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2+ ATP가수분해효소

자리옮김효소의 종류

Ca2+ ATP가수분해효소(영어: Ca2+ ATPase) 또는 칼슘 ATP가수분해효소(영어: Calcium ATPase)는 근육이 수축한 후에 칼슘을 전달하는 P형 ATP가수분해효소의 한 형태이다.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종류의 Ca2+ ATP가수분해효소가 존재한다.[2]

  •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영어: plasma membrane Ca2+ ATPase, PMCA)
  •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영어: sarcoplasmic reticulum Ca2+ ATPase, SERCA)
Ca2+ ATP가수분해효소
Ca2+ ATP가수분해효소[1]
식별자
EC 번호7.2.2.10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 (PMCA) 편집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PMCA)는 세포에서 칼슘(Ca2+)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원형질막수송 단백질이다.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세포 내 Ca2+의 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3] 실제로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모든 진핵세포에서 Ca2+을 제거하는 데 관여한다.[4] 세포 내로 이온의 유입을 유도하는 Ca2+의 막횡당 전기화학적 기울기가 매우 크지만 적절한 세포 신호전달을 위해 세포가 낮은 농도의 Ca2+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세포가 Ca2+을 제거하기 위해 이온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5]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와 나트륨-칼슘 교환체(NCX)는 함께 세포 내 Ca2+ 농도의 주요 조절자이다.[4] Ca2+을 세포 외 공간으로 수송하기 때문에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또한 세포 외 공간에서 칼슘 농도의 중요한 조절자이다.[6]

파일:Calcium atpase.png
Ca2+ ATP가수분해효소의 렌더링된 이미지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아스파르틸 인산 중간생성물을 형성하는 P형 1차 이온 수송 ATP가수분해효소 계열에 속한다.[4]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를 비롯한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된다.[7]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 (SERCA) 편집

근육세포에서 Ca2+은 일반적으로 근소포체(SR)이라고 하는 특수한 형태의 소포체(ER)로 격리된다.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근육 이완 동안 ATP를 가수분해하면서 세포세포질로부터 근소포체 내강으로 Ca2+을 운반하는 Ca2+ ATP가수분해효소이다. 골격근에서 근소포체 막의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원형질막의 유사한 Ca2+ ATP가수분해효소와 조화를 이루어 작동한다. 이것은 휴식 상태의 근육에서 유리 칼슘의 세포질 농도가 0.1µM 미만이 되도록 한다.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와 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구조와 메커니즘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둘 다 종양촉진제인 탑시가르긴에 의해 저해되어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틀:PDB Molecule of the Month
  2. nlm.nih.gov
  3. Jensen TP, Buckby LE, Empson RM (September 2004). “Expression of plasma membrane Ca2+ ATPase family members and associated synaptic proteins in acute and cultured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s from rat”. 《Brain Research. Developmental Brain Research》 152 (2): 129–36. doi:10.1016/j.devbrainres.2004.06.004. PMID 15351500. 
  4. Strehler EE, Zacharias DA (January 2001). “Role of alternative splicing in generating isoform diversity among plasma membrane calcium pumps”. 《Physiological Reviews》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81 (1): 21–50. doi:10.1152/physrev.2001.81.1.21. PMID 11152753. 
  5. Carafoli E (January 1991). “Calcium pump of the plasma membrane”. 《Physiological Reviews》 71 (1): 129–53. doi:10.1152/physrev.1991.71.1.129. PMID 1986387. 
  6. Talarico EF, Kennedy BG, Marfurt CF, Loeffler KU, Mangini NJ (March 2005). “Expression and immunolocalization of plasma membrane calcium ATPase isoforms in human corneal epithelium”. 《Molecular Vision》 11: 169–78. PMID 15765049. 
  7. Jensen TP, Filoteo AG, Knopfel T, Empson RM (February 2007). “Presynaptic plasma membrane Ca2+ ATPase isoform 2a regulates excitatory synaptic transmission in rat hippocampal CA3”. 《The Journal of Physiology》 579 (Pt 1): 85–99. doi:10.1113/jphysiol.2006.123901. PMC 2075377. PMID 17170045. 17170045.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