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서 넘어옴)

서울특별시(-特別市, 영어: Seoul Special City)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문화·인문·정치·경제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시로, 경기도인천광역시까지 아우르는 수도권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특별시로 지정된 도시로서, 2023년 기준으로 인구 수는 약 940만 명이다.

서울
특별시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숭례문, 명동성당, 청계천, 경복궁 근정전, 63빌딩, N서울타워
시기 휘장
파일:동행·매력 특별시 서울.svg
슬로건
Map
서울특별시의 지도
서울특별시 행정구역도
서울특별시 행정구역도
서울특별시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북위 37° 34′ 00″ 동경 126° 58′ 41″ / 북위 37.56667° 동경 126.97806°  / 37.56667; 126.97806
행정
국가대한민국 대한민국
행정 구역25구
청사 소재지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시장오세훈 (국민의힘)
지리
면적605.23㎢
해발38m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9)
인문
인구9,411,260명(7월기준) (2023년)
인구 밀도15,615.17명/km2
지역어경기 방언
상징
시목은행나무
시화개나리
시조까치
마스코트해치
표어동행·매력 특별시 서울
지역 부호
우편번호01000 ~ 08999
지역번호02[1]
ISO 3166-2KR-11
웹사이트http://www.seoul.go.kr/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였으나 본 역사는 백제 첫 수도인 위례성을 시초로 한다. 삼국시대에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고구려, 백제, 신라가 번갈아 차지하였으며, 고려 시대에는 왕실의 별궁이 세워진 남경(南京)으로 이름하였다.

1394년 태조가 남경으로 천도한 뒤 그 이름을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하면서 조선의 수도로 삼았다. 태조는 한성에 경복궁종묘, 사직을 세우고 한양도성과 4대문으로 수도로서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임진왜란병자호란 등의 전란으로 파괴되었으나 500년 넘게 조선의 수도이자 중심으로 기능하였다.

1896년 대한제국 선포 이래 전차, 교각 등의 근대 기반시설이 건설되면서 변모하기 시작한 한성부는 1910년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경성부(京城府)로 개칭되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수도로서 용산, 영등포 등지로의 영역 확장을 겪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서울로 개칭되고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특별시 지위에 올랐고, 한강의 기적강남 개발 등의 대대적인 경제성장을 거쳐,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 2010 G20 정상 회의 등을 개최하면서 대한민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지로 거듭났다.

중앙으로 한강이 흐르고, 북한산, 관악산, 도봉산, 불암산, 인릉산, 청계산, 아차산 등의 산들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의 도시이다. 면적은 605.23 km2대한민국 면적의 0.6%이고, 인구는 약 950만 명으로 대한민국 인구의 17%를 차지한다. 시청 소재지는 중구이며, 25개의 자치구가 있다. 대한민국의 총생산 가운데 절반을 차지하는 경제력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으로 2018년 서울의 지역 내 총생산은 422조 원이었다.[2]

지명 편집

어원, 명칭 편집

"서울"의 어원에 관해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나,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도를 뜻하는 신라 계통의 고유어서라벌에서 유래했다는 설을 유력하게 받아들이고 있다.[3] 이때 한자 가차 표기인 서라벌 원래 의미에 관해서도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삼국사기 등에서 서라벌을 '금성'으로도 표기했다는 점과 신라까지 포함하여 "설[새: 新, 金]-벌[땅: 羅, 城]", 즉 '새로운 땅'이라는 뜻으로 새기는 견해가 있다. 고대-중세 한국어에서 서라벌에 관한 정확한 발음을 확실하게 확인한 게 없으며, 그 발음은 훈민정음 창제 후 "셔ᄫᅳᆯ"이라는 표기가 등장하고 나서 알게 되었다.

서울 한자 음차 표기로는 이십일도회고시, 한경지략, 증보문헌비고[4]의 서울(徐菀), 동사강목, 북학의의 서울(徐蔚), 대동지지의 서울(徐鬱), 앙엽기의 서올(徐兀) 등이 있다.[5] 이처럼 조선 시대 서울은 한양, 한성(漢城) 외에도 서울(셔ᄫᅳᆯ), 경도(京都), 경부(京府), 경사(京師), 경성(京城), 경조(京兆) 등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김정호수선전도에서 알 수 있듯 수선(首善)으로 표기한 예도 있다. 이 가운데 한양과 한성을 제외하면 모두 수도를 뜻하는 일반 명사로서 '서울'이 원래는 서울 지역(사대문 안과 성저십리)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닌 수도를 뜻하는 일반 명사였다는 방증이다.

서울이라는 단어는 한국어에서 일반명사로도 사용된다. 국어사전에서는 일반 명사 '서울'을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고, 경제, 문화, 정치 등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다.[6]

1910년 10월 1일에 일제한성부경성부로 개칭함에 따라 일제강점기에 서울은 주로 경성으로 불렸으며, 1945년 광복 후에는 '경성'이란 말은 도태되고 거의 '서울'로 부르게 되었다.[7]

외국어 표기 편집

서울특별시
개정 로마자 표기: Seoul Teukbyeolsi
공식 로마자 표기: Seoul Special City

서울 로마자 표기 'Seoul'은 19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이 서울을 쎄-울(Sé-oul)로 표기한 데서 비롯했다. 오늘날 프랑스에서는 서울을 'Séoul'로 표기하고, 스페인어권에서는 'Seúl'로 쓰나 모두 '쎄울'로 읽는다. 또, 영미권에서는 일반적으로 'Seoul'로 쓰고 영혼을 뜻하는 단어 'Soul'처럼 '쏘울'로 읽는다. 서울시에서는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오세훈 서울시장 재임 기간인 2006년 11월 13일 서울시 서브슬로건(Sub slogan)을 《Soul of Asia》로 지정하였다.

서울은 순우리말 지명이기 때문에 서울이라는 한자가 존재하지 않아서 이전 중국에서는 서울을 한청(중국어 간체자: 汉城, 정체자: 漢城, 병음: Hànchéng, 한성)이라 불렀고, 1988년 서울올림픽도 한성올림픽이라고 불렀으나, 2005년에 서울시가 서울과 발음이 유사한 '셔우얼'(중국어 간체자: 首尔, 정체자: 首爾, 병음: Shǒu'ěr, 수이)을 서울 공식적인 중국어 표기로 정하면서 점차 이 표기가 확산되어 가는 추세다. 일본어 표기는 '소우루'(ソウル)다.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청 문서에서, 서울특별시 영문 공식 명칭은 'Seoul Independent City'였다. 직역하면 "서울독립시"이나, 독립시라는 표현이 어색하다는 한국어 관점에 따라 "특별시"(영어: special city)로 번역한 게 굳어져 'Seoul Special City'로 되었다. 하지만 서울특별시청 홈페이지에서 서울특별시 공식 영어 명칭은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이다.[8]

역사 편집

서울의 역사

선사시대, 삼국시대 편집

오늘날 한강 유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대표적 유적지로는 암사동 선사주거지가 있다. 원삼국시대에는 삼한마한에 속하였다

기원전 18년, 서울 동부 한강변에 백제의 수도 위례성이 세워졌다. 백제는 이후 500년 가까이 위례성을 수도로 삼았다. 475년 고구려장수왕이 이곳을 점령한 후 하남위례성에 한산군(漢山郡)을, 한강 이북에는 남평양(南平壤)을 설치하였다.

551년 백제는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에게서 서울과 한강 하류지역을 탈환했으나, 553년에 나제동맹을 깬 신라에게 공격당하여, 이 지역을 빼앗겼다. 이후, 신라는 옛 위례성 인근에 한강 유역을 관할하는 한산주의 치소(治所)를 설치하였다.

남북국 시대 북한산군와 고려 남경 편집

삼국통일 후 685년 신라는 서울의 한강 이북지역을 한산주가 관할하는 북한산군(北漢山郡)으로 이름하였다. 757년에 한산주를 한주(漢州)로, 북한산군을 한양군(漢陽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개국 후 918년 (고려 태조 1년)에 한양군을 양주(楊州)로,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한주를 광주(廣州)로 각각 개칭하였으며, 1067년(고려 문종 21년)에 양주가 남경(南京)으로 승격되었다.

1308년 남경을 한양부로 개편하였다가 1356년(공민왕 5년)에 한양부를 다시 남경으로 개칭하였다.

