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대한민국의 꿀벌 실종
2022년 대한민국의 꿀벌 실종은 2022년 1월부터 발생한 양봉용 꿀벌의 개체수 급감 사건이다.[1] 이 현상은 21세기에 들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군집 붕괴 현상의 하나로 세계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다.[2]
2022년 1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시작된 꿀벌 실종은[1] 3월까지 전라남도, 경상남도, 충청북도까지 북상하며 발생하였고[3] 4월에 들어 경기도 고양시에서도 관찰되는 전국적 사건이 되었다.[4]
규모 편집
2022년 3월 집계한 주요 피해 규모는 아래와 같다.[3]
지역 | 전체 양봉 통수 | 피해 규모 | 비율 |
---|---|---|---|
전남 | 246,300 | 105,900 | 43 % |
경남 | 350,000 | 38,433 | 11.1% |
제주 | 74,216 | 11,133 | 15.1% |
충북 | 259,000 | 51,000 | 19.7 % |
원인 편집
한 지역의 꿀벌 군집이 붕괴하는 이유는 다양한 요소가 있을 수 있지만 전국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가장 유력한 원인은 기후 변화이다.[2] 그 외에 꿀벌응애와 같은 기생충의 창궐이 원인이 될 수 있다.[5] 21세기에 들어 양봉 농가는 등검은말벌과 같은 외래 천적의 침입, 낭충봉아부패병과 같은 질병, 폭염과 집중호우가 반복되는 여름과 점점 더 더워지는 겨울의 특징을 보이는 기후 변화 등으로 꿀벌 개체 감소와 꿀 생산량 급감을 겪어왔다. 2022년 꿀벌 개체 감소는 유래가 없이 큰 규모로 이러한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6]
일각에서는 최근 꽃에서 채취하는 꿀이 적어지자 먹이로 준 설탕 때문에 면역력이 떨어진 것이 기후 변화에 따른 따듯한 겨울을 만난 것과 겹치면서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을 가속화 시켰다고 진단한다.[7] 또한 2021년 8월에서 9월사이 응애류가 급격히 번성 할 때에는 로열제리 채취 등을 이유로 제대로 방제를 하지 못하였다가 이후 뒤늦은 방제를 하면서 일부 농가가 정상적인 양의 3배에 이르는 과도한 살충제를 투여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8]
2023년 경에는 꿀벌 군집 붕괴의 원인으로 꿀벌응애가 지목되고 있다. 양봉농가들이 특정 성분이 든 방제제를 오랜 기간 쓰다 보니 내성이 생긴 응애가 발생했고, 이 때문에 꿀벌의 면역력이 약해져 집단 폐사했다는 설이다. 정부는 2023년부터 내성을 일으킨 방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꿀벌응애를 퇴출하는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졍했다.[9]
영향 편집
꿀벌은 속씨식물의 수분을 돕고 꿀을 생산한다. 이 때문에 꿀벌 개체의 감소는 곧바로 속씨식물이 열매를 맺지 못하는 일로 이어진다. 당장에는 2022년 과수 농가의 과실 재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2006년 미국의 꿀벌 실종 사건 당시 밀가루의 값이 폭등한 사례가 있다.[4]
기후 변화 편집
꿀벌의 개체수 감소는 전세계적 현상으로 기후 변화가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10]
꿀벌 개체는 천적의 개체수나 질병 등으로도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 변화가 단일한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6] 그러나 따듯한 겨울 때문에 다른 요인들이 증폭되어 꿀벌 실종의 규모가 더 커졌다.[5] 미국의 경우 1973년에서 2017년까지 장기 관찰에서 다양한 기후 변화가 꿀벌 개체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되었다.[11]
미국의 저널리스트 로완 제이콥슨은 2008년 《꿀벌없는 세상, 결실없는 가을》에서 꿀벌의 군집 붕괴 현상이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12] 1962년 레이철 카슨이 《침묵의 봄》에서 살충제에 의한 꿀벌 군집 붕괴를 경고한 이후[13] 기후 변화가 꿀벌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 위기의 또 다른 원인으로 떠오른 것이다.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계 위기는 먹이 사슬과 같은 영양 단계에 영향을 미쳐 세계적인 여러 문제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식량 위기와 같이 인간의 삶에 직결되는 문제로 확대 될 수 있다.[1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가 나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2022년 꿀벌 실종 사건의 전말, 경향신문, 2022년 3월 31일
- ↑ 가 나 전 세계 꿀벌 실종 사건, ‘생태계 붕괴’ 방아쇠 당기나, 동아사이언스, 2022년 3월 18일
- ↑ 가 나 꿀벌 실종 사건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SBS, 2022년 3월 27일
- ↑ 가 나 전국 꿀벌 실종사태‥과일값 폭등 식량위기로 이어지나, MBC, 2022년 4월 4일
- ↑ 가 나 최근 '70억마리 꿀벌' 증발…이는 "4년내 인류 멸종" 경고다?, 중앙일보, 2022년 3월 20일
- ↑ 가 나 20년차 양봉 농민이 말하는 '꿀벌실종사건의 전말', 오마이뉴스, 2022년 3월 21일
- ↑ 경북, '꿀벌 실종' 해결사로 나섰다, 한국일보, 2022년 4월 3일
- ↑ 꿀벌 60억마리가 갑자기 사라졌다, 왜, 한겨레, 2022년 3월 15일
- ↑ 구경민 (2023년 2월 23일). “응애예요…'100억 마리' 꿀벌 폐사 '기후 변화' 때문이 아니었다”. 머니투데이. 2023년 2월 23일에 확인함.
- ↑ A world without bees? Archived 2022년 4월 8일 - 웨이백 머신, DW, 2022년 3월 22일
- ↑ Are Bees Endangered? Here’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brightly, 2022년 1월 18일
- ↑ 로완 제이콥슨, 노태복 역, 《꿀벌없는 세상, 결실없는 가을》, 에코리브스, ISBN 9788962630138
- ↑ 레이철 카슨, 김은령 역, 《침묵의 봄》, 에코리브스, ISBN 9788962630619
- ↑ 경시할 수 없는 ‘침묵의 위기’ 생태계 파괴, 한겨레, 2021년 8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