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동 (남양주시)
다산1동 茶山1洞 | |
---|---|
로마자 표기 | Dasan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
행정 구역 | 25통, 295반 |
법정동 | 다산동 |
관청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중앙로 7 |
지리 | |
면적 | 5.61 km2 |
인문 | |
인구 | 92,041명(2022.02.28.) |
세대 | 13,894세대 |
인구 밀도 | 16,4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다산행정복지센터 |
다산2동 茶山2洞 | |
---|---|
로마자 표기 | Dasan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
행정 구역 | 32통, 140반 |
법정동 | 다산동, 도농동, 지금동, 수석동 |
관청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중앙로16번길 75 |
지리 | |
면적 | 3.97 km2 |
인문 | |
인구 | 35,504명(2022.02.28.) |
세대 | 6,972세대 |
인구 밀도 | 8,94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다산2동 행정복지센터 |
법정동
편집연혁
편집- 1466년 : 양주목 미음면 금교리, 가재동, 현재의 구리시인 구지면의 왕숙천 너머 일부 지역까지 관할했던 인창리까지 해당이 된다.
- 1912년 5월 23일: 양주군 미음면 도농리
- 1914년 4월 1일: 미음면 3개리와 금촌면 3개리를 통합하여 양주군 미금면이 됨. 이 당시의 행정구역은 양주군 미금면 도농리가 된다.
- 1979년 5월 1일: 미금면이 미금읍으로 승격하여 양주군 미금읍이 됨.
- 1980년 4월 1일: 남양주군이 분리되어 남양주군 미금읍이 됨.
- 1985년 1월 1일: 도농출장소가 신설되어 남양주군 미금읍 도농출장소가 됨. 출장소 관할구역은 이패리, 삼패리, 가운리, 수석리, 지금리, 도농리.[1]
- 1989년 1월 1일: 미금읍이 미금시로 승격·분리되어 미금시가 됨.[2] 법정동 가운동, 수석동, 지금동, 도농동이 설치되었으며, 행정동으로 가운동, 수석동, 지금동을 관할하는 지금동과 도농동만을 관할하는 도농동을 설치함.
- 1995년 1월 1일: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되어[3] 남양주시 가운동, 수석동, 지금동, 도농동이 됨.
- 2017년 2월 6일: 도농동과 지금동을 관할하는 도농·지금 행정복지센터가 개청하였다.[4]
- 2017년 12월 18일: 가운동(加雲洞)을 다산동으로 개칭하고, 도농동, 지금동, 수석동, 일패동, 이패동, 진건읍 배양리의 각 일부를 병합함. 지금동, 가운동, 이패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지금동으로 함. 법정동 도농동은 도농사거리 이서 및 국도 제6호선 이남 지역을 관할하는 좁은 지역이, 법정동 지금동은 다산동 중 황금산 일원을 관할하는 좁은 지역이 됨. 행정동 지금동은 다산1동으로 개칭하여 다산동 중 국도 제6호선 이북 지역을 관할하게, 도농동은 다산2동으로 개칭하여 이남 지역을 관할하게 함.[5][6][7]
교육
편집교통
편집-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도농역
- 다산역
아파트
편집공공기관
편집- 남양주시청 제2청사
- 남양주남부경찰서
사업체
편집- 빙그레 남양주공장
각주
편집- ↑ 남양주군 조례 제436호
- ↑ 법률 제4050호
- ↑ 법률 제4774호
- ↑ 이병훈 (2017년 1월 24일). “남양주시, 행정복지센터 8개 권역 전면 시행 눈앞…조례안 통과”. 뉴시스.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남양주시 읍·면·동 및 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남양주시 조례 제1487호 (2017년 10월 30일)
- ↑ 남양주시 리·통 및 반 설치 조례, 남양주시 조례 제1488호 (2017년 10월 30일)
- ↑ 남양주시 (2017년 11월 17일). “다산동 구역도”. 2017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