조선시대 한성부 편집

 
경조오부도 (1861년)
 
숭례문 (1900년경)

조선 태조는 1392년 개경에서 조선을 건국하고, 1394년 10월 남경으로 천도했다. 당시 한양으로 도읍을 정한 데에는 풍수사상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듬해 1395년에는 한성부로 개칭하고 5부(部) 52방(坊)의 행정 구역을 확정했다. 한성부의 지리적 범위는 사대문 안 도성과 도성 밖 10리(약 4 km)까지의 성저십리(城底十里)로 구성되었다. 1398년 숭례문을 완공하였고, 1404년 경복궁을 준공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조선 선조는 천도를 결정하고 의주로 피난하였다. 1592년 5월 일본군에게 점령된 한양은 이어진 혼란 속에서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궁궐이 화재로 소실되는 일을 겪었다. 이후 1637년에도 병자호란 등 전란을 거치며, 도시의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후에 서서히 재건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 때 5부제를 5서제(署制)로 고치고, 47방 288계 775동이 되었다. 대한제국으로 넘어와서는 근대적인 기반시설이 건설되었다. 1899년 서대문~청량리 단선전차를 처음 개통하였고, 1900년 한강 가교가 준공되었다. 1902년 한성전화소가 서울시내전화교환업무를 시작하였다.

근대 경성부 편집

 
남대문로 (1937년)

1908년 전차선로 가설을 위해 성곽의 일부가 일본군에 의해 철거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도성의 성문이나 성벽 일부를 훼손하고 신작로나 철로를 개설하는 등, 조선 개국 이후로 존재했던 서울의 역사성과 공간구조가 훼손되었다.

1910년 대한제국의 국권을 침탈한 일본 제국은 한성부를 경성부로 개칭하고 경기도에 예속시켜 지위를 격하시켰다. 1911년 경성부의 하부기관을 5부 8면으로 구분하여 성 안은 동·서·남·북·중의 5부로, 성 밖은 용산·서강·숭신·두모·인창·은평·연희·한지의 8개 면으로 구분하였다.

1914년 면(面) 제도를 폐지하고 부제(府制)를 실시하면서 용산·숭신·인창·한지·두모면의 일부를 경성부에 편입시키고, 명칭은 정(町)으로 바꾸었다. 1936년 고양군·시흥군·김포군의 일부 면들이 편입되어 행정구역이 133.94km2로 확장되었다. 1943년에는 구제를 실시하여, 중구·종로구·동대문구·성동구·서대문구·용산구·영등포구 등 7개 구로 나누었다.

현대 서울특별시 편집

1945년 광복과 함께 경성부는 서울시로 개칭되었다. 1946년 9월 28일에 경기도에서 분리하여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하였다.[9] 이는 1949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로 다시 개칭되었으며, 고양군 뚝도면·숭인면·은평면과 시흥군 도림리·구로리·번대방리 등이 편입되어 시역이 268.35 km2로 확장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수도를 부산으로 이전하였고, 6월 2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처음으로 점령하여 임시수도로 삼았다. 9월 28일에 대한민국수복하였으나, 1.4 후퇴 때 다시 서울을 내주고 폐허가 되었다. 1951년 3월 14일에 다시 서울을 수복한 뒤 1953년 정전 협정까지 대한민국의 점령지로 남았다.

1962년 서울특별시행정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어 국무총리 직속기구가 되었고, 시장의 행정적 지위도 장관급으로 격상되었다. 같은해 경기도 광주군·양주군·시흥군·김포군·부천군의 7면 54리를 편입하고 시역을 대규모로 확장하여 593.75 km2가 되었다. 이 때 이른바 강남 등 서울의 한강 이남 지역이 대거 편입되었고,[10] 한강 이북에서는 동북부의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일대가 편입되었다.

1973년 도봉구관악구가 신설되어 11개구가 되었고, 605.33 km2로 시역이 확장되었다. 이후 기존의 행정구역을 분리하여 1975년 강남구, 1977년 강서구, 1979년 은평구, 강동구, 1980년 동작구, 구로구, 1988년 중랑구, 노원구, 양천구, 서초구, 송파구, 1995년 강북구, 광진구, 금천구가 신설되고 광명시의 일부 지역이 금천구로 편입되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2000년 ASEM 정상회담, 2002년 FIFA 월드컵, 2010년 G20 정상회의 등의 국제적인 스포츠 대회와 정상회의를 개최하였다. 서울 주변의 인천경기도위성도시들이 성장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거대한 도시 구조수도권이 형성되었다.

지리 편집

 
한강양화대교 너머로 보이는 북한산의 풍경
 
NASA (나사)의 위성에서 찍은 서울 사진(2004년)

서울은 북위 37° 34′, 동경 126° 59′의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하는 분지 지형의 도시이다. 시의 중심으로 한강이 흐르고, 서울 도심에는 남산(270m), 인왕산(338m)이 있다. 시 주변으로 북한산(836m), 관악산(629m), 도봉산(740m), 수락산(641m), 불암산(510m), 구룡산(306m), 우면산(293m), 아차산(295m), 지양산 등이 서울을 둘러싸며 경기도인천광역시와 자연적 경계를 이루고 있다.[11] 동서 간의 거리는 36.78 km, 남북 간의 거리는 30.3km이며, 면적은 약 605.25 km2이다. 서울의 면적은 대한민국의 0.6%이며 남북한 면적의 0.265%이다. 서울특별시의 최북단은 도봉구 도봉동이고 최남단은 서초구 원지동이며 최동단은 강동구 강일동, 최서단은 강서구 오곡동이다.

편집

서울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북한산(삼각산)을 최고점으로 한 고양·양주구릉과 경기평야가 만나는 지대에 있다. 주위에는 북한산(836m)·도봉산(717m)·인왕산(338m)·관악산(629m) 등 500m 내외의 산과 구릉이 자연성벽과 같이 둘러싸고 있는 분지이다. 광주산맥의 한 줄기인 도봉산은 백운대·인수봉·노적봉의 3개 봉우리가 솟아 있는 북한산과 이어져 있고, 그 산줄기는 다시 남으로 뻗어 북악산(342m)을 솟게 하였다. 그리고 북악산에서 동으로 뻗은 산줄기에 낙산(125m), 서로 뻗은 산줄기에 인왕산이 있다. 인왕산에서 뻗은 산줄기 중 남쪽으로 뻗은 것은 숭례문을 지나 남산(265m)·응봉(175m)과 이어져 있고, 서쪽은 무악재의 안부(鞍部)를 지나 안산(296m)과 이어져 있는데 모두 구릉성 산지이다. 한강 남쪽에는 100m 이하의 구릉지가 펼쳐져 있고, 남쪽에 천연의 요새와 같이 서울의 외곽에 솟아 있는 관악산(629m), 청계산(618m), 구룡산(306m), 우면산(293m) 등이 있다. 그 외에 서울 동부에 불암산, 수락산, 망우산, 아차산 등이 있다.[11]

 
서울의 주요 산 위치도

강 / 하천 편집

서울의 중심에는 한강 하류가 동에서 서쪽으로 흐르고 있다. 하류이기 때문에 구배는 완만하며 물의 흐름은 느리나, 홍수 때는 상·중류의 유역 지방으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 때문에 수위가 높아진다. 여의도는 상류로부터 운반되어 온 토사가 퇴적된 하중도이다. 한강물은 서울시민의 수돗물로도 공급되는데, 과거에는 뚝섬선유도 등에도 취수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잠실 수중보와 팔당 저수지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공급하고 있다.[11] 한강은 일제강점기까지 별다른 정비가 없었다가, 1960년대 이후 한강을 정비하는 사업이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1968년 밤섬폭파한 뒤 여의도를 개발하였고,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잠실 개발계획으로 잠실섬부리도의 남쪽 물길(송파강)을 막아 육지로 만들었다. 1982년 시작된 '한강종합개발사업'을 통해 둔치를 조성하고, 강변 양쪽에 강변북로올림픽대로를 놓았다. 2006년에는 한강 르네상스라는 이름으로 한강 주변을 다시 정비하였다.

한강 이외의 주요 하천으로는 불광천, 안양천, 중랑천, 청계천, 탄천, 양재천, 여의천, 홍제천 등이 있다.

