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 번호
효소에 대한 숫자 분류 체계
EC 번호(영어: Enzyme Commission number)는 효소를 정리할 수 있도록 반응 형식에 따라서 EC에 따른 4개의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국제 생화학 연합(현: 국제 생화학·분자생물학 연합)의 효소 위원회에 의해서 1961년에 만들어졌다. 효소 번호(酵素番號)라고도 한다.
명명법편집
효소 번호는 "EC" 뒤에 점으로 구분되는 네 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 번호는 효소의 분류에 따라 계층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인 아미노트리펩티다이스의 번호 "EC 3.4.11.4"는 다음 효소군을 가리킨다:
- EC 3은 가수 분해 효소를 뜻한다.
- EC 3.4은 펩타이드 결합에 작용하는 가수 분해 효소를 뜻한다.
- EC 3.4.11은 폴리펩타이드에서 말단 아미노산을 자르는 가수 분해 효소를 말한다.
- EC 3.4.11.4은 트라이펩타이드에서 말단 아미노산을 자르는 효소를 말한다.
군 | 작용 | 화학 반응 |
---|---|---|
EC 1 | 산화 환원 효소 | AH + B → A + BH (환원) A + O → AO (산화) |
EC 2 | 전달 효소 | AB + C → A + BC |
EC 3 | 가수 분해 효소 | AB + H2O → AOH + BH |
EC 4 | 분해 효소 | RCOCOOH → RCOH + CO2 또는 [X-A-B-Y] → [A=B + X-Y] |
EC 5 | 이성질화 효소 | AB → BA |
EC 6 | 연결 효소 | X + Y+ ATP → XY + ADP + Pi |
외부 링크편집
- (영어) 효소 명명법
이 글은 생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