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골든벨

고교생 퀴즈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도전 골든벨에서 넘어옴)

도전! 골든벨》은 1999년 1월 8일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 방송하여 청소년 서바이벌 퀴즈프로그램으로 참가한 퀴즈 프로그램이며 코로나 여파로 재개 미확정이었다가 현재 최종적으로 폐지된것으로 결론이 났으나 이후 재개 미확정으로 아직 불확실하다.[1][2]

Picto infobox TV-icon-novela.png
도전! 골든벨
2015년 소방관 특집방송
2015년 소방관 특집방송
장르 퀴즈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역대 방송채널 참조
방송 기간 1999년 1월 8일 ~ 2020년 6월 28일
방송 시간 역대 방송시간 참조
추가 채널 KBS 프라임
KBS 조이
KBS 스토리
프로듀서 고찬수, 하동현
(KBS 교양운영팀)
제작사 KBS 시사교양1국
연출 하용일
김형호
송현주
강호림
작가 장수미
이윤정
이미로
임소윤
박희원
전소영
진행자 역대 진행자 참조
해설 역대 내레이션 참조
여는 곡 도전! 골든벨 OP
닫는 곡 이승철 - 해낼 수 있다
음성 1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관련 프로그램 1 대 100
외부 링크  KBS 도전! 골든벨 홈페이지(2019년 10월 20일 ~ 2020년 6월 28일)

비고:
KBS 위성 1TV 재송신 편성 및 KBS 위성 2TV(이후 KBS 코리아) 재방송 편성
홈페이지의 2000년 3월 31일(KBS 2TV) ~ 2016년 12월 25일(KBS 1TV)까지 다시보기 서비스는 없어짐

진행 방식편집

  • 해당 참가 학교 소속 학생들의 전체 100명 중 도전자가 도전 직전 약 최대 1,000문제를 외우며 도전한다.
  • 50개의 문제가 출제되며, 학생은 문제를 듣고 답을 자신의 답안판에 쓴다.
  • 문제를 맞히지 못한 학생은 장외로 나가게 되며 문제를 풀수록 살아남은 사람의 수가 적어진다.
  •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1명을 "최후의 1인"이라고 하며, 최후의 1인이 마지막 50번째 문제까지 다 풀게 되면 "골든벨"을 울릴 수 있고,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3]
  • 마지막 50번 문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참가 학교의 교장이 아나운서석에서 직접 출제한다.
  • 단 연말마다 방송되는 왕중왕전엔 50문제 다 푸는 형식이 아닌 최후의 1인이 될 때까지 서바이벌 방식이다.
  • 매 방송 및 학교마다 골든벨을 울리는 데 성공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의 캐치프레이즈로 "문제가 남느냐! 내가 남느냐!"라는 구호를 방송 시작과 동시에 일제히 외친다.
    • 초창기에는 골든벨 선서로 구호를 복창하고 시작하기도 했으며 중간에 시청자 퀴즈 문제가 출제된 적이 있다.
  • 매주 각 고등학교를 돌아다니며 예심을 통해 선발된 100명의 도전자의 해당 학교 고등학생들이 참가하여 총 50문제를 푼다.
  • 남자 아나운서는 도전자의 참가 학교의 학생들과 100명 중 해당 학생의 인터뷰를 하며, 여자 아나운서는 문제를 출제한다.
  • 문제는 KBS 내부 출제위원들이 출제하며, 다양한 분야에 대해 심층적인 주제의 문제가 출제된다.

