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시단위 행정구역

상주시(尙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부에 있는 이다. 동쪽으로 구미시·의성군, 서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 남쪽으로 김천시, 북쪽으로 문경시·예천군과 접한다. 조선 초기에는 경상감영의 소재지로서 경상도의 수부역할을 하였으며, 경주시와 함께 경상도의 어원이 된 유서 깊은 도시이다. 농특산물은 곶감, 명주, 이고, 자전거의 도시로 유명하다. 시청은 남성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17면 6동이다.

상주시
상주시청 청사
상주시청 청사
상주시의 위치
상주시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면적 1,254.78 km2
세대 48,965 가구(2021[1])
인구 95,566 명(2021[2])
인구 밀도 76 명/km2
1개
17개
행정동 6개
법정동 36개
국회의원 임이자(국민의힘, 상주시·문경시)
시청
시장 강영석(국민의힘)
소재지 상주시 상산로 223
웹사이트 https://www.sangju.go.kr/
상징
시목 감나무
시화 장미
시조 까치
상징 동물 호랑이

역사 편집

지리 편집

경상북도의 서부, 소백산맥의 산록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부산지와 서부산지가 남북으로 뻗어 있고 그 사이로 흐르는 남천과 북천이 이루는 넓은 들판에 위치하였다. 동부에는 갑장산, 서부에는 천봉산이 있다. 시내는 주로 화강편마암화강암의 지질로 되어 있다. 북부에는 속리산(俗離山:1,057m)과 남쪽에는 백화산(白華山:933m) 등 1,000m 내외의 고준한 산이 솟아 있으나 일반적으로 동남부는 저평하여 경지가 넓고, 특히 동쪽을 흐르는 낙동강 유역은 넓고 비옥한 지대를 이루고 있다. 면적은 1,254.78km2이고, 인구는 101,208명(2017.7)이다.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 내륙지방에 위치한 관계로 대륙성 기후에 접근하고 있으며, 삼한 사온이 뚜렷하다. 연 평균 기온은 12~13 °C정도로 최한월 1월과 최난월 8월의 평균기온이 -3 °C , 26 °C내외로 서북부 산간지대로 갈수록 겨울철 기온이 낮아진다. 연간 강우량은 1,050mm내외로 낙동강 유역 대부분의 내륙지방이 1,000mm 정도에 비하여 다소 높은 편이다. 1998년도에는 1,873mm를 기록하여 극심한 기상재해를 입었다. 천기일수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10년간 맑은 날이 연 평균 156일에 달하고 있으며 넓은 평야와 적정한 강우량, 여름철 높은 기온, 많은 일조량등 농작물 재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7]

지질 편집

상주시는 지질 구조상 서쪽의 옥천 습곡대와 동쪽의 경상 분지 사이에 끼어 있는 선캄브리아기 영남 지괴에 위치한다.[8] 암석은 전체적으로 본 지역의 기반을 이루고 있던 편암류, 이 편암류들이 화강암화되어(化) 생성된 준(準)편마암류, 이들을 화강암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리라 믿어지는 고기 관입암류, 이들을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중생대 퇴적암류 그리고 이들을 관입한 불국사기의 화성암류로서 구성되어 있다.[9]

편암류와 준편마암류 편집

상주시 내에서 편암류와 이들이 화강암화(化)된 준(準)편마암류 암석은 본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상주도폭의 지질 계통표에서 생성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시대 미상의 암석으로 분류되나 이들이 대부분 영남 육괴 안에 들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으로 보인다. 이들 준편마암류 암석은 내서면, 외서면, 외남면낙동강 이서 지역 곳곳에 분포하며, 영남 지괴의 방향성을 따라 대체로 북복동 방향성을 갖는다. 편암류와 준편마암류에 잔류되어 있는 퇴적기원 잔류물의 광물 조성으로 보아 그들의 원암(原巖)은 사질암, 이질암과 석회질암인 것으로 생각된다.[9][10]