 
서울의 하천 지도

임야 편집

서울의 임야 면적은 2006년을 기준으로 157.35 km2으로, 임야의 51.5%는 국공유림이고 49.5%는 사유림이다. 임야의 분포는 산이 많은 노원구에 17.73 km2, 관악구에 17.53 km2, 강남구에 16.11 km2가 있어서 전 임야의 32.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임야의 많은 부분이 개발 제한 구역으로 묶여 있어서 임야는 잘 보호되고 있는 편이긴 하지만, 임야 면적은 매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12]

도심 편집

 
서울 도심

서울 도심 주변에는 도심을 관통하는 청계천의 계속된 침식으로 북악산과 남산에서 산기슭이 발달되어 기복이 많은 지형이 되었다. 을지로에 있던 구리개, 조선일보사 앞의 황토현(黃土峴)이란 기복은 가로공사와 도시개발에 따라 그 자취를 찾아볼 수 없으나, 현재도 율곡로·퇴계로·을지로 곳곳에서 기복을 찾아볼 수 있다.[11] 이러한 기복 때문에 이 지역에는 고개 또는 현(峴)이란 지명이 남아 있다. 이러한 지명에는 충무초등학교 부근의 풀무고개 또는 대장고개(治峴), 인현(仁峴)·종현(鍾峴)·진고개(泥峴), 계동(桂洞) 일대에 관상감현(觀象監峴), 가회동 일대에 맹현(孟峴)·홍현(紅峴)·안현(安峴)·송현(松峴)·배고개(梨峴) 등이 있다.[11] 이러한 지형은 조선시대에 잘 이용되었다. 풍수설에 따라 북악산 기슭에는 경복궁·창덕궁·창경궁·종묘, 인왕산 기슭에는 덕수궁을 지었고, 궁궐 사이는 궁인(宮人)·귀족·고관 들의 저택지로 이용하였다. 이 지역의 침식으로 운반된 토사는 청계천 연안에 퇴적되어 평탄한 시가지를 형성하게 하였다. 따라서 도심지에서 가장 평탄한 곳은 청계천 북쪽의 연안으로 동대문에서 세종로 사이의 종로이며, 이곳에서는 지형의 기복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11] 삼각지로부터 해발고도 20m의 갈월동을 지나면 지형이 차차 높아져서 서울역 앞에 오면 더욱 높아지기 시작하고, 숭례문 부근은 해발고도가 40m 내외가 된다. 이곳은 분수계(해발 36.6m)가 되어, 동으로는 청계천이 동으로 흘러 중랑천과 합류한다.[11]

지질 편집

한반도 내의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경기 지괴 내에 위치한 서울의 지질은 주로 선캄브리아기편마암류와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화강암류로 구성되며, 하천을 중심으로 이 모두를 부정합으로 덮는 제4기의 충적층이 분포한다.[13]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편집

선캄브리아기의 암석 중 가장 주된 것은 서울도폭(1982)에서 정의된 호상흑운모편마암(PCEbngn; Precambrian biotite gneiss)이다. 지형적으로 저지대를 이루면서 강서구 화곡동,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은평구, 영등포구, 동작구, 강남구, 서초구 등지에 분포한다.[14] 이 암석은 경기편마암복합체의 일부로서, 이 지역 내에서는 가장 오래된 암석으로 기저(基底)를 이루고 있다.[13] 서울 동부지역으로 가면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이 조금 더 세분화되어, 논현동 일대에 분포하는 안구상 편마암(PCEagn)이나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일대에 흩어져 분포하는 운모편암(PCEms) 등으로 분류된다.[15]

중생대 화강암 편집

중생대의 화강암 서울 화강암(Jsgr; Jurassic Seoul granite)은 서울시 북부인 중구, 동대문구, 성북구, 종로구, 노원구, 북한산 지역에 분포한다. 이 화강암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주요 화강암인 대보 화강암의 일부이며, 선캄브리아기편마암류를 관입하고 있다.[14][13] 박병권(1972)에 의하면 서울 화강암의 Rb-Sr 절대연령은 160±10 Ma로 중기 쥐라기에 해당한다.[16] 서울 화강암의 최대 압축 강도는 1100~1440 kg/cm2이며 서울 화강암 내에 단층절리를 생성시킨 압력은 평균 1200 kg/cm2이다.[17]

신갈 단층 편집

신갈 단층한반도 경기 지괴연천군에서 서울특별시와 성남시 분당구 등을 지나 평택시까지 이어지는 연장 130km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18][19] 추가령 단층대의 일부이며, 뚝섬 지질도폭(1981)에 의하면 북쪽으로 의정부도폭(2005), 남쪽으로 둔전도폭(1982)으로 이어지는 남-북 주향의 대규모 단층이다.[15]

기타 편집

화강암은 조립질이면서 다른 암석과는 다르게 절리(節理)가 잘 발달하고 풍화작용에 약하며, 도봉산·백운대·인수봉과 같은 봉우리가 기암절벽을 만들어 서울 특유의 절경을 보여 주고 있다. 홍제동·안암동·창신동·장위동 등지의 화강암은 1990년대까지만 하여도 건축재로 쓰이곤 했다.[20]

화강편마암은 견고한 암석이지만 접착성이 적기 때문에 쉽게 붕괴되어 봉우리를 이루지 못하나, 작은 기복을 이룬 노년기 지형을 나타내주고 있다. 특히 동작동 부근의 화강편마암은 판형으로 쉽게 벗겨져 온돌의 구들장으로 쓰였고, 화강편마암이 풍화되어 된 천호동의 점토는 벽돌과 옹기 제조의 원료로서 많이 쓰였다.[20]


기후 편집

 
창덕궁가을 풍경

서울은 냉대 동계 소우 기후[21](쾨펜의 기후 구분 Dwa)[22] 또는 온대 하우 기후에 속하며, 습윤 대륙성 기후로 분류하기도 한다. 기온의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인해 최한월 평균기온이 영하 3 °C보다 높은 -2.4 °C로 높아져 대한민국 기상청은 온대 하우 기후(Cwa)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는 열섬 현상으로 인한 것으로 외곽 지역은 여전히 -3 °C 미만으로 내려간다는 점과 냉대 기후의 최한월 평균기온 기준을 0 °C 미만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많다는 점에서 온대기후와 냉대기후의 중간정도 되는 기후이다. 여름 기온과 겨울 기온의 연교차가 28.1 °C로 매우 크기 때문에, 겨울은 매우 춥고, 여름은 몹시 무덥다. 최근 30년(1991년~2020년) 기준으로 서울의 연평균 기온은 12.8 °C 이고, 최난월인 8월 평균 기온은 26.1 °C, 최한월인 1월 평균 기온은 -1.9 °C이다. 특히 최한월의 평균 기온은 같은 위도 상의 다른 도시에 비해 낮은 편이다. 시내의 기온 분포는 중구와 같이 가옥이 밀집한 곳과 많은 자동차가 배기가스를 뿜으며 지나는 간선도로, 그리고 도심부의 포장도로가 지나는 지역이 가장 기온이 높고, 한강 연안과 가옥의 밀집도가 낮은 지역은 기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도심의 기온은 여름철의 6, 7, 8월 3개월을 제외하고는 해가 거듭될수록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 계속 기온이 높아진다고 가정하면 약 100년 간에 평균기온은 1.8 °C, 일 최저 기온의 연평균치는 3.1 °C씩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시내의 습도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20]

계절은 여름이 가장 길고 그 다음 겨울, 순서대로이고 가을이 가장 짧다. 봄은 3월 중순부터 시작되는데 월평균 기온이 5 °C 이상으로 올라가고 날씨는 맑고 따뜻해진다. 그러나 제트기류가 서쪽에서 불어올 때 황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여름은 20 °C 이상의 기온이 계속되며 7, 8월에는 30 °C 내외, 심하면 35°C 이상의 무더운 날씨가 많다. 또한 장마집중호우가 계속되어 많은 비가 내리므로 홍수의 피해가 크다. 가을은 하늘이 높고 맑은 날이 계속되며, 기온은 차차 내려가 선선한 날씨가 시작된다. 겨울은 최저 기온이 0 °C 이하로 내려가는 날이 100일 내외, 최저기온이 -10 °C 이하로 내려가는 날이 29.4일로서, 추운 날이 비교적 오래 지속되고 있다. 눈이 내리는 기간은 12.5일, 얼음이 어는 기간은 16.4일이나 강수량은 여름에 비하면 훨씬 적어 건조한 날씨가 많다. 최근 30년(1991년 ~ 2020년) 기준으로 연평균 강수량은 약 1,417.9mm이나, 1990년에는 2,355.5mm, 1949년에는 633.7mm가 내릴 정도로 연 강수량의 기복이 심한 편이다. 계절별 강수량은 여름철에 892.1mm, 겨울철에 67.3mm로 여름철에 강수가 크게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반도는 계절풍 지대에 속하기 때문에 서울은 여름에 남동풍, 겨울에 북서풍이 빈번하게 분다. 도심부에서 도로 위를 부는 도로바람은 남산의 북사면에서 발달한 차가운 공기가 충무로 지하상가 위를 지나 을지로 입구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퇴계로 2가 부근에서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분다.

