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수략

조선 숙종 때 최석정이 지은 수학책

구수략(九數略)은 조선 숙종 때의 영의정이자 학자였던 최석정(崔錫鼎)이 지은 수학책으로, 4권 2책의 목판본이다.[1]

구수략 중 직교라틴방진과 지수귀문도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한국의 옛 수학 책들 중에서 체계적으로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1710년~1715년경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며 본편(갑, 을)과 부록(정)으로 구성된다.[1]

수학적 업적 편집

직교 라틴 방진 편집

부록에 소개된 9차 직교 라틴 방진레온하르트 오일러의 발표보다 60여 년 앞서는 것으로 해외 학계에서도 인정받아 2007년 출판된 Handbook of Combinatorial Designs에 소개되었다.[2] 최석정(1646~1715)은 1710년~1715년 경 출판된 것으로 여겨지는 수학서 《구수략》[3]에서 서로 직교인 9×9 라틴 방진 쌍 및 (서로 직교가 아닌) 두 개의 10×10 라틴 방진을 수록하였다.[4] 최석정은 두 10×10 라틴 방진을 각각 백자자수음양착종도(白子子數陰陽錯綜圖) · 백자모수음양착종도(白子母數陰陽錯綜圖)라고 명명하였으며, 9×9 직교 라틴 방진을 구구모수변궁양도(九九母數變宮陽圖)라고 명명하였다.

다음은 최석정의 9차 직교 라틴 방진 '구구모수변궁양도'이다.[5]

5, 1 6, 3 4, 2 8. 7 9, 9 7, 8 2, 4 3, 6 1, 5
4, 3 5, 2 6, 1 7, 9 8, 8 9, 7 1, 6 2, 5 3, 4
6, 2 4, 1 5, 3 9, 8 7, 7 8, 9 3, 5 1, 4 2, 6
2, 7 3, 9 1, 8 5, 4 6, 6 4, 5 8, 1 9, 3 7, 2
1, 9 2, 8 3, 7 4, 6 5, 5 6, 4 7, 3 8, 2 9, 1
3, 8 1, 7 2, 9 6, 5 4, 4 5. 6 9. 2 7, 1 8, 3
8, 4 9, 6 7, 5 2, 1 3, 3 1, 2 5, 7 6, 9 4. 8
7, 6 8. 5 9. 4 1, 3 2, 2 3, 1 4, 9 5, 8 6, 7
9, 5 7, 4 8, 6 3, 2 1, 1 2, 3 6, 8 4, 7 5, 9

모든 칸의 첫 번째와 두 번째에 각각 제시된 수는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1부터 9까지이니 그 합이 각각 45이다. 합하면 90이고 가로(세로)줄이 9개 있으니 총합은 810이다.

두 수를 분리해서 따로 방진을 만들면 모두 라틴방진이다. 두 방진은 서로 직교한다.

 
라틴방진

i행, j열에 있는 수를 각각  라고 하자. 아래는  로 계산한 것이다. 열과 행을 더한 값이 모두 369인 마방진이 만들어진다.

 


기타 편집

또한 구수략에는 마방진, 마법진, 지수귀문도 등의 구성도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6]

 
구수략의 지수귀문도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구수략”.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반도체 칩에 활용되는 '마방진' 원리…최초로 개발한 건 조선 수학자?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3. 崔錫鼎 (1715?). 《九數略》 (중국어). 
  4. 김성숙; 강미경 (2010년 8월).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 (PDF). 《한국수학사학회지》 23 (3): 21–31. 2019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8일에 확인함. 
  5. “최석정의 9차 직교라틴방진”. 《네이버 지식백과, 박경미의 수학콘서트 플러스》. 
  6. 《파워풀한 수학자들》. 특별한 서재. 276~277쪽. ISBN 979-11-88912-66-7. 

참고 자료 편집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2008년 8월호
  • 구수략[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