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은 2023년 10월 12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2023년 6월 기준 아시아 FIFA 랭킹 하위 20개국이 2차 예선 진출 자격을 얻기 위해 치러졌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개최기간2023년 10월 12일 ~ 17일
통계
최다 득점인도네시아 디마스 드라자드
인도네시아 라마단 사난타
« 2022
2030 »

시드 배정

편집

1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23년 7월 27일 14시 말레이시아 표준시(UTC+8)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소재 AFC 하우스에서 진행되었으며 FIFA 랭킹은 2023년 7월 20일 기준이다.

  • 주석: 굵은 글씨 팀들은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포트 A 포트 B
  1.   홍콩 (149)
  2.   인도네시아 (150)
  3.   중화 타이베이 (153)
  4.   몰디브 (155)
  5.   예멘 (156)
  6.   아프가니스탄 (157)
  7.   싱가포르 (158)
  8.   미얀마 (160)
  9.   네팔 (175)
  10.   캄보디아 (176)
  1.   마카오 (182)
  2.   몽골 (183)
  3.   부탄 (185)
  4.   라오스 (187)
  5.   방글라데시 (189)
  6.   브루나이 (190)
  7.   동티모르 (192)
  8.   파키스탄 (201)
  9.   (203)
  10.   스리랑카 (207)

경기 대진

편집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아프가니스탄   2 – 0   몽골 1-0 1-0
몰디브   2 – 3   방글라데시 1-1 1-2
싱가포르   3 – 1   2-1 1-0
예멘   4 – 1   스리랑카 3-0 1-1
미얀마   5 – 1   마카오 5-1 0-0
캄보디아   0 – 1   파키스탄 0-0 0-1
중화 타이베이   7 – 0   동티모르 4-0 3-0
인도네시아   12 – 0   브루나이 6-0 6-0
홍콩   4 – 2   부탄 4-0 0-2
네팔   2 – 1   라오스 1-1 1-0

경기 결과

편집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9:00 UTC+5
아프가니스탄   1 - 0   몽골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  타지키스탄)[1]
관중: 1456
심판:   카심 알-하트미
자바르 샤르자   60′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5:00 UTC+8
몽골   0 - 1   아프가니스탄 몽골 축구 연맹 축구 센터, 울란바토르
관중: 2185
심판:   하산 아크라미
  71′ 파르샤드 누르

  아프가니스탄이 합산 스코어 2-0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6:00 UTC+5
몰디브   1 - 1   방글라데시 몰디브 국립축구경기장, 말레
관중: 2555
심판:   바히드 카제미
나이즈 하산   87′   90+2′ 므드 사드 우딘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7:45 UTC+6
방글라데시   2 - 1   몰디브 바슌다라 킹스 아레나, 다카
관중: 6729
심판:   암마르 마푸드
라킵 후세인   11′
모하메드 포이살 아흐메드 파힘   46′
  36′ 이브라힘 아이샴

  방글라데시가 합산 스코어 3-2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9:30 UTC+8
싱가포르   2 - 1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싱가포르
관중: 10,355
심판:   모하마드 가바옌
크리스토퍼 판 하위전   35′
야콥 말러   41′
  90′ 제이슨 컨리프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4:45 UTC+10
  0 - 1   싱가포르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관중: 1012
심판:   천신취엔
  81′ 샤왈 아누아르

  싱가포르가 합산 스코어 3-1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20:00 UTC+3
예멘   3 - 0   스리랑카 다막 클럽 스타디움, 아브하 (  사우디아라비아)[2]
관중: 1526
심판:   나스룰로 카비로프
아흐메드 마헤르   33′
나세르 알-가와시   67′
압둘와시 알-마타리   90+3′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5:00 UTC+5:30
스리랑카   1 - 1   예멘 콜롬보 레이스코스, 콜롬보
관중: 3000
심판:   클리퍼드 데이푸얏
챠리타 라트나야케   89′   4′ 압둘와세아 알-마타리

  예멘이 합산 스코어 4-1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6:00 UTC+6:30
미얀마   5 - 1   마카오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관중: 6213
심판:   프란잘 바네르지
르윈모아웅   39′90+5′
소모쵸   62′
아웅카웅만   81′
나이모나잉   90+1′
  55′ 니키 토랑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9:30 UTC+8
마카오   0 - 0   미얀마 마카오 올림픽체육중심운동장, 마카오
관중: 2187
심판:   살림 알-마자라피

  미얀마가 합산 스코어 5-1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9:00 UTC+7
캄보디아   0 - 0   파키스탄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관중: 11,718
심판:   바라 아이샤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4:00 UTC+5
파키스탄   1 - 0   캄보디아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이슬라마바드
관중: 9562
심판:   페라스 타윌
하룬 하미드   68′