  • 대가산 편마암(bgn/dgn; daegasan gneiss, 大佳山 片麻巖)은 이안면 흑암리 소재 대가산을 중심으로 공검면 중소리에서 이안면 양범리와 함창읍 북서부를 지나 문경시로 이어지며 북동-남서 방향의 대상(帶狀)으로 분포하는 편마암류이다. 본 암석은 화강암질 편마암, 호상 편마암 및 이들에 협재되는 운모질 석영 편암과 석회암층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질 편마암과 호상 편마암층 분포지의 지형적인 차이점이 약간 나타나는데 전자는 주로 낮은 산릉으로 대표되는 노년성 지형을 보이나 후자의 분포지는 전자에 비해 기복이 현저해 장년기 지형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공검면 지평리-예주리에서 대현리 단층에 의해 1.5 km 정도 변위되어 있으며 함창읍 북서부인 점촌함창 나들목 부근에서 막곡 단층(또는 옥동 단층)에 의해 고생대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과 접하고 있다. 또한 대현리 단층 이남 지역에서의 본 암석과 대석회암층군과의 접촉부는 중생대 중소리층에 의해 부정합적으로 덮여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암과 대석회암층군과의 관계는 알 수 없다. 공검면, 이안면 지역에서는 본 암과 중생대 알칼리 화강암과의 지질 경계선이 거의 직선을 그리며 이는 막곡 단층의 남서측 연장선과 일치해 이 둘이 단층 접촉을 하는 것처럼 보여 알칼리 화강암이 언급한 단층이 생성된 이후에 본 암을 관입하였음을 알 수 있다.[11]
  • 금곡리 편암류(Ksch) : 편암류는 상주시 지역의 기반을 이루고 있던 것으로서 북장사 단층을 따라 단층 동측에서 모서면 대포리에서 내서면 평지리, 북장리, 외서면 가곡리 연봉리 북부와 공검면 오태리, 사벌국면 덕가리와 함창읍 금곡리, 신덕리까지 대상으로 분포한다. 그러나 북장사와 외서면 백전리에서 남북방향으로 분포하는 중생대의 알칼리 화강암 및 석영반암에 의해 절단된다. 북장사 단층 인접부에서 편암류들은 매우 압쇄(壓碎)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 함유되어 있는 석영분들은 흔히 길게 늘어져 있다. 사벌국면-함창읍 경계 지역에서는 본 층 내에 석회암층이 협재된다.[9][11][10]
  • 준편마암류 : 준편마암류는 상기한 편암류들이 심한 화강암화(化)작용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이들 암석은 상주도폭(1969)에 의해 흑운모화강암질편마암, 담홍색가리장석화강암, 각섬석화강암질편마암(Honblend granitic gneiss), 복운모화강암질편마암, 애풀라이트질편마암, 미그마타이트질편마암(mgn; Migmatitic gneiss), 흑운모호상편마암, 각섬성호상편마암(hbgn; Honblend banded gneiss)으로 분류된다. 북장사 단층을 경계로 하여 본 암류의 분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단층 동부에서는 동쪽(즉, 상주시청 방면)으로 갈수록 화강암화의 정도가 높은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점이되며 그 분포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규칙적인 양상을 보이나 북장사 단층 서부에서는 동부에서 볼 수 없었던 복운모 화강암질 편마암이 넓고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들 편마암류들의 경계는 점이적이며 분명하지 못하다.[9]
    •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bggn; Biotite granitic gneiss)은 가장 고도의 화강암화 작용을 보이는 화강암질 편마암이다. 북장사 단층의 서부에서는 내서면 고곡리에서 낙서리, 화동면 어산리까지 소규모로 분포하고 복운모 화강암질 편마암(tggn)에 둘러싸여 있지만 북장사 단층 동부에서는 외서면 개곡리와 봉강리, 사벌국면 묵상리와 용담리, 연원동 북동부와 남적동, 부원동, 낙동면 일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특히 낙동면 비룡리, 승곡리, 화산리와 신상리에서는 화강암과 거의 유사한 외관을 보여주며 화강암화 작용을 가장 심하게 받은 곳이다.[9][10]
    • 복운모 화강암질 편마암(tggn; Two mica granitic gneiss)은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과 유사하나 다량의 백운모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다르다. 본 암은 북장사 단층의 서부인 내서면 서부에만 분포하고 있으며 그 북부에서는 중생대 알칼리 화강암(Kagr)과 석영 반암(Kqp)에 의해 관입당했다. 그 서부에서는 경상계 영동층군 회동리층(Kgh)과 단층으로 접하고 있다.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을 둘러싸고 있으며 남부에서는 엽리가 북동 주향을 보이나 북부인 내서면 서만리-고곡리 일대에서는 동-서 방향의 주향을 가지며 이와 나란하게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bggn)과 접한다.[9]
    • 담홍색 가리봉장석 화강암질 편마암(fggn; Pink feldspar granitic gneiss)은 공검면 양정리에서 외서면 이천리, 백전리 동부, 연원동 남서부, 남장동 북동부, 낙양동, 개운동 동부, 가장동에 이르기까지 대상 분포한다. 중간에 연원동에서 인평리 단층에 의해 조금 잘리며 외서면 봉강리 등지에서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과 점이적인 관계를 가진다. 다른 화강암질 편마암에 비해서 화강암화된 정도는 약하다.[9][10]
    • 애풀라이트질편마암(agn; Aplitic gneiss)은 남장동 서부와 내서면 능암리 동부에만 소규모 분포한다. 다른 편마암류들과의 접촉부에선 매우 점이적인 양상을 보인다. 유색 광물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애플라이트질이고 우백질인 것이 다른 편마암과 구별되는 점이다.
    • 흑운모 호상 편마암(bbgn; Biotite banded gneiss)은 모서면, 모동면, 공성면의 경계에 위치한 백학산 일대에서 북동 방향으로 오태리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북장리에서는 남북뱡향으로 발달하는 석영반암맥(Kqp)이 본 암을 대각선으로 횡단하고 있다. 본 암은 부분적으로 화강암화된 곳도 있으나 대체로 편암류들이 미그마 타이트화 작용을 받아 생성된 것 중 하나이다.[9][10]

