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류에서 넘어옴)

도마뱀붙이하목(Gekkota)은 뱀목에 속하는 파충류 분류군이다. 모든 도마뱀붙이류와 무족도마뱀류인 뱀붙이도마뱀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무족도마뱀류의 일종인 장님도마뱀과도 한때는 도마뱀붙이하목으로 분류했지만[1] 최근의 계통 분류학 연구는 이 둘을 분리하고 있다.[2][3] 발가락은 5개 또는 4개이다. 벽을 잘 타는 도마뱀붙이는 따뜻한 곳에서 산다. 발가락에 달려 있는 빨판은 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해 도마뱀붙이가 벽을 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마뱀붙이하목
노란머리난쟁이도마뱀붙이
노란머리난쟁이도마뱀붙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목: 뱀목
하목: 도마뱀붙이하목
(Gekkota)
  • 본문 참조

대한민국의 명칭 혼선 편집

도마뱀붙이류는 처음에는 '도마뱀부치'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지만, '도마뱀붙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가 2011년에 환경부에서 실시한 자연환경조사를 토대로 공공부처, 환경부에서는 '도마뱀부치'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도마뱀붙이'가 표준어로 등록되어있다. 한편 ‘붙이다’는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 ‘부치다’는 ‘편지나 물건 따위를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내다.’의 의미이다. '-붙이'는 '어떤 물건에 딸린 같은 종류'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인데, '-부치'는 16세기에 쓰인 '-붙이'의 원형인 한편, '-붙이'의 이표기로 인정된다.[4] 하늘소붙이과(en:Oedemeridae), 뱀잠자리붙이과(en:Hemerobiidae), 방아벌레붙이과(en:Languriidae), 사마귀붙이과 등 부치보다는 붙이 쪽의 손을 들어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굳이 '-부치'의 형태를 활용할 필요가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된다.

국립자원생물관 웹페이지에는 도마뱀붙이의 정식 명칭은 '도마뱀붙이'로, '도마뱀부치'는 이명으로 등록되어있다.[5]

하위 분류 편집

7개 과로 이루어져 있다.[6][7][8][9][10]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1]

인룡상목

옛도마뱀과

뱀목

장님도마뱀과

unnamed
도마뱀붙이하목
뱀붙이도마뱀군

돌도마뱀붙이과

뱀붙이도마뱀과

눈그늘도마뱀붙이과

도마뱀붙이군

표범도마뱀붙이과

도마뱀붙이상과

땅딸이도마뱀붙이과

잎가락도마뱀붙이과

도마뱀붙이과

unnamed
도마뱀상과

밤도마뱀과

장갑도마뱀과

갑옷도마뱀과

도마뱀과

Episquamata
장지뱀상과

채찍꼬리도마뱀과

안경도마뱀과

지렁이도마뱀류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

멕시코지렁이도마뱀과

지중해지렁이도마뱀과

쿠바지렁이도마뱀과

트로고노피스과

지렁이도마뱀과

장지뱀과

Toxicofera

무족도마뱀류

이구아나류

뱀아목

각주 편집

  1. Myers, P., R.; Espinosa, C. S. Parr, T. Jones, G. S. Hammond, and T. A. Dewey. (2008). “Infraorder GekkotaInfraorder Gekkota (blind lizards, geckos, and legless lizards)”. The Animal Diversity Web (online). 2009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4일에 확인함. 
  2. Townsend, T., A. Larson, E. Louis, & J. R. Macey. 2004. Molecular phylogenetics of Squamata: The position of snakes, amphisbaenians, and dibamids, and the root of the squamate tree. Systematic Biology 53: 735–758.
  3. Vidal, N. & S. B. Hedges. 2005. The phylogeny of squamate reptiles (lizards, snakes, and amphisbaenians) inferred from nine nuclear protein-coding genes. Comptes Rendus Biologies 328: 1000–1008.
  4.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d9eee2cd051431dac4e5019733d4162/historyInfo. 2020년 1월 20일에 확인함.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5. “한국의 멸종위기종”. 2020년 1월 20일에 확인함. 
  6. Han, D., K. Zhou, & A. M. Bauer. 2004.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gekkotan lizards inferred from c-mos nuclear DNA sequences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ekkota.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83: 353– 368.
  7. Gamble, T., A. M. Bauer, E. Greenbaum, & T.R. Jackman. 2008. Out of the blue: A novel, trans-Atlantic clade of geckos (Gekkota, Squamata). Zoologica Scripta 37: 355-366.
  8. Gamble, T., A. M. Bauer, E. Greenbaum, & T.R. Jackman. 2008. Evidence for Gondwanan vicariance in an ancient clade of gecko lizards. Journal of Biogeography 35: 88-104
  9. Gamble, T., A. M. Bauer, G. R. Colli, E. Greenbaum, and T.R. Jackman, L. J. Vitt and A. M. Simons. 2011. Coming to America: Multiple Origins of New World Geckos. Journal of Evolutionary Biology 24:231-244.
  10. Gamble, T., E. Greenbaum, T.R. Jackman, A.P. Russell, and A.M. Bauer. 2012. Repeated origin and loss of adhesive toepads in geckos. PLoS ONE 7:e39429
  11. Pyron, R.A.; Frank T Burbrink, John J Wiens 2013.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BMC Evol Biol 13: 9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