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d Hot Chili Peppers (음반)
《The Red Hot Chili Peppers》는 1984년 8월 10일 EMI 아메리카 레코드와 에니그마 레코드를 통해 발매된 미국의 록 밴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데뷔 스튜디오 음반이다. 이 음반은 갱 오브 포의 기타리스트 앤디 길이 프로듀싱한 것으로, 기타에 잭 셔먼이 참여하는 유일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음반이다. 셔먼은 창단 멤버인 힐렐 슬로박의 대체 멤버로 밴드에 있었는데, 그는 음반이 녹음되기 전에 창단 드러머인 잭 아이언스와 함께 밴드를 떠났다. 이 음반의 투어 후에 셔먼은 해고되었고 슬로박은 밴드에 다시 합류했다. 이 음반에는 창시자 앤서니 키디스의 보컬과 플리의 베이스 연주, 클리프 마르티네스의 드럼 연주도 담겨 있다.
![]() | ||||
---|---|---|---|---|
![]() | ||||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1984년 8월 10일 | |||
녹음 | 1984년 4월 | |||
장르 | 펑크 록[1][2], 랩 록[3], 펑크 메탈[4][5] | |||
길이 | 32:32 | |||
언어 | 영어 | |||
레이블 | EMI 아메리카, 에니그마 | |||
프로듀서 | 앤디 길 |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연표 | ||||
|
〈Get Up and Jump〉은 음반에서 유일하게 발매된 싱글이었지만, 〈True Men Don't Kill Coyotes〉라는 곡의 뮤직비디오가 만들어졌다. 이 음반은 펑크 메탈 장르의 첫 발매로 인정받았으며[4], "랩 록 혁명에 불을 붙인 작은 불꽃"이라는 꼬리표도 붙여졌다.[3]
작곡 및 녹음편집
밴드는 음반의 음악적 방향을 놓고 프로듀서 앤디 길과 종종 갈등을 빚었다. 앤서니 키디스는 밴드 오리지널 1983 데모 테이프의 원초적인 에너지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면서 전체적인 소리에 실망했다.[6][7] 키디스는 2004년 자서전 《스카 티슈》에서 "어느 날 길의 수첩을 살짝 보았는데, 〈Police Helicopter〉라는 노래 옆에 'Shit'라고 썼어요. 저는 그가 그걸 똥이라고 치부했다고 철거당했어요. 〈Police Helicopter〉는 우리 왕관의 보석이었어요. 그것은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신을 구현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 운동적이고, 찌르고, 각지고, 충격적이고, 음력과 에너지의 공격력입니다. 아마도 그의 노트를 읽으면서 '좋아요, 이제 우리는 적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라는 그 거래를 우리 마음속에 봉인시켰을 것입니다. 그것은 그가 우리와 특히 플리와 저를 상대로 한 것이 되었습니다. 기록을 남기기 위한 진짜 전투가 되었습니다."[7]
반응편집
전문가 평가 | |
---|---|
평가 점수 | |
출처 | 점수 |
AllMusic | [5]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8] |
Sputnikmusic | 2/5[9] |
The Village Voice | B–[10] |
이 음반은 빌보드 200에서 차트화하지 못하여 201위(1984년 가을 8주간 메인 음반 차트를 "굴절했다"는 의미)에 도달했다. 이 음반은 대학 방송과 MTV 로테이션을 받았고, 밴드의 팬층을 형성했다. 앤서니 키디스가 자서전 《스카 티슈》에서 발표한 《스핀》 잡지 1호가 주는 등 음반에 게재된 리뷰는 엇갈렸다.[7]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나중에 "그들의 첫 번째 노력이 응집력 있는 음반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썼다.[5] 2007년 기준으로, 전세계적으로 약 30만 장이 팔렸다.[11] 키디스와 플리는 수년 동안 힐렐 슬로박과 잭 아이언스가 등장하는 오리지널 라인업으로 녹음된 대부분의 곡의 데모 버전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밴드는 여러 책에서 잭 셔먼이 밴드에 기여한 것, 특히 펑크 음악과 음악 이론에 대한 그의 지식이 슬로박과 함께 존재하지 않았던 밴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녀의 예명인 로즈 노월트로 더 잘 알려진 그웬 디키는 〈Mommy, Where's Daddy?〉에서 백 보컬을 제공한다. 디키는 1970년대 그룹 로즈 로이스의 가수였다. 이 노래의 라이브 공연에서는 그녀의 대사가 플리에 의해 공연된다.
곡 목록편집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True Men Don't Kill Coyotes | 앤서니 키디스, 플리, 클리프 마르티네스, 잭 셔먼 | 3:40 |
2. | Baby Appeal | 키디스, 플리, 힐렐 슬로박, 마르티네스, 셔먼 | 3:41 |
3. | Buckle Down | 키디스, 플리, 마르티네스, 셔먼 | 3:24 |
4. | Get Up and Jump | 키디스, 플리, 슬로박, 잭 아이언스 | 2:53 |
5. | Why Don't You Love Me | 행크 윌리엄스 | 3:27 |
6. | Green Heaven | 키디스, 플리, 슬로박, 아이언스 | 3:59 |
7. | Mommy, Where's Daddy? | 키디스, 플리, 마르티네스, 셔먼 | 3:31 |
8. | Out in L.A. | 키디스, 플리, 슬로박, 아이언스 | 2:01 |
9. | Police Helicopter | 키디스, 플리, 슬로박, 아이언스 | 1:16 |
10. | You Always Sing the Same (일부 버전에서는 〈You Always Sing〉으로 나열됨) | 키디스, 플리 | 0:19 |
11. | Grand Pappy Du Plenty (기악) | 키디스, 플리, 마르티네스, 셔먼, 앤디 길 | 4:15 |
각주편집
- ↑ “CMJ New Music Report”. 2004년 1월 5일: 14.
- ↑ McMahon, Kevin (2016년 6월 20일). “Ranking: Every Red Hot Chili Peppers Album From Worst to Best: The Red Hot Chili Peppers (1984)”. 《Consequence of Sound》. 2016년 6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Stafford, James (2015년 8월 10일). “The Story of the Red Hot Chili Peppers' Self-Titled Debut”. 《Diffuser.fm》. 2019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Haire, Chris (2009년 8월 12일). “Psychostick returns funk metal to its silly roots”. 《Charleston City Paper》. 2009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r16297 Allmusic Review]
- ↑ Reiff, Corbin (2015년 8월 10일). “How the Red Hot Chili Peppers' Debut Pointed to Big Things”. 《Ultimate Classic Rock》. 2019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Kiedis, Anthony; Sloman, Larry (2004년 10월 6일). 《Scar Tissue》. Hyperion. ISBN 1-4013-0101-0.
- ↑ Kot, Greg (2004). 〈Red Hot Chili Peppers〉.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and Schuster. 681쪽. ISBN 0743201698.
- ↑ Royal, Jade (2012년 6월 23일). “Red Hot Chili Peppers”. 《Sputnikmusic》. 2016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 Christgau, Robert (1984년 12월 25일). “Consumer Guide”. 《The Village Voice》. 2016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 Faris, Lynn (January 2007). “Not your Mother's Milk”. Creative Loafing. 2007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