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라이브시티

(CJ LiveCity에서 넘어옴)

CJ라이브시티(영어: CJ LiveCity)는 대한민국 대표 문화기업 CJ그룹의 계열사로, 대규모 복합문화시설과 공연장을 개발 및 운영하는 회사다.

CJ라이브시티
CJ LiveCity Co., Ltd.
형태주식회사 (비상장)
창립2015년 12월 22일
산업 분야부동산업 및 임대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본사 소재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태극로 60, 빛마루방송지원센터 1801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 마포구 월드컵북로 56길 19, 상암드림타워 8, 10층
핵심 인물
김진국(대표이사)
주요 주주CJ ENM (지분 90%)
종업원 수
100명 (2023년)
계열사CJ그룹

2015년에 한류의 관광 산업화를 목적으로 경기도가 추진한 공모사업에 CJ그룹이 참여하면서 설립된 법인이다. 설립 당시의 사명은 '주식회사 케이밸리'로 2019년 4월 2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1]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태극로 60에 위치하나, 현재 임직원 대부분은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6길 19에 위치한 서울사무소에서 근무한다.


사업

편집

CJ라이브시티는 법인명(기업명)과 동일한 사업명의 복합문화단지를 조성 중이다.

개요

편집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일대 약 10만평 부지에 개발 중인 CJ라이브시티는 음악·영화·드라마·예능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 콘텐츠를 전 세계인이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K-콘텐츠 경험형 복합단지'이다. 'K-팝 공연 전문 아레나'를 포함하여 다양한 콘텐츠 경험시설, 상업·숙박·업무·관광시설, 한류천 수변 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2]

CJ라이브시티 조성사업
위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1884
면적 32만6400㎡(약 10만평)
주요 시설 세계 최초 'K-팝 공연 전문 아레나' 등 콘텐츠 경험시설,
상업∙숙박∙업무∙관광시설, 한류천 수변공원 등
주요 일정 2021년 10월 아레나 착공

설계

편집

전 단지의 마스터플랜 수립 및 건축 디자인은 하이테크 건축의 대가인 영국 포스터앤드파트너스(영어: Foster+Partners)가 맡았다.[3]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건축가 노먼 포스터가 설립한 포스터앤드파트너스는 미국 애플사의 신사옥 애플파크 등을 설계한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주요 시설

편집

CJ라이브시티 아레나

편집

CJ라이브시티의 대표 시설인 아레나는 2만석의 실내 좌석과 4만명 이상 수용 가능한 야외 공간이 연계되는 ‘국내 최대 규모 음악 전문 공연장’이자 ‘세계 최초의 K-팝 전문 공연장’이다. 국내 건설사 중 유일하게 아레나 공연장 시공 경험이 있는 ㈜한화 건설부문이 단독 시공을 맡았다.[4] 아레나는 2021년 10월 착공했다.[5]

CJ라이브시티 아레나
규모 실내 2만석, 야외 4만명 이상 수용 가능한 공간 연계
면적 건축면적 2만6500㎡ (약 8000평)
시공사 한화 건설부문
착공 2021년 10월
운영사 CJ라이브시티-AEG 합작법인

아레나의 운영은 전 세계 1위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미국 AEG[6] 가 함께한다. AEG는 미국 크립토닷컴 아레나(구 스테이플스 센터), 영국 O2 아레나,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 등 전 세계 300개 이상의 주요 베뉴(Venue)를 운영 및 보유한 세계 1위 아레나 전문기업으로, 코첼라 등 세계적인 페스티벌과 더불어 롤링 스톤스, 케이티 페리, 테일러 스위프트, 저스틴 비버, 폴 매카트니, 셀린 디온 등 최정상 아티스트의 월드 투어를 기획, 운영하고 있다. CJ라이브시티와 AEG가 설립하는 합작법인은 아레나 운영 및 공연 기획·프로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7]

CJ라이브시티 랜드마크 타워

편집

CJ라이브시티는 과거 사업계획에서 88층 규모의 초고층 CJ라이브시티 랜드마크 타워를 추진한 바 있다.[8] 그러나 현재는 해당 건축물의 높이 및 용도 등을 다시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업 현황

편집

CJ라이브시티 사업은 2023년 2월 한국전력공사가 대용량 전력공급 불가를 통보하면서 제동이 걸린다. 사업 부지를 가로지르는 한류천의 수질개선 사업도 지연된다. 이미 CJ라이브시티는 2016년 사업협약 체결 이후로 주무관청의 각종 인허가 과정에만 약 50개월이 지체된 상황으로, 불가항력적인 외부 요인까지 중첩되면서 더 이상 사업 추진이 불가한 상황에 직면한다.[9]

이에 CJ라이브시티는 2023년 10월 국토교통부가 10년만에 재가동한 '민관합동 PF 조정위원회'에 사업협약 조정을 신청한다. 목적은 주무관청인 경기도와 체결한 사업협약 조정을 통해 악화된 사업 여건을 개선하는 것에 있다.[10] 2024년 6월 기준 조정위의 마지막 절차인 감사원 사전컨설팅이 진행 중이다. 사전컨설팅 결과가 나오는대로 CJ라이브시티와 주무관청과의 사업조정 합의가 마무리, 직후 CJ라이브시티 사업 정상화 및 재개가 준비될 것으로 전망된다.[11]


갤러리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