고기 관입암체 편집

고기 관입암류는 상주시 지역에서 기반을 이루고 있던 변성 퇴적암류(준편마암류)를 화강암화(化)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심성암체로 생각된다. 상주도폭(1969)에서 흑운모 화강편마암, 세립흑운모화강암, 메라각록편마암, 메라섬록암으로 분류된다. 이들 관입암체는 편암류를 화강암화시켰으며 중생대 지층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아 중생대 이전의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암석은 소규모로만 분포한다.[9][10]

고생대·시대 미상 편집

  •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Op; Joseon supergroup great-limestone group)은 함창읍 북서부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이안면 아천리, 공검면 지평리, 은척면 하흘리 지역에 대략 북동-남서 방향으로 조금씩 분포한다. 함창읍 북서부에서는 막곡 단층에 의해 대가산 편마암과 접촉하며 은척면-이암면 지역에서는 상부층인 운암사층에 의해 덮여 있다. 본 암은 결정질 및 호상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1][10]
  • 운암사층(w; wunamsa formation, 雲巖寺層)은 이안면에서 은척면까지 발달하는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 분포지역 서쪽의 이안면 양범리, 아천리, 대현리, 공검면 지평리, 은척면 하흘리 등지에 조금씩 분포하는 시대 미상의 지층이다. 형성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무연탄층이 나오고 조선 누층군 상위의 지층인 것으로 보아 최소한 고생대 혹은 그 이후의 지층이다. 본 지층은 1935년 일본인 기사 素本卓二氏에 의해 작성된 문경무연탄 탄전 지질도에 의하면 평안 누층군 사동통으로 기재된 바 있다. 그러나 지층의 세부적인 층서로 보아 사동층에 대비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아 1968년 함창 지질도폭에서는 본 지층을 운암사층이라 명명하여 평안 누층군과는 별개로 기술하였다. 지질도 상에 나타난 본 지층의 주향은 북동이며 경사는 북서로 40~80°정도이다.[11][10]
    • 이안면 아천리 이남 지역에서는 아천리에서부터 남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은척면 하흘리에서는 알칼리 화강암에 의해 절단된다. 지질도 상으로 대현리에서 대현리 단층에 의해 절단되어 수평으로 약 1 km의 변위를 보인다. 석영 편암 혹은 규암, 운모편암, 점판암, 사암 등이 교호(交互)되는데 석영 편암층이 우세한 하부, 운모편암층이 우세하며 2 내지 3매의 흑연질 무연탄층을 협재하는 중부 및 석영 편암층이 우세한 상부로 구분된다.
    • 이안면 아천리 이북에서 안용리 북동부 수정봉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알칼리 화강암 내에 포획암으로 아천리 이남 지역에 분포하는 암석의 연장부로서 구성 암석도 동일하다.

중생대 퇴적층 편집

 
상주 경천대에 드러난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 낙동층의 역암
 
상주 경천대에 드러난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 낙동층의 역암

상주시에 존재하는 중생대의 퇴적층은 상주시 동부의 경상 누층군 낙동층군(신동층군)의 삼덕리층, 낙동층과 서부의 영동층군 그리고 공검면 중소리의 중소리층이 있다.

