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운가
중국의 국가 목록 | |
---|---|
![]() | |
〈공금구〉(1911-1912) | |
![]() | |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1915-1921) | |
〈경운가〉(1913-1915, 1921-1928) | |
![]() | |
〈삼민주의〉(1930-(1949 본토)) | |
![]() | |
〈인터내셔널가〉(1931-1937) | |
![]() | |
〈의용군 진행곡〉(1949~1966) | |
〈동방홍〉(1966-1978) | |
〈의용군 진행곡〉(1978~현재) |
경운가(중국어: 卿雲歌)는 1913년부터 1915년까지, 그리고 1921년부터 1928년까지 사용된 중국의 국가이다. 가사는 순 임금때의 일을 담은 상서(尙書)의 경운가(卿雲歌)에서 가사를 따온 것이고, 작곡은 샤오유메이(중국어: 蕭友梅 Xiao Youmei[*])가 하였다. 1915년부터 1921년까지는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가 국가였다.
배경편집
가사는 순 임금때의 일을 담은 상서(尙書)의 경운가(卿雲歌)에서 가사를 따온 것이다. 원문은 다음과 같다.
- 卿雲爛兮﹑ 糺縵縵兮。日月光華, 旦復旦兮。
1913년부터 1915년까지 사용된 첫 번째 가사는 위 글에 순 임금의 또다른 말인 "時哉夫,天下非一人之天下也"를 추가한 것이다.
한편 1919년 11월, 돤치루이가 세운 국가연구회(國歌研究會)에 의해 경운가는 日月光華, 旦復旦兮 부분을 두 번 부르는 것으로 대신하는 것으로 논의가 끝났다. 이 두 번째 가사는 장빙린(중국어: 章炳麟)이 작사했으며, 작곡은 1921년, 베이징 대학의 교수인 샤오유메이(중국어: 蕭友梅 Xiao Youmei[*])가 했다.
가사편집
첫 번째 가사(1913년 ~ 1915년)편집
중국어 번체 | 한어 병음 | 해석 |
---|---|---|
|
|
|
두 번째 가사(1921년 ~ 1928년)편집
중국어 번체 | 한어 병음 | 해석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