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월드컵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光州월드컵競技場, Gwangju World Cup Stadium)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에는 종합운동장 트랙 부분에 잔디를 깔아 축구전용구장으로 열었고, 현재는 육상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운용되고 있다.
![]() | |
전체 이름 | 광주월드컵경기장 |
---|---|
원어 이름 | Gwangju World Cup Stadium |
별칭 | 거스 히딩크 경기장 (Guus Hiddink Stadium) |
소재지 | ![]() |
좌표 | 북위 35° 08′ 01″ 동경 126° 52′ 30″ / 북위 35.133727° 동경 126.874914° |
기공 | 1998년 11월 16일[1][2] |
건설 기간 | 3년 2개월 |
개장 | 2002년 1월 9일[3][4][5][6] |
소유 | 광주광역시청[3] |
운영 | 광주광역시체육회[3][6] |
건설 비용 | 1,587억 8천 8백만 원[3]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규모 | 필드: 105 × 68 m 트랙: 400 m × 8 레인 |
좌석 | 40,245석[3][6][7] |
수용 인원 | 40,245명[3][6][7] |
개최 대회 | 2002년 FIFA 월드컵 2007년 전국체육대회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FA컵 K리그1 (2003년 ~ 2020년) K리그2 (2013년 ~ 2019년) |
홈 경기장 | 광주 상무 FC (2003년 ~ 2010년) 광주 FC (2011년 ~ 2020년) |
![]() |
K리그 광주 상무 축구단이 2003년부터 2010년까지 홈 구장으로 사용했고, 상무가 경상북도 상주시로 연고지를 이전한 후 2011년부터는 광주광역시의 시민구단인 광주 FC의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해외에는 거스 히딩크 경기장으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대한민국과 스페인의 2002년 FIFA 월드컵 8강전이 열렸던 경기장이며, 2015년에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주 경기장으로 쓰였다.
2002년 FIFA 월드컵편집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2002년 6월 2일 | 스페인 | 3 - 1 | 슬로베니아 | B조 1차전 |
2002년 6월 4일 | 중화인민공화국 | 0 - 2 | 코스타리카 | C조 1차전 |
2002년 6월 22일 | 대한민국 | 0 - 0 PSO 5 - 3 |
스페인 | 8강전 3경기 |
각주편집
- ↑ 〈광주월드컵경기장〉. 《두피디아》. 두산.
- ↑ 김도윤, 전윤서, 정가은, 정은빈 (2016년 12월 2일). “월드컵경기장, 시민들의 공간으로 변화”. 무등일보.
- ↑ 가 나 다 라 마 바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1.
- ↑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0.
-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8쪽.
- ↑ 가 나 다 라 “광주월드컵경기장 시설현황”. 광주광역시체육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광주월드컵경기장”. 공유광주.
참고 문헌편집
- 〈광주월드컵경기장〉. 《두피디아》. 두산.
- “광주월드컵경기장”. 광주광역시체육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광주월드컵경기장”. 공유광주.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0.
-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