 체육대회”. 《조선일보》. 1981년 10월 3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제1회 全國장애자 體育大會 여는 文炳基 재활協會長 인터뷰”. 1981년 9월 8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더힘껏"…장애자 體典”. 《동아일보》. 1981년 10월 3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
- ↑ “제1회 全國장애자 體育大會 여는 文炳基 재활協會長 인터뷰”. 1981년 9월 8일. 2022년 6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