  • 삼덕리층은 낙동층 만경산층원에 해당하며 암상(岩相)에 의해 백담리층멤버(Kgb), 삼덕리층멤버(Kgsd), 묵하리층멤버(Kgm)로 분류된다.[9]
    • 삼덕리층 백담층원(Kgb;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 group Samdeokri formation lower baekdamri member, 白潭層員)은 경상 누층군 낙동통의 기저 역암층으로 가장 우세한 역의 크기는 50~70 cm 이나 직경 5 m 이상에 달하는 거대한 역도 포함한다. 이들 거력은 대체로 기반암인 반상변정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이다. 사벌국면 덕담리의 백담 마을에서 가장 두꺼운 80~110 m의 두께를 보이나 남동쪽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한다.
    • 삼덕리층 삼덕리층원(Kgsd;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 group Samdeokri formation middle samdeokri member, 三德里層員)은 흑색 셰일과 사암의 호층대이며 사벌국면 삼덕리에서 가장 두꺼우나 북으로 가면서 첨멸한다. 흑색 셰일은 박층으로 사암 내에 무수히 협재되며 사암은 중립 내지 세립질로 담갈색 내지 담황회색을 띤다. 사암은 층준에 따라 작은 역(礫)을 함유하는 경우도 있다. 본 층원의 하한은 하부의 기저 역암층이 끝나고 흑색 셰일이 시작되는 곳이며 상한은 흑색 셰일과 사암의 호층이 끝나는 곳이다.
    • 삼덕리층 묵하리층원(Kgm;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 group Samdeokri formation upper mukhari member, 墨下里層員)은 주로 역암과 사질역암의 호층으로 구성되며 2매의 흑색 셰일과 1매의 자색 셰일층을 협재하기도 한다. 역암 및 역질사암은 담갈색 내지 담회색을 띠며 매우 알코스질이다. 역은 흔히 규암, 편마암류, 흑색 셰일, 사암 등으로 구성되며 직경은 50 cm에 달하는 것도 있으나 보통 7 cm 내외의 것이 많다.
  • 낙동층(Knnk;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Nakdong formation, 洛東層)은 경상 누층군 최하부의 지층으로 본 층은 편마암류 및 화성암류로 된 지반의 침식면상에 부정합으로 퇴적되어 있으며, 주로 역암, 사암, 셰일, 역질 사암으로 구성된다. 하부는 역암이 대체로 우세하고 상부는 사암셰일이 우세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낙동도폭에서는 하부의 역암 우세대(優勢帶)를 만경산층원으로, 상부의 사암셰일이 우세한 층을 금당리층원으로 구분한다. 본 층의 상한은 그 상위층인 하산동층의 하한에 의해 규정되는데, 본 층 상위에서 발달하는 자색(赭色) 셰일 내지 실트스톤이 하산동층 하한으로 설정되었으므로 그 직하부가 낙동층의 상한이다.[12]
    • 만경산층원(Knnk1;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Nakdong formation mangyeongsan member, 萬景山層員)은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소재 만경산을 중심으로 상주시 중동면 대부분 지역과 낙동면 물량리, 의성군 단밀면 중서부 지역에 분포한다.[13] 본 층원(member)의 하부는 사암, 역질사암, 역암셰일로 구성되며 사질(沙質)암과 역질암의 양적(量的)인 비는 대략 5 : 5 정도이다.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의 낙동나루 부근에서는 담황색의 조립질 사암과 역암이 흑운모화강암질편마암(PCEggn) 및 반상변정편마암 위에 부정합적으로 놓인다. 본 층원의 중부는 역암과 역질 사암이 월등하게 우세하고 이 사이에 적갈색의 풍화면을 갖는 조립질 사암이 5~25 m의 두께로 간간이 협재된다. 두께는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에서 주산리(어디인지 알 수 없다) 간의 단면에서 약 1200 m이다.[12]
    • 금당리층원(Knnk2;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Nakdong formation geumdangri member, 金堂里層員)은 상주시 내에서 중동면 금당리에만 분포한다. 낙동도폭에 의하면 주로 사암, 역질사암, 흑색과 회(녹)색 셰일로 구성되며, 드물게 실트스톤이 협재된다. 하부의 만경산층원을 정합적으로 덮고, 상부의 하산동층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인다. 본 층원은 주로 사암셰일의 호층(互層)이며, 사암셰일의 양적 비는 6 : 4이다.[12]
  •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 1398-2 (N 36°24'48.28", E 128°14'39.43")의 강변공원에서는 낙동강 건너편의 절벽 노두를 볼 수 있다. 절벽에는 낙동층에 해당하는 퇴적암 지층의 층리가 잘 발달해 있다.[14]
  • 경상계 영동층군은 서부의 화동면에 분포하는 회동리층과 외서면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상소리층(Kgs)이 있다.[9][10]
    • 회동리층(Kgh; Kyeongsang supergroup hoedongri formation)은 화동면 동부지역에 분포한다. 이 지역에서 북동 20°및 북서 60°주향의 단층에 의해 편마암류와 접하며 석영 반암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 역암, 사암과 셰일의 호층으로 구성되며 대체로 북동 20°의 주향과 북서 15°의 경사를 가진다.[9][10]
  • 중소리층(Kch; kyeongsang supergroup jungsori formation)은 공검면 중소리를 중심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소규모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층이다. 본 암석은 대가산 편마암,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 알칼리 화강암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일반적인 주향과 경사는 북동 60°및 북서 10°이다. 본 지층은 주로 역암, 역질 사암, 알코스질 사암 및 유문암류와 각력암층 등으로 구성되는데 역암층의 발달이 가장 현저하다. 이 역암은 회녹색 내지 자회녹색(赭灰綠色)을 띠며 역(礫)의 종류는 현무암질암, 알칼리 화강암, 점판암 및 사암 등이다. 본 층에서는 화석이 산출되지 않아 정확한 지질 시대는 알 수 없으나 본 암 내에 화산암류로 이루어지는 역(礫)이 함유되는 것으로 보아 신라통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11][10]

중생대 관입 화성암 편집

중생대 백악기화성암외서면 서부에 넓게 분포하는 알카리화강암(Kagr)과 외서면에서 내서면, 외남면까지 대상(帶狀)으로 분포하는 석영반암(Kqp), 화북면에 분포하는 흑운모 화강암(Kbgr, 용유리도폭)으로 구성된다.[9][15][10]

