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활자장

金屬活字匠

금속활자장(金屬活字匠)은 금속으로 활자를 만들어서 각종 서적을 인쇄하는 장인을 말한다. 1996년 2월 1일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되었다.[1]

금속활자장
(金屬活字匠)
(Geumsok Hwaljajang
(Metal Movable Type Maki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가무형문화재
종목국가무형문화재 제102호
(1996년 2월 1일 지정)
주소충청북도 괴산군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금속활자장은 금속으로 활자를 만들어서 각종 서적을 인쇄하는 장인을 말한다. 금속활자 인쇄기술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고려시대에 창안되었으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고종 19년(1232) 강화도에 천도한 고려 조정이 개경의 서적점(書籍店)에서 찍은 금속활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다시 새겨낸 것이 전하며, 국가전례서인 『상정예문(詳定禮文)』을 금속활자로 찍은 것으로 보아, 이 시기 이전에 금속활자 인쇄가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관서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개량·발전시켰다.

우리나라의 금속활자는 주조기법으로 제작된다. 금속활자의 제작과정은 글자본만들기, 원형만들기, 주조작업, 마무리작업 등 크게 4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조기법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활자 하나하나를 밀랍으로 만드는 밀랍주조기법으로 초기에 주로 쓰인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활자의 원형으로 주물틀을 만든 후 찍는 모래주조기법으로 조선시대 초조갑인자 이후 보편화된 방법이다.

금속활자는 글씨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과학과 기술을 총망라하여 만들어낸 종합예술품으로서,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전통공예기술이다.

보유자

편집
구분 성명
(생년월일)
성별 기예능 주소 인정·해제일자 비고
보유자 오국진
(吳國鎭)
(1944. 7.19.)
금속활자장 충북 청주시 수동 165-4 1996. 2. 1 인정[1]
2007.09.17 해제[2]
명예보유자 금속활자 제작 2007.09.17 인정[2]
2008.03.24 해제[3]
전수교육조교 임인호
(林仁鎬)
금속활자장 2004.03.20 인정
2009.12.03 해제
보유자 2009.12.03 인정[4]

갤러리

편집

각주

편집
  1. 문화체육부고시제1996-5호, 《중요무형문화재지정및보유자인정》, 문화체육부장관, 관보 제13229호, 20면, 1996-02-02
  2. 문화재청고시제2007-69호(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제16590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07. 9. 17. / 75 페이지 / 292.1KB
  3. 문화재청고시제2008-20호(중요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 인정 해제), 제16719호 / 관보(그3) / 발행일 : 2008. 3. 28. / 334 페이지 / 124.1KB
  4. 문화재청장 (2009년 12월 3일). “문화재청고시제2009-104호(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전자관보》. 2020년 8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