역대 최저 기온은 1927년 12월 31일의 -23.1 °C, 역대 최고 기온은 2018년 8월 1일의 39.6 °C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최고 기온 기록 °C (°F) 14.4
(57.9)
18.7
(65.7)
25.1
(77.2)
29.8
(85.6)
34.4
(93.9)
37.2
(99.0)
38.4
(101.1)
39.6
(103.3)
36.0
(96.8)
30.1
(86.2)
28.0
(82.4)
17.7
(63.9)
39.6
(103.3)
평균 일 최고 기온 °C (°F) 2.1
(35.8)
5.1
(41.2)
11.0
(51.8)
17.9
(64.2)
23.6
(74.5)
27.6
(81.7)
29.0
(84.2)
30.0
(86.0)
26.2
(79.2)
20.2
(68.4)
11.9
(53.4)
4.2
(39.6)
17.4
(63.3)
일 평균 기온 °C (°F) −2.0
(28.4)
0.7
(33.3)
6.1
(43.0)
12.6
(54.7)
18.2
(64.8)
22.7
(72.9)
25.3
(77.5)
26.1
(79.0)
21.6
(70.9)
15.0
(59.0)
7.5
(45.5)
0.2
(32.4)
12.8
(55.0)
평균 일 최저 기온 °C (°F) −5.5
(22.1)
−3.2
(26.2)
1.9
(35.4)
8.0
(46.4)
13.5
(56.3)
18.7
(65.7)
22.3
(72.1)
22.9
(73.2)
17.7
(63.9)
10.6
(51.1)
3.5
(38.3)
−3.4
(25.9)
8.9
(48.0)
최저 기온 기록 °C (°F) −22.5
(−8.5)
−19.6
(−3.3)
−15.3
(4.5)
−9.4
(15.1)
2.4
(36.3)
7.0
(44.6)
10.9
(51.6)
13.5
(56.3)
3.2
(37.8)
−5.1
(22.8)
−11.9
(10.6)
−23.1
(−9.6)
−23.1
(−9.6)
평균 강수량 mm (인치) 16.8
(0.66)
28.2
(1.11)
36.9
(1.45)
72.9
(2.87)
103.6
(4.08)
129.5
(5.10)
414.4
(16.31)
348.2
(13.71)
141.5
(5.57)
52.2
(2.06)
51.1
(2.01)
22.6
(0.89)
1,417.9
(55.82)
평균 강수일수 (≥ 0.1 mm) 6.1 5.8 7.0 8.4 8.6 9.9 16.3 14.7 9.1 6.1 8.8 7.8 108.6
평균 강설일수 7.1 5.1 2.8 0.2 0.0 0.0 0.0 0.0 0.0 0.0 2.3 6.4 23.9
평균 상대 습도 (%) 56.2 54.6 54.6 54.8 59.7 65.7 76.2 73.5 66.4 61.8 60.4 57.8 61.8
평균 월간 일조시간 169.6 170.8 198.2 206.3 223.0 189.1 123.6 156.1 179.7 206.5 157.3 162.9 2,143.1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07년~현재)[23][24]

대기 편집

시내에는 큰 건물과 공장의 굴뚝에서 내뿜는 매연,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늘어나면서 태양광선이 제대로 땅에 닿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시내에 내리쬐는 일사량은 매년 감소되어 가고 있다. 비행기나 높은 산 위에서 시내를 내려다보면 연기와 먼지를 품은 오염대기층인 연진모자가 상공을 덮고 있어 서울 시야를 나쁘게 하고 있다.[20] 2011년 환경부가 7대 도시의 대기 오염물질을 조사한 결과, 전국의 미세먼지 평균농도는 51㎍/m3이고,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49㎍/m3로 나타났다. 2013년을 기준으로 하여 서울시는 전국 16개 지방(서울, 부산, 대구, 경기, 제주, 전남 등)에서 8위(7위: 대구 9위: 전북)를 하였고, 광역시나 특별시 중에서는 4위(3위: 대구 5위: 울산)를 하였다.(중위권) 그러나 최근, 수년 동안 서울시에서는 청정연료 확대보급, 경유자동차 저공해화, 도로비산먼지 청소, 공사장 비산먼지 관리 등과 같은 대기질 개선활동을 집중적으로 전개해 오면서 대기질이 좋아지기 시작했으나, 황해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중국의 수많은 공장에서 뿜어져나오는 매연에 서울의 대기질은 겨울과 봄에 최악을 기록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농도가 100㎍/m3을 훌쩍 뛰어넘는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출처 필요]

하지만 2020년 코로나19 상황과 역대 가장 긴 장마 때문에 서울의 미세먼지는 110일 동안 보통 이하를 기록하기도 하였다.[25]

2014년송성용입니다

행정 구역 편집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은 2022년 5월말 기준으로 25개 자치구와 426개 행정동이 있다. 한강 남쪽에 11개, 한강 북쪽에 14개 자치구가 있다. 2020년 4월말 주민등록 인구는 9,726,787명이다.[26] 가장 인구가 많은 구는 송파구, 가장 인구가 적은 구는 중구이다.

자치구 세대 인구 면적
종로구 74,299 150,936 23.91
중구 63,091 126,126 9.96
용산구 111,037 229,369 21.87
성동구 135,563 298,249 16.85
광진구 165,579 350,016 17.06
동대문구 165,516 345,793 14.2
중랑구 182,433 395,072 18.5
성북구 194,095 442,174 24.56
강북구 145,049 312,691 23.61
도봉구 138,724 330,707 20.7
노원구 217,302 530,302 35.44
은평구 208,771 477,973 29.69
서대문구 142,559 312,809 17.6
마포구 176,385 374,426 23.88
양천구 178,257 457,132 17.4
강서구 264,111 588,281 41.43
구로구 177,432 405,271 20.12
금천구 111,787 232,396 13
영등포구 178,323 372,225 24.57
동작구 182,236 394,988 16.35
관악구 271,313 498,978 29.57
서초구 173,561 429,729 47
강남구 233,363 543,240 39.51
송파구 279,460 672,862 33.88
강동구 191,399 455,042 24.58
합계 4,361,645 9,726,787 605.25

선거구 편집

21대 국회의원 선거 기준 49개 선거구로 나뉜다. 주민등록 인구(외국인 제외)에 따라 29만5천 명 미만인 자치구는 1개, 29만5천 명 이상 ~ 59만 명 미만인 자치구는 2개, 59만 명 이상인 자치구는 3개의 선거구를 가진다.

인구 편집

고려 멸망 후 조선이 천도(1394년)한 후 조선 태종 때 인구는 약 10만 명이었으며, 이후 1900년대까지 20만 명 선을 유지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 서울의 인구는 지방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으로 급격하게 늘어나여 과밀화 현상을 빚고 있다. 1919년에 인구 25만 명, 인구밀도 6,874명/km2이었던 것이 1925년에는 인구 34만 명, 인구밀도 9,297명/km, 1930년에는 인구 33만 명, 인구밀도 9,824명/km2, 1935년에는 인구 40만 명, 인구밀도 11,172명/km2에 달하였다. 이에 따라 1936년에 시역을 확장하여 인구는 73만 명으로 증가하고 인구밀도는 5,430명/km2으로 감소하였다. 1945년 광복 당시의 인구는 90만 명, 인구밀도 6,628명/km2이었는데, 외국에서의 귀국, 한반도 북부지역 출신 등으로 1946년에는 인구가 127만 명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인구밀도는 9,309명/km2이 되었다. 1948년에는 인구 171만 명에 인구밀도 12,055명/km2으로, 1949년에는 136.05 km2이었던 시의 면적이 268,35 km2로 확장되었고 인구는 142만 명, 인구밀도는 5,284명/km2이 되었다.

1951년에는 한국 전쟁으로 인구가 65만 명, 인구밀도는 2,416명/km2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1953년에 휴전과 환도로 다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1955년에는 인구 157만 명, 인구밀도 5,869명/km2, 1960년에는 인구 245만 명(전체 인구의 10%), 인구밀도 913명/km2, 1970년에는 인구 543만 명(전체 인구의 18%), 인구밀도 9,013명/km2, 1980년 인구는 836만 명, 인구밀도 13,074명/km2, 1990년에는 1,061만 명, 인구밀도가 15,532명/km2이 되었다.

이렇게 계속 증가하던 인구도 1992년 인구 1,099만 명, 인구밀도 19,522명/km2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는 정부의 서울 인구 분산 정책에 따른 것으로. 서울 교외에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 등의 1기 신도시가 개발되었고 이 마저도 포화상태로 현재 운정, 판교, 동탄 등 2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이주에 의한 것이다.[27] 계속 감소하던 인구는 2003년 인구 1,028만 명, 인구밀도 16,975명/km2을 정점으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뉴타운'으로 불리는 서울 시내 대규모 재개발로 인한 인구 유입의 영향이 크다. 2009년 12월말 기준 인구는 10,464,051명, 4,116,660세대이고, 인구밀도는 17,289명/km2이다.

