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정 (조선)
김영정(金永貞, 1437년 ~ 1509년 10월 14일[1])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일지(一之)[1],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진손(金震孫)의 3남이자 김세준(金世準)의 아버지이다.
생애편집
1475년(성종 6) 친시문과(親試文科)에 병과로 급제, 1478년 목천현감이 되었다. 1481년 사헌부지평·성균관직강을 역임하고, 1484년 예조정랑이 된 다음 행 헌부집의·봉상시정을 거쳐 1497년(연산군 3) 대사간에 올랐다. 1498년 이래 3년 동안 세번 명나라에 새해를 축하하는 정조사(正朝使)로 파견되어 북경에 다녀왔다.
1500년(연산군 6) 도총관(都總管), 1502년(연산군 8) 1월 대사헌(大司憲), 12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거쳤으며, 1503년(연산군 9)·1504년(연산군 10) 두 차례에 걸쳐 전라도도관찰사(全羅道都觀察使)로 나갔다.
이듬해 다시 정조사로서 명에 다녀왔으며[2], 이후 파직되어 집에서 지내다가 중종(中宗)조에 지돈녕부사로 복직되었다.
1509년(중종 4) 향년 73세로 졸했으며,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된 3남 김세준(金世準)의 덕으로 병조판서(兵曹判書), 분성군(盆城君)으로 추증되고 안경(安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
가족 관계편집
- 증조 - 김근(金覲)[3] : 판도총랑(版圖摠郎), 증(贈) 호조참의(戶曹參議), 김보(金普)의 손자
각주편집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안경공파 김한수 풍양조씨 조남미 혼인으로 조남풍 27대 국군보안사령관, 조남기 중국 부주석은 김대중 대통령, 김종필 총리와는 인적관계 형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