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랴쿠가나

가나의 합자

고랴쿠가나(合略仮名、ごうりゃくがな)는 가나합자이다.

개요

편집

「ヿ(코토)」 「 (시테)」 등은 합자는 아니지만, 고랴쿠가나와 함께 소개되기도 한다.

1900년(메이지 33년)의 「가나는 한 음에 한 문자로 한다」는 메이지 정부의 정령[1]에 의해서, 공적으로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2].

전자 기기 상에서의 취급

편집

2000년까지, 컴퓨터 상에서는 외자(外字, 상용한자 이외의 한자)의 이용 등에서 밖에 고랴쿠가나를 취급하지 않았다.

2000년, JIS X 0213이 정해졌다. 이에 따라 「ヿ(코토)」와 「(요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2년, Unicode 3.2에 「ヿ(코토)」와 「ゟ(요리)」가 채용되었다.

2009년, Unicode 5.2에 「 (토모)」가 채용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C로 등록되었다.

2017년, Unicode 10.0에 「  (시테)」 「 (나리)」 「 (나리)」가 채용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F로 등록되었다.

표시 가능한 폰트

편집

2023년 7월, 고랴쿠가나가 표시 가능한 폰트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일람

편집

히라가나

편집

이하는 합자이다.

읽기 사진 문자 Unicode 자원
카시코   - - 𛀚(か (可의 헨타이가나))しこ
코토   ͡と - こと[3][4]
고토   ͡ど - ごと[3][4]
사마   - - さ𛃅(ま (滿의 헨타이가나))[5][6]
  - -
마이라세사우라후   - - まいらせ候
  - -
요리   U+309F より[5][6][4]

이하는 합자는 아니다.

읽기 사진 문자 Unicode 자원
나리   F U+2CF02 [7][8]
토모 사진 - - [9]
도모 - - 共゛[10][11]

가타카나

편집

이하는 합자이다.

읽기 사진 문자 Unicode 자원
토이후   - - ト云[12][13][14]
토키   - - トキ[5][12][13][14]
토테   - - トテ[5]
토모   𪜈 U+2A708 トモ[5][12][13][3][4]
도모   𪜈゙ - ドモ
요리   - - ヨリ[12][13]

이하는 합자는 아니다.

읽기 사진 문자 Unicode 자원
이후   - -
코토   U+30FF
시테   F U+2CF00 [12][13]
토키   - - [12][13]
나리   F U+2CEFF [12][13][14]

유사 문자

편집
  • 「마스(ます)」라고 읽는 문자 「〼」는, 계량에 사용하는 됫바가지기호화한 것으로, 고랴쿠가나는 아니다.
  • 한자의 일부를 가나로 치환한 글자(약자)가 있으나, 이들도 고랴쿠가나는 아니다.
    • 예: 「機」 , 「議」 , 「摩」 또는 「魔」  → 「약자」를 참조.
  • 인터넷 속어로, 기존 문자의 이 다른 문자로 해독가능한 경우, 해당 문자 한 글자를 다른 문자 두 글자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예: 「托い」(キモい, 기분 나쁘다) 「モルール」(モノレール, 모노레일) 등.

각주

편집
  1. 일본 문부성 (1900). 《초등학교령 시행 규칙 제16조(小学校令施行規則第十六条)》 (일본어) – 위키문헌 경유. 
  2. 일본 문부성 조사국(文部省調査局) (1957). “국어 개선에 관한 약년표(国語改善に関する略年表)” (pdf). 《국어 시리즈(国語シリーズ) 33 국어 문제 문답(国語問題問答) 제5집(第五集)》. 일본 문부성(文部省). 2020년 9월 25일에 확인함. 
  3. 보통 일본 문전(普通日本文典) 오치아이 나오부미(落合直文) 외 1893
  4. 일한의 문전: 아속 대조(和漢の文典 : 雅俗対照)
  5. 일본대문전. 제1편(日本大文典. 第1編) P.42-45 오치아이 나오부미(落合直文) 1894년
  6. 말의 샘: 일본대사전 (21판)(ことばの泉 : 日本大辞典 (21版)) P.3 오치아이 나오부미(落合直文) 1904년
  7. 고다마 고타(児玉幸多) 『흘려 쓰기 해독 사전 〔보급판〕(くずし字解読辞典〔普及版〕)』 도쿄도 출판(東京堂出版) 1993년 외
  8. 다지마 이쿠도(田島毓堂) 「법화경의 글자 일본 훈독 고 —자료편 (3)—(法華経為字和訓考—資料編(三)—)」 나고야 대학 문학부 연구 논집(名古屋大学文学部研究論集) 1990년
  9. “◆”. 《한자 자체장(漢字字躰帳)》 (일본어). 2024년 2월 29일에 확인함. 
  10. “◆”. 《한자 자체장(漢字字躰帳)》 (일본어). 2024년 2월 29일에 확인함. 
  11. “일본 국립 국회 도서관 디지털 콜렉션(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dl.ndl.go.jp》. 2024년 2월 29일에 확인함. 
  12. 국어학 대계 제7권 문학 (1)(國語學大系 第七巻 文字(一)) P.302-303 후쿠이 규조(福井久蔵) 1939년
  13. 가나 본말(仮字本末) 반 노부토모(伴信友) 1850년
  14. 操觚便覧藤井乙男編 1899年

참고 문헌

편집
  • 헤비조(蛇蔵), 우미노 나기코(海野凪子) (2009년 2월 18일). 《일본인이 모르는 일본어 과연~×폭소!의 일본어 "재발견" 코믹 에세이(日本人の知らない日本語 なるほど〜×爆笑!の日本語"再発見"コミックエッセイ)》. 미디어 팩토리(メディアファクトリー). ISBN 978-4-8401-2673-1. 헤비조(蛇蔵), 우미노 나기코(海野凪子) (2009년 2월 18일). 《일본인이 모르는 일본어 과연~×폭소!의 일본어 "재발견" 코믹 에세이(日本人の知らない日本語 なるほど〜×爆笑!の日本語"再発見"コミックエッセイ)》. 미디어 팩토리(メディアファクトリー). ISBN 978-4-8401-2673-1.  - 「마이라세소로」에 대해서 언급.
  • 마스다 다메히코(益田多米彦), 편집. (1902년 6월 30일). 《일본 문전 초보(日本文典初歩)》. 마스다 다메히코(益田多米彦).  - 고랴쿠가나에 대해서 설명.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