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베니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 대표팀이며 슬로베니아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된다. 1991년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된 후 이듬해인 1992년 6월 3일 에스토니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공식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슬로베니아
연맹슬로베니아 축구 협회
대륙유럽 축구 연맹
감독마티아치 케크
주장얀 오블라크
최다 출전자보슈찬 체사르 (101)
최다 득점자즐라트코 자호비치 (35)
홈 구장스타디온 스토지체
FIFA 코드SVN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15위 (2010년 10월~11월)
최저 순위134위 (1993년 12월)
첫 국제 경기 출전
비공식
유고슬라비아 왕국 슬로베니아 0 - 5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1921년 6월 23일)
공식
Flag of Estonia.svg 에스토니아 1 - 1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탈린; 1992년 6월 3일)
최다 점수차 승리
Flag of Oman.svg 오만 0 - 7 슬로베니아 Flag of Slovenia.svg
(오만 무스카트; 1999년 2월 8일)
최다 점수차 패배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5 - 0 슬로베니아 Flag of Slovenia.svg
(프랑스 생드니; 2002년 10월 12일, UEFA 유로 2004 예선)
월드컵
출전 횟수2회 (200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조별리그 (2002년, 2010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1회 (2000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조별리그 (2000년)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루마니아를 꺾고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 지역 예선 12경기에서 단 한번도 패하지 않았지만 정작 대회 본선에서는 조별리그 최종전까지도 승점을 획득하지는 못하고 3전 전패·조 최하위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그리고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도 출전하여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를 홈에서 1-0으로 꺾기도 했지만 본선 진출과는 거리가 상당히 멀었다. 2009년 11월 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거스 히딩크 감독이 이끌던 러시아를 꺾고 8년만에 통산 2번째 본선 티켓을 획득했다.[1] 그리고 이후 본선에서 알제리를 1-0으로 꺾고 월드컵 역사상 첫 승을 신고했으나 미국과의 2차전에서 2-2로 비겼고 잉글랜드와의 최종전에서는 0-1로 패하며 1승 1무 1패로 C조 3위에 그치면서 또 다시 16강에 오르지 못했다. 그래도 최종 순위에서 18위로 지난 2002년 대회 때보다 무려 12계단 오르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16팀 가운데 2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후 두번의 대회(2014년, 2018년)에서는 모두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2000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우크라이나를 꺾고 본선에 깜짝 출전했으나 본선 첫 경기인 세르비아전에서 3-3으로 비겼고 스페인에게 1-2로 패했으며 노르웨이와의 최종전에서는 득점없이 비기면서 2무 1패·C조 최하위로 8강 진출이 좌절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단 한번도 유로 대회 본선에 오른 적이 없다.

UEFA 네이션스리그편집

2018-19 시즌편집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C 3조 6경기에서 3무 3패·조 최하위라는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차기 시즌의 진행 방식 변경으로 인해 리그 D로의 강등은 이뤄지지 않았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지중해 경기 대회에는 2번 출전했지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2002년 구정컵에서는 4팀 가운데 3위에 그쳤고 키프로스 4개국 친선 국제 축구 대회에서는 2번의 대회(1998년, 2006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오만 4개국 친선 국제 축구 대회에서도 2번의 대회(1999년, 2000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몰타 4개국 친선 국제 축구 대회에서 우승(1994년)과 준우승(1996년)을 한번씩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없음[2]
  1998년 예선 탈락
   2002년 조별리그 30위 3 0 0 3 2 7 0
  2006년 예선 탈락
  2010년 조별리그 18위 3 1 1 1 3 3 4
  2014년 예선 탈락
  2018년
  2022년
합계 2회 진출(2/7[3]) 조별리그(2회) 6 1 1 4 5 10 4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57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없음[4]
  1998년 8 0 1 7 5 20 1
   2002년 12 6 6 0 20 11 24
  2006년 10 3 3 4 10 13 12
  2010년 12 7 2 3 20 6 23
  2014년 10 5 0 5 14 11 15
  2018년 10 4 3 3 12 7 15
  2022년 10 4 2 4 13 12 14
합계 72 29 17 26 94 80 104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86위 (유럽 34위)

2002년 FIFA 월드컵편집

2002년 B조 최종결과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골득실
  스페인 9 3 3 0 0 9 4 +5
  파라과이 4 3 1 1 1 6 6 0
  남아프리카 공화국 4 3 1 1 1 5 5 0
  슬로베니아 0 3 0 0 3 2 7 -5

슬로베니아는 1992년 독립 이후 2002년 FIFA 월드컵에 처음 출전하여 B조의 남아공, 파라과이, 스페인과 한 조가 되었으나 스페인에게 1:3, 남아공에게 0:1, 파라과이에게 1:3으로 모두 져서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모호한 표현] 단지 골을 기록한 건 스페인파라과이와의 경기에서 각각 한 골씩만 기록할 뿐이었다. 특히, 슬로베니아스페인파라과이와의 경기에서 페널티킥을 내주었다. 또한, 슬로베니아는 3패를 기록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다음으로 최하위를 기록하고 말았다.