  • 알칼리 화강암(Kagr; Alkali granite)은 외서면의 이안천 서쪽 지역에서 은척면 남부 지역, 화남면 동관리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정장석, 석영, 사장암, 흑운모, 각섬암 등으로 구성된다.[9]
  • 각섬석 화강암(Khgrj)은 은척면 우기리와 문암리, 봉상리 동부, 무릉리, 장암리, 두곡리, 이안면 아천리 북서부 일대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시대 미상의 운암사층을 관입하고 있으며 주로 사장석, 정장석, 각섬석흑운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1][10]

단층 편집

 
상주시 일대의 지진(1978.1.1~2022.12.31)과 지질 및 속리산 지진의 발생 위치 (빨간 원)[16]

상주시에는 지질도 상에서 다수의 단층이 확인된다. 상주시의 단층은 중생대에 형성된 것이다.[9][10]

낙동 단층 편집

낙동 단층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에서 김천시 감문면까지 북북동 방향으로 약 45km 이상 연장되는 주향 이동성 단층이다.[17] 상주시 동부에서 낙동면 낙동리중동면 신암리, 덕지리를 지나며 낙동도폭(1977)에서 단층의 동측이 낙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2]

신령 단층 편집

신령 단층팔공산 북쪽,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에서 군위군을 거쳐 상주시 공성면까지 약 70 km 이상의 연장을 보이는 대규모 서북서 방향 단층이다.[18][17]

안동 단층 편집

안동 단층은 상주시 사벌국면에서 안동시 길안면을 거쳐 청송군으로 연결되는 동북동-동서-서남서 방향, 연장 70km 이상의 단층으로 주로 선캄브리아기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영남 지괴와 경상 분지의 경계 단층[19]임이 지질도에서 확인된다. 선캄브리아기 암석이 백악기 암석에 의해 스러스트(충상)된 고각의 역단층으로 보고되었으며,[20] 서쪽 끝 부분이 상주시 사벌국면 덕담리에 닿는 이 단층은 5만 지질도 낙동도폭에서 공덕리 단층, 상주도폭에서 묵상리 단층으로 명명되어 있다.[9][12]

상주시내 통과 단층 편집

  • 인평리 단층은 상주 지질도폭에 의하면 상주시청 남동쪽의 인평동에서 북서쪽의 연원동 부근까지 발달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상주시내를 북서-남동 주향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5만 지질도 상주도폭에서 정의된 이 단층은 도폭이 제작된 1969년 당시에는 인평동이 인평리(里)
  • 우암 단층은 인평리 단층과 거의 평행하게 인평리 북쪽 우암리 부근에서 북서 40°의 주향을 갖고 발달한다.[9][10]

상주시 서부의 단층 편집

영남 육괴와 옥천 습곡대의 경계 지역에 해당하는 상주시 서부 지역에는 다수의 단층들이 존재한다.

  • 유정 단층내서면 골터(현 서원리)에서 낙서리와 유정(현 노류리), 노루새터(노류새터, 현 노류리)를 거쳐 배골(현 노류리)까지 이어지는 북서 20°주향의 단층이다. 연장 10km 정도의 비교적 큰 규모의 단층이다.[9][10]
  • 밤원 단층은 지질도 상으로 은척면 황령리 또는 외서면 대전리, 예의리에서 내서면 서원리(밤원) 인근까지 이어지는 남-북 주향의 단층으로 백악기 알카리화강암(Kagr) 내에 발달한다.[9][10]
  • 북장사 단층내서면 낙서리에서 북장리의 북장사를 거쳐 외서면으로 이어지는 북동 20°주향의 단층이다. 북장사 인근에서 백악기의 알카리화강암과 석영반암을 절단한 것으로 보아 백악기의 단층으로 보인다. 본 단층을 경계로 양측의 지질은 현저한 차이를 보여준다.[9][10]
  • 용유리 단층화북면 용유리 일대에서 화강암체를 통과하는 북서 10°주향의 단층이다. 화북면에서 선형(lineament, 선구조)을 이루고 있는 이 단층은 소규모 단층들의 집합체로 생각되며, 지질도 상으로 북쪽으로는 괴산군 청천면, 남쪽으로는 화남면 동관리 지역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보인다.[15]
  • 둔덕이 단층은 현재의 내서면 고곡리에 위치한 둔덕이 마을에서 내서면 서만리까지 북서 50°의 주향으로 발달한다. 둔덕이마을 계곡 바닥에서는 약 5 m 내외의 압쇄대(shear zone)이 발견된다. 소머리산(442.2 m) 북측에서는 단층 계곡이 형성되어 있고 석영반암 및 화강반암(Kqp)이 본 단층에 대각선으로 관입해 있다.[9]

상주시 동부의 단층 편집

  • 낙남 단층병성동과 증골(현재의 낙동면 화산리) 사이에 북서 15°의 주향으로 발달하며 파쇄대를 따라 수개소에서 광상이 발견된다.
  • 성동 단층군(群)은 낙동면 성동리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일련의 단층들의 집합이다.[9][10]
  • 운평 단층낙동면 운평리에서 외답동 방향으로 북서 30°의 주향으로 발달하며 단층을 따라 금 광상이 발견된다.

