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하마형류
경하마형류(鯨河馬形類, Whippomorpha) 또는 경요치류(鯨凹歯類, Cetancodonta)는 고래류(고래, 돌고래 등)와 근연종 하마를 포함하는 포유류 분류군이다.[1] 하마(Hippopotamus amphibius)와 큰돌고래(Tursiops truncatus)의 최근 공통 조상의 자손인 모든 종을 포함하는 정상군(頂上群, crown group)의 일종으로 정의된다.[1] 경우제류(Cetartiodactyla, 돼지와 반추동물도 포함)의 하위 분류군이다. 고래와 하마가 어떻게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지 명확하지 않지만, 고래가 우제류/경우제류에서 발생했다는 유전학적 증거가 강하며 따라서 우제류가 측계통군을 형성한다.[2]
경하마형류 | ||
---|---|---|
하마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하강: | 진수하강 |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
아목: | 경하마형아목(Whippomorpha) 또는 경요치아목(Cetancodonta) Waddell et al. 1999 | |
하목 | ||
|
경하마형류(鯨河馬形類) 학명 Whippomorpha는 "고래(鯨)"와 "하마(河馬)"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의 합성어(wh[ale] + hippo[potamus])와 '형태' 또는 '형'(形)을 의미하는 그리스어(μορφή, morphe = form)의 조합이다. 경요치류(鯨凹歯類, Cetancodonta)로 불리기도 하지만,[3] 경하마형류라는 이름이 더 우선한다.[4]
하위 분류
편집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09년 스폴딩(Spaulding)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
우제목/경우제목 |
| |||||||||||||||||||||||||||||||||||||||||||||||||||||||||
각주
편집- ↑ 가 나 Waddell, P. J.; Okada, N.; Hasegawa, M. (1999). “Towards resolving the interordinal relationships of placental mammals”. 《Systematic Biology》 48 (1): 1–5. doi:10.1093/sysbio/48.1.1. JSTOR 2585262. PMID 12078634.
- ↑ Beck, Robin M.D.; Bininda-Emonds, Olaf R.P.; Cardillo, Marcel; Liu, Fu-Guo; Purvis, Andy (2006). “A higher-level MRP supertree of placental mammals”. 《BMC Evolutionary Biology》 6: 93. doi:10.1186/1471-2148-6-93. PMC 1654192. PMID 17101039.
- ↑ Spaulding, Michelle; O'Leary, Maureen A.; Gatesy, John (2009). Farke, Andrew Allen, 편집. “Relationships of cetacea (Artiodactyla) among mammals: Increased taxon sampling alters interpretations of key fossils and character evolution”. 《PLoS ONE》 4 (9): e7062. doi:10.1371/journal.pone.0007062. PMC 2740860. PMID 19774069.
- ↑ Asher, Robert J.; Helgen, Kristofer M. (2010). “Nomenclature and placental mammal phylogeny”. 《BMC Evolutionary Biology》 10: 102. doi:10.1186/1471-2148-10-102. PMC 2865478. PMID 20406454.
- ↑ Michelle Spaulding, Maureen A. O’Leary und John Gatesy: Relationships of Cetacea (Artiodactyla) Among Mammals: Increased Taxon Sampling Alters Interpretations of Key Fossils and Character Evolution. PlosOne 4 (9), 2009, S. e7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