2010년 FIFA 월드컵편집

2010년 C조 최종결과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골득실
  미국 5 3 1 2 0 4 3 +1
  잉글랜드 5 3 1 2 0 2 1 +1
  슬로베니아 4 3 1 1 1 3 3 0
  알제리 1 3 0 1 2 0 2 -2

슬로베니아는 미국, 잉글랜드, 알제리와 C조에 들어갔다. 1차전 미국과의 경기에서는 슬로베니아가 2골을 먼저 넣어 앞서갔으나 뒤이어 미국에게 2골을 도로 얻어맞아 2-2 무승부로 끝났다. 그러나 알제리와의 경기에서는 1승을 거두었지만 최종전에서 잉글랜드에게 1점차 패배로 승점 4점을 기록하여 자력진출이 어려웠다. 하지만 희망은 있었다. 실제로 같은 시간 미국과 알제리가 0-0으로 비기고 있어 이대로 끝나면 2무를 기록했던 미국이 1무를 더 추가하여 3무가 되어 슬로베니아가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같은 해 월드컵에서 슬로베니아와 같은 처지에 놓여있는 국가가 또 있었다. 바로 칠레였다. 2010년 FIFA 월드컵에 진출했던 칠레는 2승을 기록하고도 최종전에서 스페인에게 져서 2승 1패가 되었다. 이유는 스페인-칠레는 승점 6점을 기록했지만 칠레가 골득실에서 밀렸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시간 스위스온두라스를 꺾을 경우 스위스도 승점 6점이 된다. 하지만 그럴 경우 칠레스페인스위스와 승점은 같아지지만 골득실에서 가장 낮아 조 3위로 탈락하는 상황이었으나 스위스온두라스와 비기는 바람에 칠레가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그런데 16강에 진출한 칠레가 세계 축구 강호 브라질을 만나는 바람에 불행한 탈락을 한 바 있다.

즉, 슬로베니아의 경우도 칠레처럼 최종전에서 똑같이 패배해 자력진출이 어려웠다. 하지만 같은 시간 미국-알제리 경기가 스위스-온두라스처럼 최종전에서 비기면 미국이 3무승부가 되어 승점에서 앞서게 된 슬로베니아칠레처럼 똑같이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할 수는 있다. 그런데 놀랍게도 슬로베니아가 조 2위로 16강 진출에 만나는 상대도 칠레브라질 만나듯이 조 2위로 16강에서 진출한 슬로베니아가 전차군단 독일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독일브라질처럼 강력한 우승후보로 슬로베니아가 16강에서 만날 경우 칠레처럼 대패당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제로 미국이 최종전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1분에 랜던 도너번의 결승골로 1승을 거두는 바람에 미국이 조 1위로 올랐고, 슬로베니아는 조 3위로 밀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예선 탈락
   2000년 조별리그 13위 3 0 2 1 4 5 2
  2004년 예선 탈락
   2008년
   2012년
  2016년
  2020년
합계 1회 진출(1/7[5]) 조별리그(1회) 3 0 2 1 4 5 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31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10 3 2 5 13 13 11
   2000년 12 6 3 3 15 16 21
  2004년 10 4 3 3 16 14 15
   2008년 12 3 2 7 9 16 11
   2012년 10 4 2 4 11 7 14
  2016년 12 5 2 5 19 14 17
  2020년 10 4 2 4 16 11 14
합계 76 29 16 31 99 91 103
순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30위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1955년
  1959년
  1963년
  1967년
  1971년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1993년 조별리그 7위 2 0 1 1 1 2 1
  1997년 조별리그 9위 3 0 2 1 4 5 2
  2001년 진출 실패
  2005년
  2009년
  2013년
  2018년
합계 2회 진출(2/6[6]) 조별리그(2회) 5 0 3 2 5 7 3

현 대표 선수편집

각주편집

  1. “Slovenia 1–0 Russia: Major shock for Hiddink”. 《ESPN》. 2009년 11월 18일. 2012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2. 슬로베니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3. 월드컵 본선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4. 슬로베니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5.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6. 본선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