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30일 베르쿠트의 유로마이단 공격
유로마이단 시위가 진행되는 도중, 시위대 전력 분산 및 진압을 목적으로 2013년 11월 30일 베르쿠트가 유로마이단을 공격(우크라이나어: Силовий розгін Євромайдану в Києві)하였다. 베르쿠트의 진압 행위는 우크라이나 사법부에서 불법으로 규정되었다.
2013년 베르쿠트의 유로마이단 공격 | |||
---|---|---|---|
유로마이단의 일부 | |||
![]() 시위대를 진압하는 베르쿠트. | |||
날짜 | 2013년 11월 30일 | ||
지역 | 우크라이나 키이우 독립광장 | ||
원인 | 시위 진압 | ||
목적 | 정부의 표면적 목적: 새해에 대비하여 추가 작업을 위해 차량 통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 | ||
결과 | 시위대의 증가. 진압 실패 | ||
시위 당사자 | |||
| |||
주요 인물 | |||
| |||
참여 인원 | |||
| |||
사상자 | |||
|
유로마이단 시위는 2013년 11월 21일 우크라이나-유럽 연합 협력 협정 체결을 위한 준비 과정을 취소하겠다는 우크라이나 정부의 결정에 대한 항의로 시작되었다. 시위대들은 독립광장(마이단 광장)에 모여서 시위를 시작했다. 11월 30일 밤, 광장에는 약 400명의 시위대 및 학생들이 있었으며 이 때 베르쿠트가 시위를 진압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진압의 결과로 최소 79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 진압은 인권 단체를 비롯한 여러 시민 단체에서 주목받고 비난받게 되었다.
11월 30일 진압 사건은 2013년 우크라이나 시위의 전환점으로 반정부 시위라는 목적으로 초점을 옮겼을 뿐 아니라, 다음 날인 12월 1일 대규모 봉기가 일어나게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Майдан розігнали. 5 канал. 30.11.2013
- ↑ “Після розгону Майдану пропало троє людей - порушено справу (документ)”. 《portal.lviv.ua》. 2014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편집
- (우크라이나어) Я не хочу бути героєм України — відео силового розгону Євромайдану вранці 30 листопада 2013 р. на Майдані Незалежності.
- (우크라이나어) Євромайдан розігнали. Громадське ONLINE. 30 листопада
- (우크라이나어) Чорний листопад 13-го рок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