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국가무형문화재(國家無形文化財)는 보존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는 문화적 소산 가운데 국가에서 문화재로서 지정한 것을 말한다.

지정 목록 편집

제1호 ~ 제100호 편집

제101호 ~ 제200호 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01호   금속활자장
(金屬活字匠)
(Geumsok Hwaljajang (Metal Movable Type Making))
충북 충북전역 1996년 2월 1일 지정 [1]
102호   배첩장
(褙貼匠)
(Baecheopjang (Mounting))
충북 충북전역 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 7호 1996년 3월 11일 지정 [2]
103호   완초장(영어판)
(莞草匠)
(Wanchojang (Sedge Weaving))
인천 인천전역 1996년 5월 1일 지정 [3]
104호   서울새남굿
(Seoul Saenamgut (Shamanic Performance of Seoul))
서울 서울전역 서울새남굿보존회 1996년 5월 1일 지정 [4]
105호   사기장
(沙器匠)
(Sagijang (Ceramic Making))
경북 경북전역 1996년 7월 1일 지정 [5]
106호 각자장
(刻字匠)
(Gakjajang (Calligraphic Engraving))
서울 서울전역 1996년 11월 1일 지정 [6]
107호 누비장
(縷緋匠)
(Nubijang (Quilting))
경북 경북전역 1996년 12월 10일 지정 [7]
108호 목조각장
(木彫刻匠)
(Mokjogakjang (Wood Sculpture))
기타 . 1996년 12월 31일 지정 [8]
109호 화각장
(華角匠)
(Hwagakjang (Ox Horn Inlaying))
인천 인천전역 1996년 12월 31일 지정 [9]
110호 윤도장
(輪圖匠)
(Yundojang (Geomantic Compass Making))
전북 전북전역 1996년 12월 31일 지정 [10]
111호 사직대제
(社稷大祭)
(Sajik Daeje (National Rite to Gods of Earth and Grain))
서울 서울전역 사직대제 보존회 2000년 10월 19일 지정 [11]
112호 주철장 (鑄鐵匠)(Jucheoljang (Casting)) 충북 충북전역 [12]성종사 2001년 3월 12일 지정 [13]
113호 칠장
(漆匠)
(Chiljang (Lacquerware Making))
서울 서울전역 2001년 3월 12일 지정 [14]
114호 염장
(簾匠)
(Yeomjang (Bamboo Blind Making))
경남 경남전역 2001년 6월 27일 지정 [15]
115호 염색장
(染色匠)
(Yeomsaekjang (Natural Dyeing))
전남 전남전역 2001년 9월 6일 지정 [16]
116호 화혜장
(靴鞋匠)
(Hwahyejang (Shoe Making))
서울 서울전역 마천동 190-37 2004년 2월 20일 지정 [17]
117호 한지장
(韓紙匠)
(Hanjijang (Korean Paper Making))
기타 . 2005년 9월 23일 지정 [18]
118호 불화장
(佛畵匠)
(Bulhwajang (Buddhist Painting))
경기 경기전역 2006년 1월 10일 지정 [19]
119호 금박장
(金箔匠)
(Geumbakjang (Gold Leaf Imprinting))
경기 경기전역 2006년 11월 16일 지정 [20]
120호 석장
(石匠)
(Seokjang (Stone Masonry))
경기 경기전역 2007년 9월 17일 지정 [21]
121호 번와장
(翻瓦匠)
(Beonwajang (Tile Roofing))
서울 서울전역 2008년 10월 21일 지정 [22]
122호   연등회
(燃燈會)
(Yeondeunghoe (Buddhist Lantern Festival))
서울 종로구 연등회보존위원회 2012년 4월 6일 지정 [23]
123호 법성포단오제
(法聖浦端午祭)
(Beopseongpo Danoje (Dano Festival of Beopseongpo))
전남 전남전역 (사)법성포단오보존회 2012년 7월 23일 지정 [24]
124호 궁중채화
(宮中綵花)
(Gungjung Chaehwa (Royal Silk Flower Making))
경남 양산시 2013년 1월 14일 지정 [25]
125호 삼화사 수륙재
(三和寺水陸齋)
(Samhwa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Samhwasa Temple))
강원 강원전역 . 삼화사 국행수륙대재 보존회 2013년 12월 31일 지정 [26]
126호 진관사 수륙재
(津寬寺水陸齋)
(Jingwan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Jingwansa Temple))
서울 . 진관수 국행수륙재 보존회 2013년 12월 31일 지정 [27]
127호 아랫녘 수륙재
(아랫녘 水陸齋)
(Araennyeok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Gyeongsang-do))
경남 전역 아랫녘 수륙재보존회 2014년 3월 18일 지정 [28]
128호 선자장
(扇子匠)
전북전주시 김동식 2015년 7월 8일지정 [29]
129호 아리랑 2015년 9월 22일지정 [30]
130호 제다
(製茶)
2016년 7월 14일지정 [31]
131호   씨름 2017년 1월 4일지정 [32]
132호   해녀 기타 2017년 5월 1일지정 [33]
133호 김치 담그기 기타 2017년 11월 15일지정 [34]
134호 제염 기타 2018년 4월 30일 지정 [35]
135호 온돌문화 기타 2018년 4월 30일 지정 [36]
136호 낙화장
(烙畵匠)
충북 보은군 보은읍 김영조 2018년 12월 27일 지정 [37],
[38]
137호 장 담그기
(醬 담그기)
2018년 12월 27일 지정 [39],
[40]
138-1호 전통어로방식-어살 2019년 4월 3일 [41],
[42]
139호 불복장작법
(佛腹藏作法)
서울 대한불교 전통불복장 및 점안의식보존회 2019년 4월 30일 [43],
[44]
140호 삼베짜기 2019년 12월 31일 [45]
141호 사경장 (寫經匠) 2020년 7월 20일 [46]
142호 활쏘기 2020년 7월 30일 [47]
143호 인삼 재배와 약용문화 2020년 12월 1일 [48]
144호 막걸리 빚기 2021년 6월 15일 [49]
145호 떡 만들기 2021년 11월 1일 [50]
- 갯벌어로 2021년 12월 20일 [51]
- 제주큰굿 제주특별자치도 (사)제주큰굿보존회 2021년 12월 22일 [5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