  파키스탄이 합산 스코어 1-0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9:00 UTC+8
중화 타이베이   4 - 0   동티모르 국가체육장, 가오슝
관중: 1894
심판:   이스마일 하비브 알리
위야오싱   4′60′
천팅양   57′
고위팅   88′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9:00 UTC+8
동티모르   0 - 3   중화 타이베이 국가체육장, 가오슝 (  대만)[3]
관중: 745
심판:   테자스 나그벤카르
  17′ 위치아황
  18′ 우옌슈
  23′ 안이언(앙쥬 사뮈엘 콰메)

  중화 타이베이이 합산 스코어 7-0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9:00 UTC+7
인도네시아   6 - 0   브루나이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관중: 23,318
심판:   비잔 헤이다리
디마스 드라자드   7′72′90+2′
리즈키 리도   12′
라마단 사난타   63′ (페널티)67′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20:15 UTC+8
브루나이   0 - 6   인도네시아 하사날 볼키아 국립경기장, 반다르세리베가완
관중: 17,281
심판:   아흐메드 알-알리
  6′44′ 호키 카라카
  42′ 에기 마울라나 비크리
  47′ (페널티) 위탄 술라에만
  63′ 리즈키 리도
  82′ 라마단 사난타

  인도네시아가 합산 스코어 12-0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20:00 UTC+8
홍콩   4 - 0   부탄 홍콩대구장, 홍콩
관중: 10,259
심판:   라즐란 조프리 알리
마이클 우데불루저   10′16′
찬친얏(찬 신이치)   28′
텐진 노르부   35′ (자책골)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8:00 UTC+6
부탄   2 - 0   홍콩 창리미탕 스타디움, 팀부
관중: 5300
심판:   토르키 알카티리
첸초 겔첸   28′
랍짱 초걀   47′

  홍콩이 합산 스코어 4-2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2023-10-12)
17:00 UTC+5:45
네팔   1 - 1   라오스 다샤라트 랑가살라, 카트만두
관중: 11,235
심판:   니본 로베시 가미니
안잔 비스타   48′   33′ 분파찬 분콩
2023년 10월 17일 (2023-10-17)
19:00 UTC+7
라오스   0 - 1   네팔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위앙짠(비앙티안)
관중: 9772
심판:   알리 레다
  53′ 당기 머니스

  네팔이 합산 스코어 2-1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패배팀 간의 순위

편집

1차 예선이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과 2027년 AFC 아시안컵 지역 예선을 겸해서 시행되었므로 원래는 1차 예선에서 탈락한 10개 팀 가운데 상위 1개 팀만 2027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직행하며 나머지 9개 팀들은 북마리아나 제도와 함께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 라운드로 전환될 예정이었다.[4][5] 그러나 과 북마리아나 제도가 2024년 5월 1일에 실시된 플레이오프 대진 추첨에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1차 예선에서 탈락했던 팀들 가운데 성적이 높은 3개 팀인 부탄, 몰디브, 라오스가 3차 예선에 직행하게 되었고 나머지 6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참가하게 되었다.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부탄 2 1 0 1 2 4 −2 3 2027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2   몰디브 2 0 1 1 2 3 −1 1
3   라오스 2 0 1 1 1 2 −1 1
4   캄보디아 2 0 1 1 0 1 −1 1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 라운드
5   스리랑카 2 0 1 1 1 4 −3 1
6   마카오 2 0 1 1 1 5 −4 1
7   2 0 0 2 1 3 −2 0 예선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불참
8   몽골 2 0 0 2 0 2 −2 0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 라운드
9   동티모르 2 0 0 2 0 7 −7 0
10   브루나이 2 0 0 2 0 12 −12 0
출처: [출처 필요]

각주

편집
  1. 아프가니스탄의 경우 탈레반의 아프간 점령 등으로 국내 사정과 치안이 매우 불안정하고 아프간 축구협회가 카타르로 망명 중인 상황에서 아프간계 해외파 선수들로만으로는 대표팀을 운영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1차전 홈 경기를 타지키스탄 대표팀의 홈 구장인 파미르 스타디움에서 치렀다.
  2. 예멘의 경우 예멘 내전 상황을 고려해 1차전 홈 경기를 사우디아라비아 아브하에서 치렀다.
  3. 동티모르 수도 딜리 소재 국립경기장은 FIFA 표준 미달인 관계로 동티모르는 홈경기를 대만 가오슝에서 치렀다.
  4. “Asia's pathway to the FIFA World Cup 2026 and AFC Asian Cup 2027 confirmed”. AFC. 2022년 8월 1일. 
  5. “AFC Competitions Committee approves key decisions on reformatted competitions”. AFC. 2023년 7월 1일. 2023년 7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