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서울 2군
FC 서울 R(Football Club Seoul Reserves)은 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에 있었던 축구 선수단이다. GS스포츠가 운영했던 남자 U-23 축구단이며, 1990년에 창단되었고 2022년에 해단되었다.
전체 명칭 | 서울 2군 축구단 | ||
---|---|---|---|
원어 명칭 | Football Club Seoul Reserves | ||
이전 명칭 | 럭키금성 황소 2군 축구단 (1990년) LG 치타스 2군 축구단 (1991년~1995년) 안양 LG 치타스 FC R (1996년~2003년) | ||
국가 | 대한민국 | ||
도시 | 구리 | ||
협회 | 대한축구협회 | ||
리그 | R리그 | ||
경기장 | GS챔피언스파크 | ||
창단 | 1990년 | ||
해단 | 2022년 | ||
소유 | GS[1] | ||
운영 | GS스포츠 | ||
소유주 | 허태수[2][3] | ||
웹사이트 | www.fcseoul.com | ||
| |||
역사
편집프로축구단을 창단한 이후 1군과 2군을 별도로 운영했던 포항 스틸러스나 울산 현대와는 달리 FC 서울은 1983년 창단 이후 명확하게 1군과 2군을 구분하여 운영하지 않았다. 하지만 1990년도부터 시행되는 2군 리그에 대비해 방출 선수들을 최소화하면서 FC 서울 2군을 본격적으로 조직해 운영하기 시작했다.
그 후 폐지되었던 2군 리그가 2000년부터 재개, R리그로 거듭나면서 FC 서울 2군 또한 체계적으로 운영되어왔다. 이청용, 송진형, 고명진, 안상현, 한동원, 기성용[4] 등의 선수들이 2군에서 기량을 향상시켜 K리그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사례를 남겼으며 특히 2001 시즌을 마지막으로 드래프트제가 폐지되고 자유계약선수제도가 시행되었던 2002 시즌부터 2005 시즌 동안[5] 앞서 언급한 이청용을 비롯한 젊은 재목들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훈련을 거쳐 대형 선수로 성장시킨 성과가 있었다.
2016년 기점으로 FC 서울 2군은 FC 서울 성인 선수단 중 즉시전력에서 제외된 선수들과 21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R리그 중부 리그(A조 리그) 소속으로 참가하고 있다.
지도자
편집직위 | 이름 | 비고 |
---|---|---|
코치 | ||
GK 코치 |
※ 2군 전임 감독과 코치 체제가 시작된 것은 김귀화 감독, 손현준 코치의 2004 시즌부터이며, 2003 시즌까지는 코치 중 한명이 2군 전담 코치가 되어 감독 역할을 하였으며 2016 시즌부터 다시 코치 중 한명이 2군 전담 코치가 되어 감독 역할을 하고 있다.
우승 기록
편집리그
편집- R리그 챔피언십
- ● 우승 (5): 2000, 2002, 2004, 2010, 2016
- ● 준우승 (3): 2001, 2003, 2005
- R리그 권역리그
- ● 우승 (5): 2000, 2005, 2006, 2010, 2016
- ● 준우승 (4): 2001, 2002, 2003, 2004
역대 시즌 통계
편집시즌 | 리그 | 순위 | 팀수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R리그 챔피언십 | 감독 |
---|---|---|---|---|---|---|---|---|---|---|---|---|---|
1990 | 단일리그 | 4위 | 5 | 12 | 4 | 3 | 5 | 18 | 20 | -2 | 11 | 미개최 | 정해성 |
2000 | 중부리그 | 우승 | 5 | 16 | 8 | 4 | 4 | 32 | 22 | +10 | 28 | 우승 V1 | 신재흠 |
2001 | 중부리그 | 준우승 | 5 | 16 | 9 | 1 | 6 | 31 | 29 | +2 | 28 | 준우승 | |
2002 | 중부리그 | 준우승 | 6 | 20 | 11 | 6 | 3 | 44 | 22 | +22 | 44 | 우승 V2 | |
2003 | 중부리그 | 준우승 | 5 | 16 | 9 | 4 | 3 | 30 | 17 | +13 | 31 | 미개최 (공동 우승) | 김귀화 |