서울의 인구증가를 보면 1960년경부터 대한민국경제성장과 함께 각종 산업이 발전하면서 고용 증대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농촌인구가 급격하게 서울로 집중하게 되었다. 서울 지킴자금 농촌에서는 생계가 어려워 무작정 서울로 온 이농 인구 덕분이었다.[28] 서울은 자연증가보다 사회증가에 의하여 과밀화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서울에는 교육기관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은 주로 서울에서 취업을 하거나 생활 터전을 마련한다.[29]

다만, 2010년대 들어 서울의 높은 전세로 인해 서울의 인구순유출 속도가 한국 도시들 중 가장 빠르며, 2016년 5월을 기점으로 서울 인구가 1,000만명 선 아래로 떨어졌다. 사실상 서울 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 1,000만명을 넘어선 서울의 인구가 28년만에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2018년 5월 기준으로 서울의 인구는 980만명이다. 서울을 빠져나가는 대부분의 인구는 경기도로 이동하고 있으며, 세종시제주도로의 이동도 이루어지는 역도시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인구와 가구 그래프 편집

일제강점기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 인구(명) 가구(세대) 비고
1915년    241,085   55,367
1920년   250,208   54,614
1925년   336,349   70,192
1930년    355,426   74,909
1935년    404,202   82,822
1940년     935,464    174,336
1945년     901,371    189,530

대한민국 정부 수립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 인구(명) 가구(세대) 비고
1949년     1,418,025   272,314
1955년    1,574,868   259,660
1960년      2,445,402    446,874

군사 정부 시기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 인구(명) 가구(세대) 비고
1965년     3,424,385    649,290
1970년     5,433,198   1,096,871
1975년      6,889,502     1,409,577
1980년     8,364,379     1,849,324

신군부 시기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 인구(명) 가구(세대) 비고
1981년      8,676,037      1,915,104
1982년       8,916,481    2,000,678
1983년       9,204,344     2,116,334
1984년      9,501,413     2,245,598
1985년       9,639,110     2,337,564
1986년        9,798,542      2,428,123
1987년        9,991,089     2,518,128

민주화 이후, 정보 혁명 시대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 인구(명) 가구(세대) 비고
1988년     10,286,503      2,658,371
1989년    10,576,794      2,816,510
1990년     10,612,577      2,820,292
1991년      10,904,527    3,330,317
1992년      10,969,862    3,383,169
1993년      10,925,464     3,430,528
1994년      10,798,700     3,455,665
1995년    10,595,443     3,448,124
1996년     10,469,852     3,456,575
1997년    10,389,057     3,498,506
1998년    10,321,469     3,458,511
1999년    10,321,446     3,490,616
2000년    10,373,234    3,540,492
2001년    10,331,244    3,570,228
2002년     10,280,523     3,623,929
2003년     10,276,968      3,714,697
2004년     10,287,847      3,780,305
2005년     10,297,004     3,871,024
2006년    10,356,202      3,978,938
2007년     10,421,782    4,046,086
2008년     10,456,034    4,097,562
2009년     10,464,051     4,116,660
2010년    10,575,447      4,224,181
2011년    10,528,774     4,192,752
2012년     10,442,426     4,117,970
2013년    10,388,055     4,182,351
2014년    10,369.593     4,194,176
2015년     10,297,138     4,189,948
2016년     10,204,054     4,189,839
2017년    10,124,579      4,220,082
2018년   10,049,607      4,263,868
2019년   10,010,983     4,327,605
2020년       9,668,465    4,130,000
2023년 7월 청|9,115,260

주요 기관 편집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입법부·행정부·사법부 등 국가의 통치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 종로구에는 청와대정부서울청사를 비롯한 중앙 행정 기관과 헌법재판소 등 국가 중요 기관이 있고, 중구 정동에는 각국의 외교 대사관이 밀집해 있다. 또한 여의도에는 국회가, 서초구에는 대법원을 비롯한 법조 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경제 편집

2014년 서울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327조 6,020억 원이며, 실질성장률은 2.2%이다.[30]

삼성, LG, 현대자동차, SK, 롯데, GS 등 주요 대기업의 본사가 있다. 대한민국 GDP의 22%를 창출하고 있으며, 금융 기관의 50% 이상이 집중되어 있다.

2007년[31] 국내총생산
(10억원)
사업체 수
(개소)
은행예금
(10억원)
내국세
(10억원)
의료기관
(개소)
자동차수
(천대)
대학교
(개소)
전국 581,516 3,131,963 512,419 82,226 44,029 13,949 180
서울 127,175 735,258 259,355 35,436 12,396 2,691 42
집중도(%) 21.87 23.48 50.61 43.1 28.15 19.29 23.33
  • 삼성 - 전자, 중화학 등을 중점 사업으로 하는 세계적인 기업 (서초구 서초동 1320-10)
  • LG - 1947년 창업한 한국의 전자/화학 분야 기업 (영등포구 여의도동 LG트윈타워)
  • 현대자동차 -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 기업 (서초구 양재동 231)
  • GS - 유통, 정유, 건설 등을 중점으로 하는 기업 (강남구 논현로 508)
  • SK - 에너지, 통신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는 한국 3위의 기업 (종로구 서린동 99번지)
  • 롯데 - 유통, 화학, 식음료 등을 중심 사업으로 활동하는 한국 재계 5위의 기업 (송파구 신천동 29)

공업 편집

서울의 공업은 1919년영등포에 세워진 방직공장을 시초로 한다. 영등포에는 그 외에도 피혁공장과 철도공작창이 지어졌으며, 1940년대 들어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일본의 군수물자 조달을 목적으로 영등포와 용산을 중심으로 군수 산업이 발달하였다. 8·15 광복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잠시 침체 상태에 있었으나, 1962년부터 시작된 국가 주도의 경제 개발로 인해 서울의 공업은 급속도로 발달하였다. 1971년 형성된 구로동 수출산업공단은 섬유·전자기계·고무합성수지제품·금속·광학기기류 등의 생산으로 서울 최대의 산업단지가 되었으며, 인근의 영등포 기계공단과 묶여 경인공업지구를 형성하였다.

1990년대 초까지 용산·영등포·천호동·노원구 등에 공업지구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수도권이 팽창하면서 인천·시흥·안산·부천 등 인근 지역으로 옮겨갔다. 2000년대 들어 첨단산업이 발달하면서 구로동·가산동 지역의 대규모 공단이 디지털산업단지로 탈바꿈하여 현재는 수많은 IT 벤처 기업이 있다.[32]

상업 편집

서울의 상업은 4대문 안 서울 도심인 종로·남대문로·충무로·명동·을지로청계천 등의 상가와 남대문시장·동대문시장·중부시장 등의 시장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960년대 들어 대단위 슈퍼마켓과 연쇄점·지하상가가 시내 요소에 설치되어 새로운 상가를 형성하였다. 전문상가로는 전국에 의류를 공급하는 남대문 의류상가와 동대문 평화시장,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노량진수산시장, 용산전자상가, 경동시장 등이 있다.[33]

업무 지구 편집

교육 편집

 
서울대학교 정문에 있는 조형물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등 국공립 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인문사회캠퍼스), 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광운대학교, 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숭실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사립 대학교들이 소재하고 있다. 대학교 40개교, 교육대학 1개교, 방송통신대학교 1개교, 전문대학 12개교 등이 있다.[34]

서울특별시의 학교 · 학생 · 교직원 현황 (2012년)
교육기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합계
학교 886개교 594개교 376개교 311개교 2,206개교
학생 87,997명 502,000명 315,241명 344,391명 1,262,970명
교직원 6,213명 29,762명 18,442명 23,245명 79,490명
자료 : 서울교육통계연보[35]

문화, 관광, 주요 시설 편집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 활동의 중심지가 되고 있으며 도서관·박물관·출판사·공원과 기타 문화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관광 편집

 
비짓서울

서울은 최근 K 문화의 인기로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어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서울관광재단에서는 서울 여행을 계획하거나 서울을 여행중인 관광객들을 위해 '비짓서울'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공식 관광 정보 웹사이트인 '비짓서울'은 서울에서 개최되는 각종 행사, 축제, 전시 정보는 물론이고 명소, 맛집, 쇼핑 등 다양한 관광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관광 정보를 발 빠르게 제공하여 관광객들이 서울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비짓서울'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간체, 중국어 번체, 러시아어, 말레이어 총 7가지 언어를 제공한다.

문화재, 박물관 편집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에는 132개의 국보, 380개의 보물, 61개소의 사적, 11개의 천연기념물, 32개의 무형문화재, 46개의 중요민속자료 등이 있다. 또한 경복궁 등의 고궁과 각종 공원 등이 있어 시민들과 외국 관광객들에게 좋은 휴식처와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 운동경기장으로는 잠실에 잠실종합운동장, 목동에 목동운동장, 성산동에 서울월드컵경기장이 있다.[34]

국립중앙박물관 등 60여 개의 박물관이 있다.

