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차제정

(9차제정에서 넘어옴)

9차제정(九次第定, 산스크리트어: navānupūrva-samāpattayaḥ, navânupūrva-vihāra-samāpattayaḥ, 팔리어: avānupubba-vihāra-samāpattiyo, 영어: nine graduated concentrations, samādhi of the nine degrees)은 유루선정4선 · 4무색정 · 멸진정의 9가지 선정을 차례 대로 간격 없이[無間] 수행하여 최후의 멸진정(滅盡定)에 드는 것을 말한다. 즉, 색계초선에서 시작하여 차례대로 제2선 · 제3선 · 제4선으로 들어가고, 계속하여 더 나아가 무색계공무변처정 · 식무변처정 · 무소유처정 · 비상비비상처정으로 들어가고, 다시 계속하여 더 나아가 멸진정에 드는 것이다.[1][2][3][4][5]

무간선(無間禪), 연선(鍊禪), 9차정(九次定) 또는 9차제사유정정(九次第思惟正定)이라고도 한다.[1][2]

멸진정유루선정이지만 열반열반의 적정과 아주 유사한 상태의 선정이다.[6][7] 그렇기 때문에 9차제정의 마지막 종착지이다.

유루의 선정인 9차제정은 유루의 해탈인 8해탈(八解脫)과 관련이 깊다. 9차제정이 선정 그 자체라면 8해탈은 선정을 바르게 즉 선하게 사용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사용하여 획득 · 성취하는 결과이다. 8해탈과 그것의 의지처로서의 선정은 다음과 같다.[8]