2004 | 중부리그 | 준우승 | 6 | 15 | 6 | 6 | 3 | 20 | 19 | +1 | 24 | 우승 V3 | |
2005 | 중부리그 | 우승 | 6 | 20 | 12 | 4 | 4 | 36 | 23 | +13 | 40 | 준우승 | 최기봉 |
2006 | A조 리그 | 우승 | 4 | 18 | 8 | 3 | 7 | 31 | 27 | +4 | 27 | 3위 | 김성남 |
2007 | A조 리그 | 5위 | 5 | 16 | 4 | 6 | 6 | 17 | 20 | -3 | 18 | 진출 실패 | |
2008 | 중부리그 | 5위 | 7 | 18 | 6 | 4 | 8 | 30 | 37 | -7 | 22 | 진출 실패 | |
2009 | A조 리그 | 5위 | 5 | 12 | 1 | 4 | 7 | 11 | 26 | -15 | 7 | 진출 실패 | |
2010 | A조 리그 | 우승 V4 | 8 | 14 | 10 | 3 | 1 | 32 | 10 | +22 | 33 | 미개최 (공동 우승) | 최진한 |
2011 | A조 리그 | 5위 | 8 | 21 | 8 | 4 | 9 | 33 | 29 | +4 | 28 | 미개최 (공동 우승) | 김성남 |
2012 | A조 리그 | 4위 | 6 | 15 | 3 | 3 | 9 | 18 | 32 | -14 | 12 | 미개최 (공동 우승) | 김성남 (–2012년 7월) |
2016 | A조 리그 | 우승 V5 | 8 | 14 | 9 | 2 | 3 | 32 | 12 | +20 | 29 | 미개최 (공동 우승) | |
2017 | 단일리그 | 미개최 (공동 우승) | |||||||||||
2018 | 중부 리그 | 우승 V6 | 미개최 (공동 우승) |
†. 1991-1999년, 2013-2015년 R리그는 중단되었다.
시즌 | 진출 팀수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부차기 | 감독 |
---|---|---|---|---|---|---|---|---|---|---|---|
2000 | 4 | 우승 | 3 | 1 | 1 | 1 | 6 | 5 | +1 | 4-3 승 (챔피언십) | 신재흠 |
2001 | 4 | 준우승 | 3 | 1 | 0 | 2 | 4 | 5 | -1 | N/A | |
2002 | 4 | 우승 | 3 | 2 | 1 | 0 | 2 | 0 | +2 | N/A | |
2004 | 4 | 우승 | 3 | 2 | 1 | 0 | 5 | 2 | +3 | N/A | 김귀화 |
2005 | 4 | 준우승 | 3 | 0 | 2 | 1 | 4 | 5 | -1 | 3-1 승 (4강전) | 최기봉 |
2006 | 4 | 3위 | 1 | 0 | 0 | 1 | 0 | 1 | -1 | N/A | 김성남 |
역대 수상자
편집R리그 최우수선수상 (MVP)
편집# | 연도 | 선수 | 포지션 | 비고 |
---|---|---|---|---|
1 | 2002 | 박동석 | 골키퍼(GK) | |
2 | 2004 | 한동원 | 공격수(FW) |
R리그 득점상
편집# | 연도 | 선수 | 포지션 | 득점 | 경기수 | 경기당득점 | 비고 |
---|---|---|---|---|---|---|---|
1 | 1990 | 김동해 | 미드필더(MF) | 7
|
?
|
?
|
|
2 | 2000 | 왕정현 | 공격수(FW) | 8
|
8
|
1.00
|
|
3 | 2005 | 한동원 | 공격수(FW) | 10
|
20
|
0.50
|
각주
편집- ↑ “주식회사 GS스포츠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에 대한 현황 공시”. 《전자공시시스템》. GS스포츠. 2025년 6월 2일.
- ↑ 장호성 (2024년 5월 8일). “현대건설 ‘배구’·GS건설 ‘축구’…건설사들의 이유 있는 스포츠마케팅”. 한국금융신문.
- ↑ “GS 소개”. GS.
- ↑ “1군 향해 쏜다 - 꿈익는 열여덟 소년”. 일간스포츠. 2004년 11월 12일.
- ↑ “프로축구 내년 부활 신인드래프트제 반발 불끄기”. 세계일보. 2005년 9월 6일.
참고 문헌
편집- “스포츠지원포털 등록 현황”. 대한체육회.
- “KFA 통합경기정보 시스템”. 대한축구협회.
- “K리그 데이터 포털”. 한국프로축구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