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에서 공학을 담당하는 전투 병과 또는 군인을 가리키는 말

공병(工兵)은 동아시아, 그 중에서도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단어로, 군대에서 공학을 담당하는 부대 또는 병과를 가리킨다. 유럽어권에서는 새퍼, 파이오니어, 전투공병(영어: Combat Engineer) 등으로 명칭이 나뉜다. 공병의 주요 업무는 축성, 가교, 건설, 측량, 파괴 등 다양한 임무를 맡고 있다. 전쟁 상황에 따라서는 상륙정을 통해 부대를 상륙시키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1] 대한민국에서는 공병 부대가 모여 있는 군부대를 "공병단"이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자위대 내 공병 부대를 시설과라고 부르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중국인민해방군 공정병이라는 병과를 따로 운용하고 있다.

2012년 2월 대한민국 육군 제8군단이 제설을 진행하는 모습

공병이라는 단어는 각국이 서양식 군대를 도입하던 시기 '공학을 담당하는 부대'를 번역하면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유신 직후인 1871년 공병과를 신설한 뒤 1879년 공병조전이라는 법전을 편찬해 공병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2] 1880년 오국대대병어자휘을 발행하여 '공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기록하였다.[3] 중화권의 경우 1900년대 초 제작된 《청조 속문헌통고》4권에 공병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였다.[4] 한국에서도 1900년 대한제국 정부가 편찬한 『군사 제도 개편안』, 1900년 6월 1일 발행된 황성신문, 그리고 1901년 대한제국 관보 등에서 공병 부대의 존재가 확인된다.

역사

편집

용례

편집

일본

편집

대한민국

편집

중화인민공화국

편집

중화민국

편집

각주

편집
  1.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2025년 5월 7일에 확인함. 
  2. 일본 육군성 (1887년) [1880]. 도쿄에서 작성. 《工兵操典 第二版》 (육군 법전) (일본어) 2판. 일본 도쿄: 일본 육군성. 
  3. 일본 제국육군 참모본부 (1880). 《五国対照兵語字彙》. 일본 제국육군. 
  4. 劉錦藻 (1904년). 〈4〉. 《清朝續文獻通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