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철 (시인)

대한민국의 시인 (1947–2014)

김종철(金鐘鐵, 1947년 2월 18일 ~ 2014년 7월 5일[1])은 대한민국시인이다. 시인 김종해의 동생이다.[1] 종교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이다. 오랫동안 ‘못’을 주제로 한 시를 발표하며 ‘못의 시인’, ‘못의 사제’로 불렸다.[2] 197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하면서 등단했다.

김종철
金鐘鐵
본명김종철
로마자 표기Kim Jong-cheol
출생1947년 2월 18일
사망2014년 7월 5일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
직업시인
종교천주교

약력

편집

제13회 정지용 문학상, 제3회 편운문학상, 제6회 윤동주문학상, 제4회 남영문학상, 제12회 가톨릭문학상, 제12회 영랑시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제39대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지냈다.

2011년 ‘누구에게나 필요한 시 전문지’를 표방하며 시 계간지 ‘시인수첩’을 창간, 발행인으로 활동했다. 출판사 ‘문학수첩’ 발행인·주간으로도 일했다.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경희대 겸임 교수를 역임하고, 한국가톨릭문인회 회장, 한국작가회의 자문위원도 맡았다.[1]

작품 세계

편집

김종철은 도시문명 속을 살아가는 소시민들의 삶에 눈길을 주었다. 평범한 그 사람들의 삶을 시 언어로 다듬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겼다. 또 종교적 소재를 사회적인 상상력과 결부시킴으로써 신선한 깨우침을 주기도 했다.[1] 정호승은 김종철 시의 못을 관통하는 시 정신은 결국 사랑이라고 말했다.[2]

시집

편집
  • 《서울의 유서》 (1975)
  • 《오이도》 (1984)
  • 《오늘이 그날이다》 (1990)
  • 《못에 관한 명상》 (1992)
  • 《등신불 시편》 (2001)
  • 《못의 귀향》 (2009)
  • 《못의 사회학》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김여란 (2014년 7월 6일). “‘못의 사제’ 김종철 시인, 하늘나라 순례에 오르다”. 《경향신문》. 2016년 1월 3일에 확인함. 
  2. 박수정 (2014년 11월 16일). “죽음으로 부활의 시 완성한 ‘못의 시인’ 김종철”. 《평화신문》. 2016년 1월 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