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1992년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

1991년에서 1992년 사이 여러 반전 운동

1991년~1992년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민족주의정치적 긴장이 고조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하면서 세르비아 내에서 발생한 수많은 반전 운동 중 하나이다.[1][2][3][4]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에 반대하는 1991년 대규모의 베오그라드 시위는 젊은이들의 반전 성향을 강화시켰다.[5] 베오그라드의 시위는 주로 부코바르 전투,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사라예보 포위전에 대한 반대를 내세웠고[1][6][7] 시위대는 선전포고 여부와 징병제 폐지 여부에 대한 국민투표를 요구했다.[8][9][5]

1991년~1992년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일부
세르비아의 밴드 림투티투키의 반전 공연 중 노래를 부르는 엘렉트리치니 오르가잠 멤버 스르잔 고이코비치의 모습
날짜1991년~1992년
지역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원인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세르비아 개입
목적
종류집회, 항의, 민중가요
결과탈영병 5만~20만명 발생, 징집병 10만~15만명 이주
시위 당사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정부
[[파일:{{{국기그림-1991}}}|22x20px|border |세르비아|링크=세르비아]] 세르비아 정부
주요 인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파일:{{{국기그림-1991}}}|22x20px|border |세르비아|링크=세르비아]] 도브리차 초시치
참여 인원
시위대 15만명 이상

5만명 이상이 시위에 참여했으며 사라예보 시민들과 연대해 연 "검은 리본 행진"이라는 가장 큰 규모의 시위에서는 총 15만명 이상이 시위에 참여했다.[10][2] 5만명에서 20만명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서 탈영했고, 10만명에서 15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전쟁을 반대해 징병을 피하기 위해서 세르비아에 타국으로 이주했다고 추정한다.[8][3]

샹파뉴-아르덴 대학의 선임교수이자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 증인으로 출석한 르노 드 라 브로스 교수는 특히나 대안적인 뉴스의 접근성이 당시에는 매우 낮았음을 고려한다면 밀로셰비치의 선전에 대한 세르브인의 저항이 대단히 컸다는 점은 매우 놀라운 사실이라고 말했다.[11] 부코바르 전투 한 달 후 이뤄진 여론 조사에 따르면 세르비아 국민의 64%가 전쟁을 당장 끝내야 한다고 답했고 27%만이 전쟁을 계속해야 한다고 답변했다.[12] 정치학자 올리 프리드만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와 전쟁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반전 운동에 대한 관심이 충분하지 않았고, 세르비아 내의 독립언론과 반전 단체가 국제적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2]

시위대 내 주요 세력

편집

세르비아 내 반전 사상과 운동을 이끈 대표적인 협회와 비정부 기구(NGOs)로는 반전 운동 지휘부, 검은 여성, 인도주의적 법률 센터, 베오그라드 서클 등이 있다.[3][1]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동원령 반대 서명 공연에서는 에카타리나 벨리카, 엘렉트리치니 오르가잠, 파르티브레이케르스 멤버들이 모인 슈퍼그룹림투티투키가 결성되었다.[13] 림투티투키 밴드는 베오그라드 공화국 광장에서 콘서트를 열었고 베오그라드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트럭 위에서 반전 노래를 연주했다.[4][13]

시위를 지지한 가장 유명한 세르비아 내 정치인으로는 이반 스탐볼리치가 있다.[13] 민주당, 인민농부당, 세르비아 자유당, 세르비아 개혁당 등은 "검은 리본 행진"에 참여했다.[6]

유명 건축가인 보그단 보그다노비치가 저명한 세르비아의 반전 반체제 인사 중 하나이다.[14] 베오그라드 시민들은 미랴나 카라노비치, 라데 셰르베지야 등 저명한 예술가, 작곡가, 배우들과 함께 "Neću protiv druga svog"(네추 프로티브 드루가 스보그, "난 내 친구에게 총부리를 들 수 없어")라는 노래를 함께 불렀다.[15]

세르비아 내의 독립언론은 민족감정을 일으키고 국민 동원을 목표로 한 밀로셰비치의 선전과 반대되는 반전 활동 홍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2] 이 시기 활동한 대표적인 언론사로는 서방의 자금 지원을 받은 B92RTV 스튜디오 B 등이 있다.[2][16][13]

반전 시위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으로는 부코바르 전장에서 전투를 거부하고 전차를 몰아 200 km를 되돌아온 군인 블라디미르 지브코비치가 세르비아 국민의회 의사당 건물 앞에 전차를 주차하고 있는 장면이다.[8][17]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Udovicki & Ridgeway 2000, 255–266쪽
  2. Fridman 2010
  3. “Antiratne i mirovne ideje u istoriji Srbije i antiratni pokreti do 2000. godine”. 《republika.co.rs》. 2011.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4. “Sećanje na antiratni pokret u Jugoslaviji početkom 1990-ih”. 《globalvoices.org》. 2016.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5. Powers 1997, 467쪽
  6. Ženski sud, 2013
  7. “Olovka piše mržnjom”. E-novine. 2009년 5월 18일. 2016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6일에 확인함. 
  8. “Spomenik neznanom dezerteru”. 《Vreme》. 2008.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9. Udovicki & Ridgeway 2000, 258쪽
  10. Udovicki & Ridgeway 2000, 260쪽
  11. “Comment: Milosevic's Propaganda War”.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2020년 5월 5일에 확인함. 
  12. Cigar 1996, 40–42쪽
  13. “Manje pucaj, više tucaj”. 《Buka》. 2012.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14. Udovicki & Ridgeway 2000, 114쪽
  15. “Regionalna škola tranzicione pravde - Zbornik” (PDF). 《Humanitarian Law Center》. 2016. 118쪽. 2020년 5월 5일에 확인함. 
  16. Udovicki & Ridgeway 2000, 255쪽
  17. Mihajlović, Branka (2013). “Spomenik dezerteru, negde u Vojvodini”.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20년 5월 5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서적
  • Powers, Roger S (1997). 《Protest, Power, and Change: An Encyclopedia of Nonviolent Action from ACT-UP to Women's Suffrage》. Routledge. ISBN 9781136764820. 
  • Udovicki, Jasminka; Ridgeway, James (2000). 《Burn This House: The Making and Unmaking of Yugoslavia》. Du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6764820. 
  • Cigar, Norman (1996). 〈The Serbo-Croatian War, 1991〉. Meštrović, Stjepan Gabriel. 《Genocide After Emotion: The Post-Emotional Balkan War》. London: Routledge. ISBN 978-0-415-12293-1. 
저널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