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무조정실
국무총리의 보좌, 중앙행정기관의 지휘·감독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정부 기관
(국무조정실에서 넘어옴)
국무조정실(國務調整室)은 각 중앙행정기관의 행정의 지휘·감독, 정책 조정 및 사회위험·갈등의 관리, 정부업무평가 및 규제개혁에 관하여 국무총리를 보좌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2013년 3월 23일 국무총리비서실을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정부세종청사 1동에 위치하고 있다. 실장은 장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차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국무조정실 청사 | |
약칭 | 국조실, OPC |
---|---|
설립일 | 2013년 3월 23일 |
설립 근거 | 「정부조직법」 §20① |
전신 | 국무총리비서실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
직원 수 | 311명[1] |
예산 | 세입: 2300만 원[2][3] 세출: 6558억 7600만 원[4][5][6] |
실장 | 방문규 |
차장 | 박구연(국무1차장), 이정원(국무2차장) |
상급기관 | 국무총리 |
산하기관 | #조직 |
웹사이트 | [7]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공식 웹사이트 |
소관 사무편집
- 국무총리를 보좌
- 각 중앙행정기관의 지휘·감독에 관한 사무
- 정책의 조정에 관한 사무
- 사회위험·갈등의 관리에 관한 사무
- 정부업무평가에 관한 사무
- 규제개혁에 관한 사무
- 국무총리가 특별히 지시하는 사항에 관한 사무
연혁편집
조직편집
실·국장급 5개 직위 범위와 과장급 5개 직위 범위에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하는 개방형 직위를 지정할 수 있다.
실 | 담당관실·정책관실 |
---|---|
국무1차장 산하 하부조직 | |
국정운영실 | 기획총괄정책관실ㆍ일반행정정책관실ㆍ외교안보정책관실 |
정부업무평가실 | 국정과제관리관실ㆍ평가관리관실ㆍ성과관리정책관실 |
사회조정실 | 사회복지정책관실ㆍ교육문화여성정책관실ㆍ안전환경정책관실ㆍ고용식품의약정책관실ㆍ미세먼지개선기획단[13][14] |
청년정책조정실 | 청년정책기획관실ㆍ청년정책협력관실 |
공직복무관리관실 | |
총무기획관실 | |
법무감사담당관실 | |
국무2차장 산하 하부조직 | |
경제조정실 | 재정금융정책관실ㆍ산업과학중기정책관실ㆍ농림국토해양정책관실 |
규제조정실 | 규제총괄정책관실ㆍ규제혁신기획관실ㆍ규제심사관리관실 |
소속기관편집
정원편집
국무조정실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1]
총계 | 311명 | |
---|---|---|
정무직 계 | 3명 | |
실장 | 1명 | |
차장 | 2명 | |
일반직 계 | 307명 | |
고위공무원단 | 27명[15] | |
3급 이하 5급 이상 | 222명[16] | |
6급 이하 | 57명[15] | |
전문경력관 | 1명 | |
외무공무원 계 | 1명 | |
8등급 이하 | 1명[15] |
재정편집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2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3][5][6]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국무조정실과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1·별표 3·별표 4
- ↑ 2022년 총수입 기준
- ↑ 가 나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 ↑ 2022년 총지출 기준
- ↑ 가 나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 ↑ 가 나 국무총리비서실과 합산한 예산.
- ↑ 국무총리비서실 홈페이지와 동일.
- ↑ 법률 제2437호
- ↑ 법률 제5529호
- ↑ 법률 제8852호
- ↑ 이선형 (2012년 9월 15일). “국무총리실 세종시 이전, 정부세종청사 시대 '개막'”. 《뉴스1》 (세종). 2017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법률 제11690호
- ↑ 2024년 2월 14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사회조정실장이 겸임한다.
- ↑ 가 나 다 한시정원 1명 포함.
- ↑ 한시정원 16명 포함.
외부 링크편집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공식 웹사이트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공식 블로그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