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체 구성 요소 1 Q 하위 구성 요소 결합 단백질, 미토콘드리아(Complement component 1 Q subcomponent-binding protein, mitochondrial)는 인간에서 C1QBP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이다.[5][6][7]

C1QBP
사용 가능한 구조
PDB동원체 검색: PDBe RCSB
식별자
다른 이름C1QBP, GHABP1, SF2p32, gC1Q-R, gC1qR, p32, complement component 1, q subcomponent binding protein, complement C1q binding protein, COXPD33, SF2AP32
외부 IDOMIM: 601269 MGI: 1194505 HomoloGene: 31023 GeneCards: C1QBP
RNA 발현 패턴
Bgee
인간(동원체)
최상위 발현
최상위 발현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BioGPS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쥐 보기/편집

인간 보체 하위 구성 요소 C1q는 혈청 보체 시스템의 첫 번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해 C1r 및 C1과 결합한다. 이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은 C1q 분자의 구형 머리부분에 결합하여 C1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 단백질은 히알루론산 결합 단백질 뿐만 아니라 pre-mRNA 스플라이싱 인자 SF2의 p32 소단위체으로 확인되었다.[7]

단백질 소단위체

편집

C1QBP는 길이가 282개인 아미노산이고, N 말단에 73개 아미노산 잔기가 절단되어 성숙한 C1QBP를 생성하는 3개의 상동 소단위체가 있다. C1QBP는 환원 및 비환원 조건 모두에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서 약 33kDa의 단량체로 나타나지만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겔 여과) 에서는 삼량체로 이동한다.[8]

단백질 구조

편집

2.25Å 분해능에서 C1QBP의 결정 구조는 대칭성을 나타내는 동종삼량체 고리를 보여준다. 개별 소단위는 비공유 상호작용에 의해 함께 유지되고 직경이 20Å인 중심 공동이 있는 도넛 모양의 4차 구조를 형성한다. C1QBP의 각 소단위체에는 7개의 베타 병풍 구조(β1-β7)과 3개의 알파 나선 구조(α1-α3)가 있다. C1QBP는 용해성 면에서 음전하를 띠는 반면 막 면은 주로 양전하를 띠고 있다.[9]

상호작용

편집

C1QBP는 단백질 인산화효소 D1[10], BAT2[11], PRKCD[10], PKC 알파[10] 및 단백질 인산화효소 Mζ[10]와 상호 작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1QBP의 다른 상호 작용 파트너에는 세균[12], 바이러스[13] 및 변형체 열원충(plasmodium falciparum)[14]과 같은 병원체의 단백질 도메인이 포함된다. 피브리노겐, FXII 및 HK를 포함한 혈장 단백질은 아연 의존적 방식으로 C1QBP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15][16] 최근 종양 유도 펩타이드인 LyP-1(CGNKRTRGC)은 종양 발현 세포에서 C1QBP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각주

편집
  1.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108561 - 앙상블, May 2017
  2. GRCm38: Ensembl release 89: ENSMUSG00000018446 - 앙상블, May 2017
  3.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Molecular cloning of human fibroblast hyaluronic acid-binding protein confirms its identity with P-32, a protein co-purified with splicing factor SF2. Hyaluronic acid-binding protein as P-32 protein, co-purified with splicing factor SF2”. 《J Biol Chem》 271 (4): 2206–12. March 1996. doi:10.1074/jbc.271.4.2206. PMID 8567680. 
  6. “Isolation, cDNA cloning, and overexpression of a 33-kD cell surface glycoprotein that binds to the globular "heads" of C1q”. 《J Exp Med》 179 (6): 1809–21. June 1994. doi:10.1084/jem.179.6.1809. PMC 2191527. PMID 8195709. 
  7. “Entrez Gene: C1QBP complement component 1, q subcomponent binding protein”. 
  8. Jiang, Jianzhong (1999). “rystal structure of human p32, a doughnut-shaped acidic mitochondrial matrix protein”. 《PNAS》 96 (7): 3572–3577. Bibcode:1999PNAS...96.3572J. doi:10.1073/pnas.96.7.3572. PMC 22335. PMID 10097078. 
  9. Jiang, Jianzhong (1999). “rystal structure of human p32, a doughnut-shaped acidic mitochondrial matrix protein”. 《PNAS》 96 (7): 3572–3577. Bibcode:1999PNAS...96.3572J. doi:10.1073/pnas.96.7.3572. PMC 22335. PMID 10097078. 
  10. Storz, P; Hausser A; Link G; Dedio J; Ghebrehiwet B; Pfizenmaier K; Johannes F J (August 2000). “Protein kinase C [micro] is regulated by the multifunctional chaperon protein p32”. 《J. Biol. Chem.》 (UNITED STATES) 275 (32): 24601–7. doi:10.1074/jbc.M002964200. ISSN 0021-9258. PMID 10831594. 
  11. Lehner, Ben; Semple Jennifer I; Brown Stephanie E; Counsell Damian; Campbell R Duncan; Sanderson Christopher M (January 2004). “Analysis of a high-throughput yeast two-hybrid system and its use to predict the function of intracellular proteins encoded within the human MHC class III region”. 《Genomics》 (United States) 83 (1): 153–67. doi:10.1016/S0888-7543(03)00235-0. ISSN 0888-7543. PMID 14667819. 
  12. Braun, Laurence; Ghebrehiwet, Berhane; Cossart, Pascale (2000). “gC1q-R/p32, a C1q-binding protein, is a receptor for the InlB invasion protein of Listeria monocytogenes”. 《The EMBO Journal》 19 (7): 1458–1466. doi:10.1093/emboj/19.7.1458. PMC 310215. PMID 10747014. 
  13. Kittlesen, David J.; Chianese-Bullock, Kimberly A.; Yao, Zhi Q; Braciale, Thomas J.; Hahn, Young S. (2000). “Interaction between complement receptor gC1qR and hepatitis C virus core protein inhibits T-lymphocyte proliferation”. 《J Clin Invest》 106 (10): 1239–1249. doi:10.1172/jci10323. PMC 381434. PMID 11086025. 
  14. Magallón-Tejada, Ariel (2016). “Cytoadhesion to gC1qR through Plasmodium falciparum Erythrocyte Membrane Protein 1 in Severe Malaria”. 《PLOS Pathog》 12 (11): e1006011. doi:10.1371/journal.ppat.1006011. PMC 5106025. PMID 27835682. 
  15. Pathak, Monika; Kaira, Bubacarr G.; Slater, Alexandre; Emsley, Jonas (2018). “Cell Receptor and Cofactor Interactions of the Contact Activation System and Factor XI”. 《Frontiers in Medicine》 5: 66. doi:10.3389/fmed.2018.00066. PMC 5871670. PMID 29619369. 
  16. Peerschke, EI; Bayer, AS; Ghebrehiwet, B; Xiong, YQ (2006). “gC1qR/p33 blockade reduces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of target tissues in an animal model of infective endocarditis”. 《Infect Immun》 74 (8): 4418–4423. doi:10.1128/iai.01794-05. PMC 1539591. PMID 16861627. 
  17. Paasonen, Lauri; Sharma, Shweta; Braun, Gary B.; Kotamraju, Venkata R.; Chung, Thomas D.Y.; She, Zhigang; Sugahara, Kazuki N; Yliperttula, Marjo; Wu, Bainan (2017). “New p32/gC1qR Ligands for Targeted Tumor Drug Delivery”. 《ChemBioChem》 17 (7): 570–575. doi:10.1002/cbic.201500564. PMC 5433940. PMID 26895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