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사드
노비사드(세르비아어: Novi Sad / Нови Сад, 헝가리어: Újvidék 우이비데크[*])는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 400,000(2010).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주도이자 남바치카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세르비아에서 수도 베오그라드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도시 이름은 세르비아어로 "새로운 정원"을 뜻한다.
노비사드 | |||||
Град Нови Сад Újvidék Nový Sad | |||||
노비사드에 있는 페트로바라딘(Petrovaradin) 요새 | |||||
| |||||
행정 | |||||
나라 | 세르비아 | ||||
---|---|---|---|---|---|
지역 | 보이보디나 자치주 | ||||
행정구역 | 남바치카 구 | ||||
역사 | |||||
설립 | 1694년 | ||||
인구 | |||||
인구 | 250,439명 (2011년) | ||||
인구밀도 | 2,400 명/km2 | ||||
지리 | |||||
면적 | 129.7 km2 | ||||
기타 | |||||
시간대 | UTC+1, UTC+2 | ||||
우편번호 | 21000 | ||||
베오그라드 북쪽 30km 지점의 도나우 강 유역에 면한다. 17세기에 건설되었으며 원래는 도나우 강 연안의 어촌에 불과했다.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경계 지점에 있어 군사적으로 중요해지면서 발전하였다. 19세기 오스만 제국 치하의 세르비아인들이 도나우 강을 넘어 이 곳으로 정착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세르비아인의 중심지가 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에는 독일어로 노이자츠(독일어: Neusatz)라고 했다.
다양한 공업이 이루어지는 공업 도시이며, 도나우 강 연안의 중요한 도시이다. 발칸 반도와 중앙유럽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다. 주민은 75%가 세르비아인, 5%가 헝가리인이며, 기타 여러 소수 민족이 있다.
기후편집
Rimski Šančevi, Novi Sad (1981–2010, 극치 1961–201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18.7 (65.7) |
22.4 (72.3) |
28.4 (83.1) |
31.0 (87.8) |
34.2 (93.6) |
37.6 (99.7) |
41.6 (106.9) |
40.0 (104.0) |
37.4 (99.3) |
29.3 (84.7) |
26.9 (80.4) |
21.0 (69.8) |
41.6 (106.9) |
평균 최고 기온 °C (°F) | 3.7 (38.7) |
6.1 (43.0) |
12.0 (53.6) |
17.7 (63.9) |
23.0 (73.4) |
25.8 (78.4) |
28.1 (82.6) |
28.3 (82.9) |
23.6 (74.5) |
18.0 (64.4) |
10.5 (50.9) |
4.8 (40.6) |
16.8 (62.2) |
일 평균 기온 °C (°F) | 0.2 (32.4) |
1.6 (34.9) |
6.4 (43.5) |
11.8 (53.2) |
17.3 (63.1) |
20.1 (68.2) |
21.9 (71.4) |
21.6 (70.9) |
16.9 (62.4) |
11.8 (53.2) |
5.9 (42.6) |
1.5 (34.7) |
11.4 (52.5) |
평균 최저 기온 °C (°F) | −3.1 (26.4) |
−2.4 (27.7) |
1.5 (34.7) |
6.2 (43.2) |
11.3 (52.3) |
14.1 (57.4) |
15.5 (59.9) |
15.3 (59.5) |
11.4 (52.5) |
6.9 (44.4) |
2.2 (36.0) |
−1.5 (29.3) |
6.5 (43.7) |
최저 기온 기록 °C (°F) | −28.6 (−19.5) |
−24.2 (−11.6) |
−19.9 (−3.8) |
−6.2 (20.8) |
−0.4 (31.3) |
0.2 (32.4) |
6.6 (43.9) |
6.9 (44.4) |
−1.6 (29.1) |
−6.2 (20.8) |
−13.8 (7.2) |
−24.0 (−11.2) |
−28.6 (−19.5)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39.1 (1.54) |
31.4 (1.24) |
42.5 (1.67) |
49.2 (1.94) |
63.0 (2.48) |
91.4 (3.60) |
64.3 (2.53) |
57.5 (2.26) |
53.8 (2.12) |
52.7 (2.07) |
53.8 (2.12) |
48.8 (1.92) |
647.3 (25.48)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2 | 10 | 11 | 12 | 13 | 12 | 10 | 9 | 10 | 9 | 11 | 13 | 132 |
평균 강설일수 | 6 | 7 | 3 | 0 | 0 | 0 | 0 | 0 | 0 | 0 | 2 | 6 | 24 |
평균 상대 습도 (%) | 85 | 79 | 71 | 67 | 66 | 69 | 68 | 68 | 72 | 76 | 82 | 86 | 74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64.8 | 99.0 | 156.4 | 190.1 | 250.8 | 269.4 | 303.6 | 285.8 | 205.7 | 158.9 | 92.4 | 58.4 | 2,135.3 |
출처: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1] |
자매 도시편집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Novi Sad” (세르비아어).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년 2월 25일에 확인함.
이 글은 세르비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