번호8해탈선정
1내유색상관외색해탈
(內有色想觀外色解脫)
색계 초선과 제2선
2내무색상관외색해탈
(內無色想觀外色解脫)
색계 초선과 제2선
3정해탈신작증구족주
(淨解脫身作證具足住)
색계 제4선
4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무색계 공무변처정
5식무변처해탈(識無邊處解脫)무색계 식무변처정
6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무색계 무소유처정
7비상비비상처해탈
(非想非非想處解脫)
무색계 비상비비상처정
8멸수상정해탈(滅受想定解脫)무색계 멸진정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九次第定(구차제정)", 운허. 《불교사전》.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九次第定(구차제정)
    또는 무간선(無間禪)ㆍ연선(鍊禪). 차례로 이어서 닦는 9종의 선정. 초선차제정(初禪次第定)ㆍ2선차제정ㆍ3선차제정ㆍ4선차제정ㆍ공처차제정(空處次第定)ㆍ식처차제정(識處次第定)ㆍ무소유처차제정(無所有處次第定)ㆍ비상비비상처차제정(非想非非想處次第定)ㆍ멸수상차제정(滅受想次第定). 이는 초선(初禪)에서 일어나 차례로 제2선(禪)에 들어가고, 여심(餘心)으로 하여금 들지 못하게 하면서, 차례차례로 멸진정(滅盡定)에 드는 것.
  2. "구차제정[九次第定]",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구차제정[九次第定]
    초선(初禪)에서 차례대로 제2선(第二禪)·제3선(第三禪)·제4선(第四禪)으로 들어가고, 계속해서 차례대로 공무변처정(空無邊處定)·식무변처정(識無邊處定)·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으로 나아가 멸진정(滅盡定)에 드는 수행법.
    동의어: 구차정(九次定), 구차제사유정정(九次第思惟正定)
  3. "九次第定",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九次第定
    梵語 navānupūrva-samāpattayaḥ。意為次第無間所修之九種定。又稱無間禪或鍊禪。指色界之四禪、無色界之四處及滅受想定等九種禪定。以不雜他心,依次自一定入於他定,故稱次第定。分別為初禪次第定、二禪次第定、三禪次第定、四禪次第定、空處次第定、識處次第定、無所有處次第定、非想非非想處次第定及滅受想次第定等。深心智慧利之行者,自試其心,從初禪心起入二禪,不令異念得入,乃至入滅受想定,止息一切心識,是達禪定之至極。如是異念無間雜,亦稱無間禪。又以此禪鍊諸味禪,使之清淨,譬如鍊金,故稱鍊禪。〔大智度論卷二十一、卷八十一、大乘義章卷十三、大明三藏法數卷三十四〕p214
  4. "九次第定",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九次第定
    Basic Meaning: nine graduated concentrations
    Senses:
    Concentration in which the practitioner progresses successively through the four meditations 四禪, the four formless concentrations 四無色定, and the concentration of extinction 滅盡定. See also 九有情居 and 九地 (Skt. navânupūrva-samāpattayaḥ, navânupūrva-vihāra-samāpattayaḥ, anupūrva-vihāra-samāpatti; Pāli navānupubba-vihāra-samāpattiyo; Tib. mthar gyis gnas pa'i snyoms par 'jug pa dgu). 〔瑜伽論 T 1579.30.588b26〕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Yokoi, Hirakawa, YBh-Ind]
  5. "九次第定", 불문망. 《불학사전》.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九次第定
    辭典解釋 :
    解釋[1]:
    梵語 navānupūrva-samāpattayah。意為次第無間所修之九種定。又稱無間禪或鍊禪。指色界之四禪、無色界之四處及滅受想定等九種禪定。以不雜他心,依次自一定入於他定,故稱次第定。分別為初禪次第定、二禪次第定、三禪次第定、四禪次第定、空處次第定、識處次第定、無所有處次第定、非想非非想處次第定及滅受想次第定等。深心智慧利之行者,自試其心,從初禪心起入二禪,不令異念得入,乃至入滅受想定,止息一切心識,是達禪定之至極。如是異念無間雜,亦稱無間禪。又以此禪鍊諸味禪,使之清淨,譬如鍊金,故稱鍊禪。〔大智度論卷二十一、卷八十一、大乘義章卷十三、大明三藏法數卷三十四〕
    出處:佛光電子大辭典
    頁數:p134
    解釋[2]:
    The samādhi of the nine degrees, i.e. the four dhyānas 四禪, the four realms beyond form 四無色, and the samādhi beyond sensation and thought 滅受想定; see 九有情居 and 九地.[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出處: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3]:
    九次第定 The nine graduated concentrations'. Concentration in which the practitioner progresses successively through the 'four meditations' [四禪], the 'four formless concentrations' [四無色定], and the 'concentration of extinction' [滅盡定].
    解釋[4]:
    初禪次第定、二禪次第定、三禪次第定、四禪次第定(以上是色界四禪天的根本定)、空處次第定、識處次第定、無所有處次第定、非想非非想處次第定(以上是無色界四處的根本定)、滅受想次第定。
    出處: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5]:
    (名數)四禪,四無色,及滅受想定(亦云滅盡定),九種之禪定,不雜他心,次第自一定入於一定之法也:一、初禪次第定。二、二禪次第定。三、三禪次第定。四、四禪次第定(已上名色界四禪天之根本定)。五、空處次第定。六、識處次第定。七、無所有處次第定。八、非想非非想處次第定(已上名無色界四處之根本定)。九、滅受想次第定。止息一切心識之定,以是為禪定之至極。智度論三十一曰:「九次第定者:從初禪心起,次第入第二禪,不令餘心得入,如是乃至滅受想定。問曰:餘者亦有次第,何以但稱九次第?答曰:餘功德皆有異心間生,故非次第。此中深心智慧利行者,自試其心,從一禪心起,次入二禪,不令異念得入。」同八十一曰:「入初禪,乃至過非想非無想處,入滅受想定,是名次第定。」又見大乘義章十三,三藏法數三十四等。
    出處:丁福保《佛學大辭典》
    相近字:
    九河供佛 [w] , 九河發心 [w] , 九法聚 [w] , 九流 [w] , 九流 九漏 [w] , 九橫經 [w] , 九橫死 [w] , 九橫 [w] , 九業 [w] , 九梵 [w]
  6. 구사 조, 실역인 한역(T.1553). 《아비담감로미론》(阿毘達磨俱舍論) 상권.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3, CBETA.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T28n1553_p0973b20║八地離欲得滅盡定。是說身證阿
    T28n1553_p0973b21║那含。若俱解脫阿羅漢法似涅槃身中著。
  7. 구사 조, 실역인 한역, 번역자 미상(K.961, T.1553). 《아비담감로미론》 상권.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8지(地)의 욕심을 끊어 멸진정(滅盡定)을 얻는다. 이를 몸으로 아나함을 증득하는 것[身證阿那含]이라고 말한다. 만약 구해탈(俱解脫)의 아라한이라면 법이 열반과 비슷하게 몸 가운데 드러난다.
  8. "八解脫",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八解脫
    梵語 aṣṭau vimokṣāḥ,巴利語 aṭṭha vimokkhā。謂依八種定力而捨卻對色與無色之貪欲。又作八背捨、八惟無、八惟務。八者即:
    (1)內有色想觀諸色解脫,為除內心之色想,於外諸色修不淨觀。
    (2)內無色想觀外色解脫,內心之色想雖已除盡,但因欲界貪欲難斷,故觀外不淨之相,令生厭惡以求斷除。
    (3)淨解脫身作證具足住,為試練善根成滿,棄捨前之不淨觀心,於外色境之淨相修觀,令煩惱不生,身證淨解脫具足安住。
    (4)超諸色想滅有對想不思惟種種想入無邊空空無邊處具足住解脫,盡滅有對之色想,修空無邊處之行相而成就之。
    (5)超一切空無邊處入無邊識識無邊處具足住解脫,棄捨空無邊心,修識無邊之相而成就之。
    (6)超一切識無邊處入無所有無所有處具足住解脫,棄捨識無邊心,修無所有之相而成就之。
    (7)超一切無所有處入非想非非想處具足住解脫,棄捨無所有心,無有明勝想,住非無想之相並成就之。
    (8)超一切非想非非想處入想受滅身作證具足住解脫,厭捨受想等,入滅一切心心所法之滅盡定。
    此中前二者依初禪與第二禪,治顯色之貪,第三依第四禪修淨觀,皆以無貪為性。第四至第七依次以四無色之定善為性,第八依有頂地,以滅有所緣心為性。
    又初二者各分為二,第三分為四,合謂八勝處。
    〔中阿含卷二十四大因經、俱舍論卷二十九、品類足論卷七〕(參閱「八勝處」441)p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