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이
강철이(強鐵)는 17세기 이후 한국에서 현대까지 전승된 요괴다. 전국적으로 전승이 유행한 요괴로, 지역별로 강철, 깡철, 꽝철[1] 등의 표기가 있다.
강철이 언급되는 가장 이른 기록 중 하나는 《지봉유설》(1614년)이다. 당대에 “강철이 가는 곳은 가을도 봄 같다”는 속담이 있었는데, 저자 이수광이 그 유래가 궁금하여 시골 노인에게 물었더니 근방 몇 리의 식물을 모두 태워죽이는 강철이라는 괴물을 알려주었다. 이수광은 이것을 《산해경》에 나오는 괴물 비(蜚)라고 생각했다.[2] 이익의 《성호사설》(1740년)에서는 가뭄이 아니라 호우로 농사를 망치는 요괴라고 하는데, 이익은 이를 중국에서 전하는 독룡과 같다고 보았다.[3] 김이만의 《학고집》(1742년)에서는 강철이 독룡과 비슷한데 온몸에 털이 있고 황색 기운을 띠며 호우로 농사를 망친다고 적었다. 김이만은 강철이 중국의 효(蟂)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4] 신돈복의 《학산한언》에서는 계룡산과 철원에서 강철이 목격되었고, 철원에서는 우박을 뿌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신돈복은 강철이 가뭄을 일으키는 중국 요괴 한발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5] 이덕무의 《앙엽기》에서는 망아지처럼 생긴 요괴로, 김포의 늪 속에 살면서 가뭄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덕무는 강철을 중국 요괴 후(犼)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6] 박지원의 《열하일기》(1780년)에는 청나라 사람과 필담을 할 때, 중국의 화룡, 응룡, 한발에 관한 이야기를 청나라 사람이 하자 박지원이 조선에서는 그런 것들을 강철(罡鐵)이라고 부른다고 대답했다.[7] 가뭄으로 농사를 망친다는 이야기와 호우로 농사를 망친다는 상반된 이야기가 비슷한 시기에 모두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농사를 망치는 자연재해 전반을 강철의 소행으로 돌린 것 같으며, 유학자들이 그 정체로 추측한 중국 요괴들과 무관하게 조선 후기의 혼란한 사회 가운데 농민들 사이에 자연발생한 전설로 보인다.[8]:35
1957년 8월 11일자 《동아일보》에 강철 목격담이 있는 것으로 보아[9]:36 이 전설은 비교적 최근까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주
편집- ↑ “우리 삶에 현존하는 영생의 신화”. 오마이뉴스. 2004년 1월 5일.
- ↑ 이수광, 《지봉유설》 권16, 〈어언부〉, 속언(俗諺)
- ↑ 이익, 《성호사설》 권5, 〈만물문〉2, 독룡
- ↑ 김이만, 《학고집》 권10, 〈잡저〉, 기이(紀異)
- ↑ 신돈복, 《학산한언》(장서각본, 《야승(野乘)》 21책) 88화
- ↑ 이덕무, 《청장관전서》 권57, 〈앙엽기〉4, 후(犼)
- ↑ 박지원, 《열하일기》, 〈성경잡지〉 중 상루필담(商樓筆談)
- ↑ 곽재식 (2018년 12월 31일). 《한국괴물백과》. 워크룸프레스. ISBN 9791189356118.
- ↑ “해괴한 풍설・실신소동등”. 동아일보. 1957년 8월 11일.
용 못된 깡철이란 괴동물이 나타나 그 주변의 홍수를 자유자재 증감시켰다는 풍설이 떠도는가 하면 …… 양산군 금산부락 앞 물들판에는 홍수가 휘몰아치던 지난 3일 깡철이란 동물 두 마리가 나타나 가산과 가족을 잃은 이재민들은 이 깡철 구경에 한창법석댔는데 깡철의 움직임에 따라 그 지대 수면 약 5메터 가량이 높았다 얕았다 동요하더란 이야기
이 글은 한국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