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미브물갈퀴도마뱀붙이
나미브물갈퀴도마뱀붙이(Pachydactylus rangei )는 나미브 샌드 게코(Namib sand gecko)나 나미브 웹풋 게코(Namib web-footed gecko)라고도 불리며, 도마뱀붙이과의 일종이다. 앙골라,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며, 스웨덴의 동물학자 라르스 가브리엘 안데르손(:en:Lars Gabriel Andersson)이[2] 독일의 지질학자 파울 랑거(:en:Paul Theodor Range) 박사를 기려 명명하여[3][4] 최초로 기술하였다.
나미브물갈퀴도마뱀붙이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도마뱀붙이과 |
속: | 도톰가락도마뱀붙이속 |
종: | 나미브물갈퀴도마뱀붙이 |
학명 | |
Pachydactylus rangei | |
안데르손, 1908[1] | |
학명이명 | |
형태
편집나미브물갈퀴는 6 cm 에 이르는 꼬리를 포함해 13 cm까지 자란다. 머리는 가느다란 몸통과 꽤나 대비되며, 둘 다 윗부분이 납작하다. 눈은 크고 검으며 동공은 수직으로 찢어져있다. 나미브물갈퀴는 굉장히 창백해서 거의 반투명하다. 몸은 연어색 바탕에 밝은 갈색 줄무늬, 무늬가 나있다. 이러한 색깔 덕에 나미브사막의 모래 속에서 자연스럽게 위장할 수 있다.[5] 피부는 작고 부드운 비늘로 덮여있으며 반투명하고, 내부의 몇몇 장기를 들여다볼 수 있다. 다리는 가늘지만 발은 넓고, 발가락은 완전히 물갈퀴로 뒤덮여있으며, 이 적응 덕에 굴을 쉽게 파고 느슨한 모래 위를 달릴 수 있다.[5] 야행성이며 낮에는 스스로 판 굴 속에서 지내다가 밤에 나와서 모래 위에서 사냥한다. 발에는 빨판도 나있어서 기어오르기도 잘 한다.[5] 수컷의 꼬리는 암컷보다 두껍다. 암컷의 몸무게는 10 g 까지, 수컷은 6 g까지 나간다.[6] 머리, 등의 표면은 분홍빛 갈색 바탕에 더 짙은 무늬가 새겨져있으며, 특히 간간히 옆구리에 선이 나있으며, 밑부분은 황백색이다. 눈 사이에는 보통 푸른색 줄무늬가 나있다. 이 종은 서식지가 겹치는 짖는도마뱀붙이(:en:Ptenopus garrulus)와 비슷하게 생겼다.[3][7]
분포와 서식지
편집나미브물갈퀴는 아프리카 남부 나미브사막의 해안 근방에 고유하며, 해안에서 130km까지 떨어진, 고도 300m 까지의 내륙지방에까지 서식한다.[8] 모식지(:en:Type locality (biology))는 나미비아의 뤼데리츠다. 서식지는 바위가 많고 잘 자라지 못한 초목이 돋아난, 사구의 건조하고 느슨한 모래 위이다.[7] 나미브물갈퀴는 모래사막을 선호하며 나미비아의 해안가 혹은 나마콸란트(Namaqualand) 최극단의 리흐터스벨트(Richtersveld)에서만 발견된다.[9]
식성
편집야생환경에서는 귀뚜라미, 메뚜기, 작은 거미를 먹는다.[5] 딱정벌레와 여타의 모래 위에서 찾을 수 있는 작은 곤충도 먹는다.[9] 사육환경에서는 보통 귀뚜라미와 애벌레를 급여하는데, 활동적인 모습을 보고 싶다면 귀뚜라미를 주는 게 좋다.[10] 눈이 커서 밤에 사냥할 때 먹이를 볼 수 있다.[5]
적응
편집나미브물갈퀴는 가혹한 사막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특성을 진화시켰다.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있어서 모래 속에 굴을 파거나 모래 위를 걸을 수 있다.[5] 발가락 밑에 빨판이 있어서 기어오르기도 잘한다.[5] "발가락의 빨판에는 박판(lamellae)이 열을 지어 나있으며, 이는 각각 융모(villosity)라고 불리는 수천 개의 미세한 갈고리로 뒤덮여있다. 융모는 표면의 미세한 거친 부분에 고정되어서 도마뱀붙이가 기어오를 수 있도록 한다."[11]
나미브물갈퀴는 먹이를 포착하기 위해 커다란 눈을 가지고 있다.[5] "나미브물갈퀴는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처럼 눈꺼풀이 없고, 대신 눈비늘(spectacle)이라 불리는 투명한 비늘로 덮여있다. 주기적으로 핥아서 눈비늘 위의 먼지를 제거한다."[11]
생태
편집나미브물갈퀴는 야행성이며, 낮에는 깊이가 1미터에 이르는 굴 속에서 보낸다.[7] 밤에는 흰개미, 개미, 딱정벌레, 메뚜기, 거미 따위의 절지동물을 먹기 위해 기어나온다.[7] 물은 주로 초목에 맺힌 이슬을 통해 섭취하며 피부를 통해 습기를 흡수할 수도 있다.[7] 뀍뀍, 끽끽, 깍깍 등의 다양한 발성을 통해 의사소통한다.[5]