상주시 북부의 단층 편집

  • 상주시 북부 이안면 대현리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대현리 단층은 지질도 상으로 문경시 농암면 사현리에서 은척면 두곡리이안면 대현리를 거쳐 공검면 예주리까지 이어 지는 북서 60°주향의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이다. 단층은 대가산 편마암(bgn)과 조선계 대석회암층군(Op), 각섬석 화강암(Khgrj)을 절단하고 있으며 단층의 종류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양측 지괴의 수평 이동 거리는 1 km 에 달한다. 국지도 제32호선이 지나는 무운고개 부근에 분포하는 화강반암 및 규장암 내에서도 본 단층의 연장부위에 압쇄대(Sheared zone)가 발달하는 것으로 보아 화강반암맥도 이 단층에 의해 잘려 있는 것으로 추측되기도 하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따라서, 대현리 단층은 중생대 백악기 알칼리 화강암이 관입한 후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21] 위성 사진 상으로, 공검면 지평리-예주리-율곡리 지역에는 단층에 의해 지형(산지/평야 경계 지역)이 좌수향으로 변위된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 옥동 단층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예미리에서 영월군 김삿갓면 옥동리를 지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까지 발달하는 연장 100km 이상, 북동-남서 주향의 단층이다. 연성 전단대(ductile shear zone)의 형태를 가지며, 예미-옥동 간은 단층 점토로 채워져 있고, 단양-점촌 사이에는 단층대를 따라 불국사 화강암이 관입해 있다.[22]

지진 편집

선캄브리아기 암석으로 구성된 영남 지괴 내에서 상주시와 속리산 일대는 지진이 특히 활발한 편이다.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에 따르면 1978년부터 2021년 10월까지 발생한 지진은 총 94회이며,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주변 지역에서 발생한 것보다 높은 빈도이다. 상주시에서 1978년 규모 5.0의 속리산 지진이, 2019년 7월 21일 규모 3.9, 2020년 1월 30일과 11월 8일 규모 3.2와 2.9의 지진이 나는 등 최근까지도 지진이 이어지고 있다.[23][24][25]

상주시에서의 지진은 모두 깊이 20km 이내에서 발생했다. 지질도[8] 상으로 상주시 일대에는 상당수의 단층이 분포하며, 상주시 일부 지역에서 지표면의 단층선 인근에서 지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곳이 존재하고 이는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지하 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한다.[26] 그리고, 이기화 등은 1989년 논문을 통해 영남 지괴의 중부 지역―상주시와 김천시에 해당[8]―과 그 남부인 경상 분지와의 경계 지역이 지괴 내에서 지진 활동이 높으며, 한반도에 작용하는 동-서 방향의 응력으로 인해 중생대에 형성된 영남 지괴 내부의 단층이 지진을 일으키면서 파열되며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27] 그러한 설명으로 보아, 영남 지괴에 속하는 상주시의 지진이 활발한 원인은 상주시 일대에 분포하는 단층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강기훈(2021)은 낙동, 상주, 옥산동 지질도폭 지역에서 진앙의 분포와 지질 분석을 바탕으로 지표 단층들과 단열계에 대한 야외 지질조사를 수행하여 진앙의 분포와 이들 단층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낙동 지역에서 노두 규모의 단층들은 (북)북동 이외에 동북동과 (서)북서 방향의 단층들이 발달하고, 북서~서북서 방향의 단층은 진앙분포의 선상구조 방향과 일치한다. 낙동 지역 북북동 방향과 북서 방향의 불연속면은 한반도의 현생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 응력장 하에서 활동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고, 이들 방향은 한국의 지진들의 일반적인 단층 면해의 단층방향과도 일치한다.[28][29]

1978년 속리산 지진 편집

속리산 지진1978년 9월 16일 오전 2시 7분(KST)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서 일어난 규모 ML5.2의 지진이다. 발생 위치는 상주시 북서 32km 지역(36.60 N, 127.90 E) 즉 화북면으로 나타난다.[30]

2019년 상주 지진 편집

2019년 상주 지진2019년 7월 21일 오전 11시 4분 상주시(청) 북서쪽 11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3.9의 지진으로,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31][32]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이였으나 별다른 피해는 없었다.[33] 기상청은 2019년의 상주 지진이 응력이 작용함에 따라 지하의 단층이 움직여 발생한 지진이라고 설명했으며, 이날 지진에 앞서 2년 8개월가량[34]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지 않아 그동안 축적된 에너지가 3.9라는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있다.[35][36] 실제로, 지질도 확인 결과 진앙지(북위 36.50, 동경 128.10 : 외서면 관현리)에서 남동쪽으로 2km 이내에 북장사 단층이 통과하며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에 따르면 2016년 6월 3일 규모 3.0, 12월 4일 규모 2.0의 지진이 발생했고, 그 이후 2019년 7월에 이르기까지 모두 규모 1.5 이하의 미소지진들만이 발생했다.[37]


행정 구역 편집

상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7면 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254.78km2이다. 인구는 2022년 9월 기준 49,378세대, 95,108명이다.