이름 비고(내용)
국립중앙박물관 대한민국 최대의 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의 문화재 전시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생활사 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도시 역사 박물관
전쟁기념관 전쟁사 박물관
덕수궁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과천 소재)의 서울 분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 공공 미술관

도서관 편집

서울에는 시립 도서관 23개 소가 있으며, 시립 도서관의 경우 대부분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각 자치구에서 설립한 구립 도서관이 있다. 최근 구립 도서관의 숫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장서(藏書) 100만여 권을 가진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 그외에도 공공 및 사립도서관, 대학도서관 등이 있다.[34]

공연 시설 편집

 
세종문화회관
  • 국립국악원 - 예술의 전당 옆이다. 대한민국의 민족음악을 보존·전승하고, 그 보급 및 발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36]
  • 국립중앙극장 - 남산 중턱에 있다. 해오름극장, 달오름극장, 별오름극장, KB청소년하늘극장으로 구성된다.[37]
  • 세종문화회관 - 세종대로에 있다. 전국기준 도로원표, 세종대극장, 세종M시어터, 세종체임버홀, 세종예술아카데미로 구성된다.
  • 롯데콘서트홀 - 잠실 롯데월드몰 내
  • 예술의 전당 - 우면산 자락[38]
  • 정동극장 - 덕수궁(경운궁) 옆
  • 대학로 - 소극장과 연극장이 모여 있다.
  • 블루스퀘어 - 용산구 한남동 한강진역 앞
  • 비보이 전용극장 - 마포구 서교동 'SJ비보이즈' 건물 지하

유적지 편집

  • 암사동 선사유적지(사적 제267호) - 선사 시대의 주거 유적지이다. 민무늬토기, 반달돌칼, 빗살무늬토기 등 100여 개의 수혈 거주지가 출토되었다.
  • 풍납토성(사적 제11호), 몽촌토성(사적 제297호) - 백제의 하남위례성으로 추정되는 토성 유적이다. 풍납토성은 백제 때의 하남위례성의 북성지로, 몽촌토성은 하남 위례성의 남성지(南城地)로 추정된다.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서울 방이동 고분군 - 한성 백제 시대의 돌로 만든 봉분군이다.
  • 한양도성 - 조선 태조 때 서울을 수도로 정하면서 쌓기 시작한 성곽이다. 당시 한양을 산을 중심으로 둘러쌌던 성곽이다. 일제강점기와 근대화를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파손되었으나 현재 많은 부분이 복구되었다.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 - 조선 왕조의 궁궐이다.
  • 종묘 - 조선 시대 왕가의 신위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사직단 -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이다.
  • 성균관 - 조선 시대의 국립 학교로, 유교적 지식을 가진 관료와 유학자를 양성하던 고등 교육 기관이다.
  • 북한산성((사적 제162호) - 수도 한양을 방어하던 성곽이다. 일부는 서울시 밖인 고양시에 위치하여 있으며, 북한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다.
  • 조선 왕릉 - 선정릉, 헌인릉, 정릉, 의릉이 서울시 내에 위치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연산군묘는 서울 내에 위치해 있지만, 연산군이 폐위되었으므로 능이 아닌 묘로 부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아니다.
  • 동묘 - 촉한의 명장 관우를 모신 사당이다.
  • 독립문 - 대한제국기 자주독립을 위해 세운 문(門)이다.
  • 환구단 - 고종 황제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만든 곳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낸 제단이다.
  • 장충단 - 대한제국 당시 을미사변임오군란 통에 변을 당한 이들을 기리던 제단이다.
  • 서대문 형무소 -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서울에 세운 형무소이다. 수많은 독립 투사들과 민주 투사들이 이곳에서 고문과 옥사를 치렀다.

고궁 편집

  • 경복궁 - 조선 태조 4년 창건된 조선 왕궁. 세종 때 정궁. 임진왜란 때 불 탔으나 고종 2년(1865년)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건됨.
  • 창덕궁 - 1405년(태종 5) 지어진 조선 왕궁.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 창경궁 명정전 - 조선 왕들이 살았던 궁궐 중 하나이다. 창덕궁과 붙어 있다.
  • 경희궁 흥화문 - 조선 궁궐 중 하나이다. 내부에 서울역사박물관이 있다.
  • 덕수궁(전경) - 조선대한제국의 궁궐이다. 광무 연간 동안 대한제국의 정궁이었다.

서울시티투어버스광화문을 기점으로 서울의 중심 관광지를 순환하고 있다.

명소 편집

  • 광화문 광장
  • 명동 - 서울 도심의 번화가이다.
  • 남대문 시장 - 서울의 대표적 종합 재래 시장이다.
  • 삼청동 - 전통 한옥과 음식점, 카페, 갤러리가 있는 거리이다.
  • 남산 한옥마을 - 한옥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 COEX(컨벤션 센터) - 무역센터와 인접한 종합 전시관이다.
  • 강남역 사거리 - 한강 이남 지역의 최대 번화가이다.
  • 대학로 - 문화 예술의 거리로 음악, 연극 등의 공연 문화가 활발한 곳이다. 마로니에 공원이 있다.
  • 63빌딩 - 여의도에 있는 고층 빌딩으로 전망대, 영화관 등이 설치되어 있다.
  • N서울타워 - 남산의 정상 부근에 있으며 서울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다. YTN이 소유 중이다.
  • 인사동 - 서울의 전통 문화 거리이다. 화랑(갤러리), 전통 상품 상점, 전통 음식점 등으로 유명하다.
  • 이태원 -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거리로 외국의 다양한 요리를 만드는 식당들로 유명하다.
  • 롯데월드 - 잠실에 있는 테마파크이다. 석촌 호수와 닿아 있다.
  • 롯데월드타워 - 롯데월드 옆 롯데월드몰 부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6번째로 높은 555m의 높이를 자랑한다.
  • 롯데월드몰 - 국내 최대 규모의 복합 쇼핑문화센터로서, 롯데월드타워와 함께 서울의 대표적인 명소이다.
  • 디지털미디어시티 - 서울 서북권에 위치한 미디어&엔테테인먼트 관련 업무지구이다. 주요 방송사가 입주할 예정이며, 창의적인 디자인이 돋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건물이 있다. 줄여서 DMC(Digital Media City)로 불리며, 120층이 넘는 부르즈 할리파에 이은 세계 2위의 초고층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 타임스퀘어 - 30만 m2(축구장 40개 넓이)의 국내 최대 복합 쇼핑공간이다. 타임스퀘어 내 CGV영화관은 세계 최대크기의 스크린을 갖춘 영화관이 있다. (영등포구 영중로 15)
  • 북촌 한옥 마을
  • 서촌
  • 정릉(사적 제243호) -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의 능이다.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DDP(Dongdaemun Design Plaza)는 세계 최초의 '디자인-창조산업의 발신지' 이자, 서울의 미래 성장을 견인하는 '창조산업의 전진기지'를 위해 건립된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비정형 건물이다. 특히, 옥상에 위치한 LED 꽃밭이 명소로 유명하다.
  • 홍익대학교 인근 - 서울 지역에서 인디 문화의 상징적인 지역이었으며, 특색있는 분위기와 여러 클럽, 공연장 등이 모여있어 많은 젊은이들이 찾는 번화가 중의 하나이다.
  • 세빛섬 - 한강에 있는 인공섬이다.
  • 청계천
  • 청계광장

공원 편집

  • 한강 시민 공원 - 한강을 따라 그 유역을 여러 지구로 나누어 공원을 조성하였다.
  • 서울 올림픽 공원 -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현재는 일반 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이클· 역도· 펜싱· 수영· 체조· 테니스 등 6개의 경기장 등의 경기 시설과 소마미술관 등 다양한 문화 시설들이 함께 있다. 올림픽 공원 건설 도중 발굴된 백제 유적지 몽촌토성은 공원 내에 있다.[39]
  • 보라매 공원 - 동작구에 있는 공원으로 청소년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북서울 꿈의 숲 - 강북구에 있는 대형 공원으로, 옛 드림랜드 자리에 있다.
  • 양재시민의 숲 - 서초구에 있는 시민 공원이다.
  • 어린이 대공원 - 광진구에 있는 어린이 공원으로 놀이동산, 동물원, 식물원, 어린이회관 등이 있다.[40]
  • 여의도 공원 - 여의도 도심 속의 공원이다.
  • 월드컵 공원 -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중심으로 조성된 공원이다.
  • 서울로 7017 - 도시재생 사업으로 서울역고가도로를 공원으로 재조성하여 2017년 5월 20일에 개장한 공원이다.
  • 서서울 호수공원 - 신월정수장을 리모델링하여 만든 서울 서남권 시민의 쉼터로 2009년 10월 26일 개장했다.( 양천구 신월동 68-3 )
  • 선유도 공원 - 강 가운데 있는, 하중도에 위치한 공원이다. 양화대교를 이용하여 갈 수 있다. 본래 정수장이었던 곳을 보수하여, 물을 주제로하는 공원으로 조성하여 2002년 4월에 개관하였다.
  • 용산가족공원 - 미군부대 부지를 반환받아 만든 공원이다.
  • 뚝섬 서울숲 - 뚝섬 일대에 있는 시민 공원이다.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마로니에 공원 - 혜화동과 이화동 사이에 위치한 공원이다.
  • 탑골공원 - 사적 제354호로 지정되어 있는 탑골공원은 국내 최초의 도심 내 공원으로 1919년 일제에 항거하는 3·1운동이 일어났던 곳이다.