각각의 개체는 보통 혼자 살아간다. 방해받거나 짝을 찾을 때면 뀍뀍 꺽꺽댈 수 있다. 4,5월에 번식한다. 수컷은 짝짓기를 할 때 암컷을 꽉 움켜쥐는데, 이빨로 목을 물고 꼬리로 몸통을 감싼다. 암컷은 한두 개의 단단한 타원형의 알을 낳아서 축축한 모래 속에 묻는데, 알은 30 °C (86 °F) 가량의 온도 속에서 포란(:en:Egg incubation)될 필요가 있다. 8주 뒤에는 길이 10 cm (4 in) 가량의 유체가 부화하며, 4일 뒤에는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7]
보전 상태와 위협
편집나미브물갈퀴를 위협하는 것은 주로 인간활동이다. 사람들은 나미브물갈귀를 먹기 위해 사냥하며, 서식지를 파괴한다.[8] 애완동물 시장에서도 수요가 있기 때문에 경제적 가치가 있다.[7] 어떤 사람들은 나미브물갈퀴가 굉장히 빠르며 사람의 손을 좋아하지 않음에도 투명한 테라리움 안에 가둬 애완용으로 기른다.[10] 야생에서는 5년까지 살 수 있다.[5] 나미브물갈퀴를 보존하기 위해 법이 제정되기도 했지만, 이 녀석들은 보호종 목록에 들어있지 않으며, 종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는 아니다.[8]
각주
편집- ↑ Bauer, Aaron. “Pachydactylus rangei Andersson, 1908”. 《ITIS Report》.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Pachydactylus rangei Andersson, 1908”. 《The Reptile Database》.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Pachydactylus rangei Andersson, 1908”. 《www.Pachydactylus.com》. 2014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Beolens B, Watkins M, Grayson M. 2011.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xiii + 296 pp. ISBN 978-1-4214-0135-5. (Palmatogecko rangei, p. 217).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National Geographic Society. “Web-Footed Gecko”. 《National Geographic》. 2010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7일에 확인함.
- ↑ “Ecology Care and Breeding of the Namib Web Footed Gecko - Gecko Time”. 《Gecko Time》. November 2011.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Cutler, Melanie (1999). “Pachydactylus rangei ”. Animal Diversity Web.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Descriptions and articles about the Namibia Web-footed Gecko (Pachydactylus rangei) - Encyclopedia of Life”. 《Encyclopedia of Life》.
- ↑ 가 나 “Web-Footed Gecko - Palmatogecko rangei ”. 《ecotravel.co.za》. 2015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Namib Sand Gecko Care Guide”. 《reptilesncritters.com》.
- ↑ 가 나 http://animaldiversity.org/accounts/Pachydactylus_rangei/.
참고 문헌
편집- Andersson LG. 1908. "A remarkable new Gecko from South-Africa and a new Stenocercus-species from South-America in the Natural Museum in Wiesbaden". Jahrbüchern des Nassauischen Vereins für Naturkunde in Wiesbaden 61: 299-306. (Palmatogecko rangei, new species, pp. 299–300 + Plate III, figures 1a-1c).
- Loveridge A. 1947. "Revision of the African Lizards of the Family Gekkonidae". Bull. Mus. Comp. Zool. Harvard 98: 1-469. (Palmatogecko rangei, pp. 3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