면동 한자 면적 세대 인구 행정지도
함창읍 咸昌邑 43.36 3,465 6,999
 
상주시행정구역
사벌국면 沙伐國面 51.69 1,950 4,016
중동면 中東面 57.37 771 1,506
낙동면 洛東面 91.10 2,187 4,338
청리면 靑里面 39.59 1,405 2,811
공성면 功城面 89.29 2,187 4,229
외남면 外南面 33.22 871 1,821
내서면 內西面 80.66 980 1,946
모동면 牟東面 70.50 1,309 2,720
모서면 牟西面 84.98 1,320 2,581
화동면 化東面 56.10 1,062 2,145
화서면 化西面 59.51 1,412 2,848
화북면 化北面 99.41 839 1,616
 
시내동지구
외서면 外西面 88.08 1,458 2,847
은척면 銀尺面 53.95 852 1,573
공검면 恭儉面 39.50 1,195 2,270
이안면 利安面 52.35 1,148 2,150
화남면 化南面 54.39 490 843
남원동 南院洞 27.83 5,223 12,492
북문동 北門洞 14.44 4,201 9,635
계림동 溪林洞 11.76 3,536 7,803
동문동 東門洞 18.14 3,718 8,513
동성동 東城洞 11.78 1,750 3,979
신흥동 新興洞 25.77 3,719 9,226
상주시 尙州市 1,254.78 47,048 100,947

인구 편집

  • 상주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38]
연도 총인구  
1975년 226,278명    
1980년 191,716명      
1985년 180,575명      
1990년 148,200명     
1995년 124,116명      
2000년 116,493명     
2005년 105,937명     
2010년 98,103명     
2013년 103,346명    
2016년 102,012명     
2017년 100,947명    
2018년 100,297명   

농업 편집

 
상주의 특산물 곶감

특산물 편집

상주 곶감은 삼백의 고장 상주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특산물로 전국 곶감 생산량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상주시의 대표적인 농산물이다.

그 외에도 상주의 일품쌀, 삼백쌀과 더불어 인공수정 및 등록 한우와 같이 보증된 순 한우에서 태어난 송아지만을 엄선하여 키운 상주 한우와 당도가 높은 상주 사과 그리고 일교차가 커서 당도가 높고 특유의 향이 진한 상주 포도도 과즙이 많으며 육질이 연하고 당도가 높아 주요 수출품인 상주 배, 오이, 복숭아도 이 고장의 특산물이다.[39] 그리고 상주의 삼백이란 쌀, 곶감과 명주를 총칭하는 말이다.


  
  
  
  
  • 특수학교
  

도서관 편집

교통 편집

고속도로 편집

국도 편집

철도 편집

정치 · 행정 편집

문화·관광 편집

축제 편집

상주 베리 축제 - 상주는 베리류 주산지로 오디∙복분자∙블루베리를 직접 맛볼 수 있는 축제가 열린다. 축제에서 베리류 수확체험, 깜짝경매 등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다.

역대 시장 편집

역대시장 보기

김기범은 중간에 직무정지 기록으로 제외됩니다.