종교 시설 편집


주요 의료 기관 편집

축제 편집

스포츠 편집

서울은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을 개최하였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막전과 4강전을 비롯한 총 3경기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러졌다. 서울특별시 송파구에는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 폐막식이 있었던 서울올림픽주경기장과 이를 기념하는 올림픽공원이 있으며, 마포구에는 월드컵공원이 있다. 노원구에는 종합선수합숙훈련장인 태릉선수촌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프로스포츠팀을 보유한 도시이며 특히 프로스포츠 양대 산맥인 프로축구 K리그와 프로야구 KBO 리그에서 1990년 럭키금성 황소LG 트윈스 그리고 2016년 FC 서울두산 베어스의 2차례 동반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45]

축구 편집

리그명 구단명 창단연도 홈경기장
K리그1 FC 서울 1983년 서울월드컵경기장
K리그2 서울 이랜드 FC 2014년 목동운동장
K4리그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2007년 노원마들스타디움
서울 중랑 축구단 2012년 중랑구립잔디운동장
WK리그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2004년 서울월드컵보조경기장

야구 편집

리그명 구단명 창단연도 홈경기장
KBO 리그 LG 트윈스 1982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두산 베어스
키움 히어로즈 2008년 고척스카이돔

농구 편집

리그명 구단명 창단연도 홈경기장
KBL 서울 삼성 썬더스 1978년 잠실실내체육관
서울 SK 나이츠 1997년 잠실학생체육관

배구 편집

리그명 구단명 창단연도 홈경기장
V-리그 (남)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2008년 장충체육관
V-리그 (여) 서울 GS칼텍스 KIXX 1970년

스포츠 시설 편집

교통 편집

 
동부간선도로

승용차대중교통지하철, 버스, 택시 등이 주된 시내 교통 수단이다. 주요 환승지로는 1호선 서울역,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남부터미널, 1,2호선 시청역, 2호선 강남역, 신도림역, 2,4호선 사당역 등이 있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자동차 등록 대수는 2,933,286대로 수송 분담률은 2006년 기준으로 지하철 34.7%, 버스 27.6%, 택시 6.3%, 자가용이 26.3% 등이다. 1899년부터 운행하던 전차1968년 없어지면서 서울의 대중 교통 수단은 많이 달라졌다. 1966년부터는 시가지의 대폭적인 재개발로 건물의 고층화와 함께 도로의 입체화가 진전되었다. 대중 교통 수단의 재배치는 서울 도시 구조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쳐왔다. 대표적인 예로 1기 지하철, 특히 당초 계획과는 달리 거대 순환선으로 변경된 2호선이 서울의 공간에 끼친 영향을 들 수 있다.

도로 편집

 
여의도 근방을 통과하고 있는 올림픽대로의 모습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등이 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경인고속도로는 서쪽에 있는 인천광역시와 연결된다. 시 외곽에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가 둘러싸고 있다. 도시 내부에는 강변을 따라가는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남부순환로, 북부간선도로 등의 간선도로가 건설되어 있다.

강변북로[46]고양시파주시, 올림픽대로는 인천광역시부천시, 동부간선도로는 성남시의정부시, 서부간선도로는 안양시광명시, 북부간선도로는 구리시와 연결된다. 서울시내의 주요 도로로는 테헤란로, 세종대로, 종로, 강남대로, 시흥대로 등이 있다.

시내버스 편집

 
서울의 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에서 버스가 처음으로 운행을 하기 시작한 때는 1928년으로, '경성 부영버스'라는 이름으로 10대를 운영했다. 1949년 17개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고 버스 운영에 뛰어들었다. 이후로 여러 차례의 확장과 개편을 거쳤으며,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버스 준공영제와 환승할인 제도가 도입되었다. 현재 시내버스, 간선버스, 마을버스, 광역버스 등을 포함한 수백개의 버스노선이 시내를 연결하고 있다.

택시 편집

서울에서 택시1912년에 처음 운행을 시작하였고, 1919년 최초의 택시회사가 설립되었으며, 1926년에는 미터기가 도입되었다. 8·15 광복 후에도 발전을 거듭하여 1970년 콜택시가 등장하고[47], 1988년에는 콜택시 대체용으로 도입된 중형택시[48], 1992년에는 모범운전수가 운전하고 콜택시를 도입하는 등 서비스 수준을 높인 모범택시가 선을 보였다.[49] 또한 2009년에는 소형택시 부활이 결정된 이후 2011년 12월부터 소형택시 70여대가 운행되고 있다.[50][51] 2015년 10월에는 고급택시가 운행을 시작했다. 2020년을 기준으로 서울시 소형택시의 기본요금은 2100원, 중형택시는 3800원, 모범택시는 5000원, 고급택시는 8000원이다.

철도 편집

 
서울역 주변 전경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은 한반도 철도의 중심지이다. 서울에서 다른 도시간을 잇는 철도 교통이 골고루 발달되어 있다. 지역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이 나뉘어 있어, 서울역에서는 경부선경전선 KTX, 용산역에서는 호남선·전라선·장항선, 청량리역에서는 중앙선·태백선·영동선 강릉선열차가 출발한다. 그 외에도 영등포역 등의 중간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이용하여 서울역까지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철도관제센터 또한 서울에 위치해 있어 그곳에서 대한민국 전역의 모든 철도를 총괄 관리 및 명령한다.

1968년 서울전차의 퇴역으로 이를 대신할 대중교통수단 건설이 논의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으로 본격적인 도시 철도 시대를 열었다. 1기 지하철 사업으로 2호선, 3호선4호선이 개통되었고, 그다음 2기 지하철 사업으로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이 새로 건설되어 추가되었다. 이후 9호선이 건설되면서, 2011년 현재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을 제외하고 9개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서울의 도심과 부도심을 이어주며, 특히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개통은 서울의 공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의 경우에는 최초로 한강 아래로 터널을 뚫어 운행을 시작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을 포함한 일부 노선은 한국철도공사수도권 전철과 연계 또는 직결 운행하여 서울 주변의 위성도시들을 연결한다.

항공 편집

 
김포국제공항

동아시아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단거리 국제선과, 대한민국 국내선은 주로 김포국제공항을, 나머지 중장거리 국제선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한다. 서울 도심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는 약 1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인천국제공항철도 또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공항철도 편집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 (일반열차, 208편성)
  • 인천국제공항철도(AREX)는 한국의 관문인 인천공항에서 서울도심을 가장 빠르게 연결해 주는 교통수단이며,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 지하 1층 승강장에서 서울역행 직통, 일반열차 탑승이 가능하다. 공항철도를 이용하여 명동, 홍대입구, 동대문, DMC 등 주요 관광지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인천공항에서 서울역까지 43분 소요되는 직통열차는 4인 이상 이용 시 그룹할인(6,000원/1인)이 가능하고, 항공사 이용객(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국제학생증소지자 등 다양한 할인제도(6900원/명)를 시행하고 있다. (https://web.archive.org/web/20200428235346/https://www.arex.or.kr/) 현재 공항철도는 입국장 45번 부스 안내센터 및 교통센터 지하 1 층에서 트레블 센터를 운영 중에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특히 주요 호텔까지의 Door to Door 서비스인 직통열차 + 인터내셔널 택시와 직통열차 + 티머니 카드 상품은 트래블 센터가 제공하는 인기 상품이다.
  • 2007년 3월 23일 첫 운행을 시작한 공항철도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두 개의 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철도이다. 2007년 3월 1단계 구간(인천국제공항역(현 인천공항1터미널역)김포공항역, 37.6 km)을 개통한 뒤,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구간(김포공항역서울역, 20.4 km)을 개통했으며 이어 공덕역(2011.11.30)과 청라국제도시역(2014.06.21), 영종역(2016.3.26), 인천공항2터미널역(2018.1.13)을 개통함으로써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사업이 마무리됐다. 현재 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역 간 63.8km의 영업거리에 총 14개역이 있으며 서울역에서는 도심공항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 공항철도 열차는 서울역∼인천공항1터미널역을 무정차로 43분에 운행하는 고급형 열차인 직통열차와 모든 역에 정차하는 일반열차(56분 소요)로 이원화 운영되고 있다. 운임은 인천공항1터미널역 ~ 서울역 구간의 경우 직통열차는 8,000원, 일반열차는 3,950원이다. 일반열차의 경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영종도 구간 (운서역 ~ 인천공항2터미널역)에서는 별도의 요금제를 적용한다. 직통열차 이용객은 4인 이상 이용 시 그룹할인(6,000원/1인), 항공사 이용객(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국제학생증소지자 등 다양한 할인제도(6900원/명)를 시행하고 있다. (https://web.archive.org/web/20200428235346/https://www.arex.or.kr/) 또한 서울역에서는 도심공항터미널의 탑승수속 및 수하물 탁송(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출입국관리사무소의 출국심사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된다.
  • 공항철도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역간 거리가 길고 빠르다는 느낌을 받는다. 63.8km 구간에 14개역이 위치해 있어 역간 평균거리가 5.3km에 달한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역간 평균거리 1km내 외임을 감안할 때 공항철도는 모든 열차가 급행열차인 셈이다. 공항철도의 최대 운행 속도는 110 km/h로 역을 출발해 다음 역에 정차할 때까지의 표정속도가 70km로 수도권 전철에 비해 2배 이상 빠르다. 이로 인해 인천 서부권과 서울 도심(디지털미디어시티, 홍대입구, 공덕, 서울역 등)을 가장 빠르게 연결하여 등하교하는 학생과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에게도 사랑받고 있다.

수상 교통 편집

과거에는 뚝섬과 마포에 포구가 있어 번창하였으나, 육상교통이 발달되면서 자취가 사라졌다. 또한 노량도(서울 시흥)·양화도(서울 인천)·한남도(서울 용인)·송파도(서울 광주)·광나루(서울 광주) 등의 나루터가 있었으나 한강대교가 가설된 후부터 옛날의 나루터 모습은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한강 개발 이후가 된 후 관광용으로, 또한 통근용으로 수상 교통의 부활이 이루어졌다.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1986년 10월 26일부터 관광용 한강 유람선 운행을 시작했다. 여의도잠실 등 8개 선착장에서 운행하고 있다.[52]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07년 10월 11일부터 한강 수상택시 운행을 시작했다. 여의도잠실 등 한강변 18개 승강장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교통수단 뿐만 아니라 관광용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나 운항정지 중이다.

기업 편집

방송 편집

언론 편집

금융 편집

벤처 편집

유통 편집

자동차 편집

통신 편집

식품 편집

IT 편집

화학 편집

항공 편집

공기업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서울특별시는 2014년 2월 기준 20개국, 24개 해외 자매도시들과 교류를 하고 있다.[53]

체결 연도 국가 도시
1968년   대만   타이베이
1971년   튀르키예 앙카라
1973년   미국   호놀룰루
1976년   샌프란시스코
1977년   브라질   상파울루
1982년   콜롬비아   보고타
1984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1988년   일본   도쿄도
1991년   러시아   모스크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프랑스   파리
1992년   멕시코   멕시코시티
1993년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1996년   베트남   하노이
  폴란드   바르샤바
1997년   이집트   카이로
2000년   이탈리아   로마
2004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2006년   미국   워싱턴 D.C.
  그리스 아테네
2010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2017년   이란   테헤란

각주 편집

  1. 경기도 과천시·광명시 일원과 고양시 덕양구 일부(옛 고양군 신도읍·화전읍 지역), 하남시 일부(옛 광주군 서부면 일부), 시흥시 일부(과림동 일대), 부천시 일부(옥길동, 역곡동 일부), 안양시 일부(석수동 접경지역), 구리시 일부(아천동 일부)는 지역번호가 02이다.
  2. “대한민국 '평균 이상'이 사는 3개 지역…어디?”. 머니투데이. 2019년 12월 23일. 
  3. 중부편 지명 - 서울특별시 한국지명유래집, 2020년 8월 31일 확인.
  4. 소리를 빌릴 것인가, 뜻을 빌릴 것인가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년 4월 20일 발행.
  5. 발언대/중국서도 'seoul'로 읽게 해야 동아일보, 2004.5.6.
  6. 서울 다음 국어사전, 2017년 7월 30일 확인.
  7. <8.15 64주년> '서울특별시' 명칭 유래는 Archived 2013년 12월 14일 - 웨이백 머신 연합뉴스, 2009.8.13.
  8. '서울특별시' 명칭 유래는 연합뉴스, 2009년 8월 13일
  9. 군정법률 제106호 서울특별시의설치 (1946년 9월 18일에 설치)
  10. 1963년 전에는 한강 이남 지역 중 현재의 영등포구, 동작구(사당동 제외), 구로구안양천 동쪽 지역과 원래 한강 이북 지역이었던 송파구 잠실동, 신천동이 서울시의 관할이었다.
  11. 글로벌 세계대백과》〈서울의 지형
  12. 글로벌 세계대백과》〈서울의 임야
  13. “서울 地質圖幅說明書 (서울 지질도폭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2년. 
  14.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5. “뚝섬 (纛島) 地質圖幅說明書 (뚝섬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년. 
  16. 박병권 (1972년 9월). “Whole-rock Rubidium-Strontium Age of the Seoul Granite 서울 화강암의 Rb-Sr방법에 의한 암석년대 측정)”. 《대한지질학회8 (3): 156-162. 
  17. 소칠섭; 최병렬 (1975년 12월). “Rock Mechanical Analysis of the Granite Joints in Seoul Area 岩石力學的으로 考察한 서울花崗岩의 節理에 關한 硏究)”. 《대한지질학회11 (4): 233-239. 
  18. 정동훈; 송윤구; 박창윤; 강일모; 최성자 (2014). “추가령단층대 주요 단층의 백악기 이후 재활동 연대 (Reactivated Timings of Some Major Faults in the Chugaryeong Fault Zone since the Cretaceous Period)”.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47 (1): 29-38. 신갈단층은 경기육괴 내 연천-포천-의정부-서울-평택에 이르는 추가령 단층의 연장선상의 단층으로, 남북방향의 뚜렷한 선구조로 나타난다 
  19. 권순달; 김성곤; 이성한; 박권규 (2012). “기흥저수지 지역의 지반조사를 통한 신갈단층대 확인 (Identification of the Singal Fault Zone in the Kiheung Reservoir Area by Geotechnical Investigations)”.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45 (3): 295-306. 
  20. 글로벌 세계대백과》〈서울의 자연
  21. 크리스티안 디트리히 쇤비제, 김종규 역,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314쪽, ISBN 89-5832-203-9
  22.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23.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울(108)”.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24.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울(108)”.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25. “110일만에 서울-충청 '나쁨'… '초미세먼지 습격'시작되나 : 뉴스 ...”. 
  26. 주민등록 인구통계
  27.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서울의 인구
  28. 강준만 (2002).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51쪽. 
  29. 시민을 위한 서울역사 2000년 312쪽,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년
  30. 통계청. “지역내총생산(GRDP)”. 《국가지표체계》. 2016년 7월 8일에 확인함. 
  31.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자료
  32. 글로벌 세계대백과》〈서울의 공업
  33. 글로벌 세계대백과》〈서울의 상업
  34. 글로벌 세계대백과》〈서울의 사회·문화
  35. “서울통계 > 교육 > 학교총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7일에 확인함. 
  36. 홈페이지
  37. 홈페이지
  38. 홈페이지
  39. “홈페이지”. 2016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6일에 확인함. 
  40. “홈페이지”. 2014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3일에 확인함. 
  41. “홈페이지”. 2018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6일에 확인함. 
  42. 홈페이지
  43. “홈페이지”. 2005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6일에 확인함. 
  44. “홈페이지”. 2018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6일에 확인함. 
  45. “2016 프로야구와 프로축구는 모두 ‘서울의 봄’”. 미디어스. 2016년 11월 7일. 
  46. 자유로와 연결
  47. “콜택시 20日부터 運行”. 동아일보. 1970년 4월 14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8. “中型택시 운행”. 경향신문. 1988년 4월 15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9. “모범택시, 오늘 서울에서 첫 선”. MBC 뉴스데스크. 1992년 12월 23일. 2012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7일에 확인함. 
  50. 서울 소형 택시 운행 첫날…시민 반응은? Archived 2012년 1월 6일 - 웨이백 머신 KBS, 2011.12.3.
  51. 일반 택시보다 요금 싼 '소형택시' 퇴출 위기 sbs, 2013.10.3.
  52. [수도권] 도마에 오른 吳시장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 조선일보, 2010년 9월 29일.
  53. 서울특별시. “자매도시 현황”. 2013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