같이 보기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읍면동단위 자매결연 편집

- 1999. 7. 16 - 축제 및 체육대회 상호방문

- 2005. 1. 31 - 연꽃쌀 등 농산물 판매

- 2006. 12.15 - 의료봉사 및 농특산물 직거래

- 2007. 11. 6 - 농특산품 판매 및 체험활동

- 2008. 5. 7 - 농특산품 판매 및 체험활동

- 2008. 11. 27 - 농특산품 판매 및 체험활동

- 2009. 4. 20 - 도·농간 친선활동

- 2009. 10. 26 - 친선교류활동 및 농특산품 판매

- 2011. 11. 22 - 농특산품 판매 및 체험활동

- 2012. 6. 26 - 경제, 문화분야 등 상호교류

- 2014. 11. 12 - 농특산품 판매 및 체험활동

- 2015. 6. 24 - 마을단위 문화교류사업 추진

- 2015. 11. 27 - 농특산품 판매 및 체험활동

국외 자매결연 편집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4.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5.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 11개시설치와 군관할구역의 조정 및 금성시 명칭변경에 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6. 법률 제4774호 경기도 남양주시 등 33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7. 상주시의 기후 Archived 2015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2017년 7월 11일 확인
  8. “한반도 지체구조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 “尙州 地質圖幅說明書 (상주 지질도폭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9년. 
  10.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 “咸昌 地質圖幅說明書 (함창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8년. 
  12. “洛東 地質圖幅說明書 (낙동 지질도폭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7년. 
  13.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geo5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4. 정대교; 신승원; 공은혜 (강원대학교); 백인성; 김현주; 박정규 (부경대학교); 임현수; 강희철; 조형성; 이성준; 채용운 (부산대학교); 허민; 김종선 (전남대학교); 황상구 (안동대학교) (2017년 11월).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15. “龍遊里 地質圖幅說明書 (용유리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3년. 
  16. "36.60 N 127.90 E 경북 상주시 북서쪽 32km 지역",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17. 천영범 (2018년).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부산대학교. 
  18.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 “안동시 풍천면 안동단층계 주변의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2008년 6월. 
  20.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5. Seismicity of the Ryeongnam Massif”. 대한지질학회. 1989년 12월. Andong Fault is reported to be a high angle reverse fault and markedly recognized stratigraphically because Precambrian basement is thrusted over Cretaceous sedimentary sequences. 
  21. “咸昌 地質圖幅說明書 (함창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8년. 
  22. “옥동단층(玉洞斷層)”.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89년. 
  23. “[속보] 경북 상주 북쪽서 규모 3.2 지진 발생”. 중앙일보. 2020년 1월 30일. 
  24. "덤프트럭 부딪힌 느낌"…경북 상주 동쪽서 규모 2.9 지진”. 서울신문. 2020년 11월 8일. 
  25.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26. “2012~2020년 속리산 일대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원 요소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21년. 본 연구에서는 속리산 지진의 진앙 부근인 위도 36.23∼36.71 °N, 경도 127.70∼128.20 °E 범위를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였다(Fig. 1). 연구 지역은 옥천 변성대에 위치하며, N 10 °W 주향을 가지는 용유리 단층, NS 주향의 밤원 단층, 약 N 40 °E의 주향의 막곡 단층과 N 45 °E 방향의 대각선으로 발달한 영동 단층을 비롯한 크고 작은 단층들이 분포되어 있다...특히 Fig. 15에 나타난 위도 36.34 °N, 경도 127.85 °E 부근의 S1 구역, 위도 36.49 °N, 경도 127.95 °E 부근의 S2 구역, 위도 36.53 °N, 경도 128.01 °E 부근의 S3 구역과 위도 36.44 °N, 경도 127.99 °E 부근의 S4 구역에서는 지표면의 단층선 부근에서 지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구역이 존재한다...그 결과 지진 집중 발생 구역에 수직한 a-a′의 연직단면도에서는 깊이 약 19.5 km 지점에서 약 2 km의 폭을 가지고 지진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지진 집중 발생 구역에 나란한 방향인 b-b′의 연직단면도에서는 깊이 약 19.5 km 지점, 반경 약 4 km의 범위에서 지진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지하 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한다. 
  27.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5. Seismicity of the Ryeongnam Massif”. 대한지질학회. 1989년 12월. 
  28. 강지훈 (안동대학교) (2021년 10월). “낙동-상주-옥산동 지역에서 단층 및 단열계의 특성과 진앙분포 선상구조 사이의 상관관계 고찰 (Consider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faults and fracture system and linear structure of epicenter distribution in the Nagdong-Sangju-Oksangdong area, Korea)”. 《대한지질학회》. 
  29. 강지훈 (안동대학교) (2022년 6월). “영남권 북부영역 단층과 단열계의 특성 : 상주, 영양, 낙동, 천지 지역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faults and fracture system in the northern region of Yeongnam province, Korea: Centering on the Sangju, Yeongyang, Nagdong, Cheonji areas”. 《한국암석학회》. 
  30.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상주" 검색 결과
  31. “2019년 7월 21일(일) 11시 04분 규모 3.9 지진 현황” (PDF). 대한민국 기상청. 2019년 7월 21일. 
  32. “경북 상주에서 규모 3.9 지진…올해 내륙 지진 가운데 가장 강해”. KBS. 2019년 7월 21일. 
  33. "폭발 소리가 들렸어요"…경북 상주 3.9 지진에 놀란 시민들”. 연합뉴스. 2019년 7월 21일. 
  34. 2016년 12월 14일 규모 2.0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 202
  35. “3.9 지진은 왜 한반도 내륙 상주에서 발생했을까?”. 노컷뉴스. 2019년 7월 21일. 
  36. “상주, 올해 내륙서 가장 센 지진… "숨은 활성단층 가능성" 불안감”. 한국일보. 2019년 7월 22일. 
  37.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상주" 검색 결과
  38.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39. 상주 특산물 Archived 2011년 4월 12일 - 웨이백 머신, 2016년 6월 18일 확인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