방송 시간편집

  • 과거 공휴일, 특집 프로그램, KBS 뉴스특보 등이 편성되면 특집 프로그램이 편성될 경우 방송 시간이 변경되었다.(KBS 1TV 방송시간 당시 편성 기준)
  • KBS 1TV와 KBS 2TV 2개의 채널에서 방송되었으나 KBS 1TV에서 더 오랜 기간 동안 방송되었다. (2001년 11월 11일 ~ 2020년 4월 5일(정규 참가학교), 2020년 4월 12일 ~ 2020년 6월 28일(회차 없이 스페셜 방송 및 온라인 도전! 골든벨(역대 도전자별 & 학교별) 편성))
  • 1000회를 10회 남겨두고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2020년 4월 5일 이후로 스튜디오 촬영이 중지되었다. 이후 12주 동안 정규회차 없이 4월 12일부터 5월 10일까지 스페셜 특집 하이라이트 방송, 5월 17일부터 6월 28일까지 온라인 도전! 골든벨(역대 도전자별(5월 17일 ~ 5월 31일), 학교별(6월 7일 ~ 6월 28일)) 등이 별도 편성되었다.
  • 폐지 이후 해당 시간대에 <이슈 픽 쌤과 함께>와 <명견만리>가 대체 편성됐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1TV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 매주 금요일 저녁 7시 35분
2001년 11월 11일 ~ 2002년 5월 19일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10분
2002년 6월 9일 ~ 2002년 6월 23일
2002년 7월 14일 ~ 2002년 8월 4일
2002년 8월 25일 ~ 2002년 9월 15일
2002년 10월 6일
2002년 10월 20일 ~ 2002년 12월 22일
2003년 1월 5일 ~ 2003년 2월 23일
2003년 3월 9일 ~ 2003년 3월 16일
2003년 3월 30일 ~ 2003년 6월 1일
2003년 6월 15일 ~ 2003년 11월 16일
2003년 11월 30일 ~ 2004년 6월 27일
2004년 7월 11일 ~ 2004년 9월 19일
2004년 10월 3일 ~ 2004년 12월 19일
2005년 1월 2일 ~ 2005년 2월 27일
2005년 3월 13일 ~ 2005년 8월 7일
2005년 8월 28일 ~ 2005년 9월 11일
2005년 9월 25일 ~ 2005년 10월 9일
2005년 10월 23일 ~ 2005년 11월 20일
2005년 12월 4일 ~ 2005년 12월 18일
2006년 1월 8일 ~ 2006년 1월 22일
2006년 2월 5일 ~ 2006년 4월 16일
2006년 4월 30일 ~ 2006년 7월 16일
2006년 7월 30일 ~ 2006년 8월 6일
2006년 8월 20일 ~ 2006년 10월 15일
2006년 10월 29일 ~ 2006년 11월 5일
2006년 11월 19일
2006년 12월 3일 ~ 2006년 12월 24일
2007년 1월 7일 ~ 2007년 2월 11일
2007년 2월 25일
2007년 3월 11일 ~ 2007년 6월 10일
2007년 6월 24일 ~ 2007년 8월 5일
2007년 8월 19일 ~ 2007년 9월 16일
2007년 9월 30일 ~ 2007년 11월 18일
2007년 12월 2일 ~ 2007년 12월 22일
2008년 1월 6일 ~ 2008년 2월 3일
2008년 2월 17일 ~ 2008년 3월 2일
2008년 3월 16일 ~ 2008년 7월 27일
2008년 8월 24일 ~ 2008년 9월 7일
2008년 9월 21일 ~ 2008년 12월 21일
2009년 1월 4일 ~ 2009년 4월 12일
2009년 4월 26일 ~ 2009년 8월 16일
2009년 8월 30일 ~ 2009년 11월 1일
2009년 11월 15일 ~ 2009년 12월 20일
2010년 1월 3일 ~ 2010년 2월 7일
2010년 2월 21일 ~ 2010년 2월 28일
2010년 3월 14일 ~ 2010년 4월 4일
2010년 4월 18일 ~ 2010년 8월 1일
2010년 8월 22일 ~ 2010년 11월 7일
2010년 11월 28일 ~ 2010년 12월 19일
2011년 1월 2일 ~ 2011년 8월 21일
2011년 9월 11일 ~ 2011년 11월 20일
2011년 12월 11일 ~ 2012년 3월 25일
2012년 4월 8일 ~ 2012년 7월 22일
2012년 8월 19일 ~ 2012년 12월 23일
2013년 1월 6일 ~ 2013년 5월 5일
2013년 5월 19일 ~ 2014년 2월 9일
2004년 2월 23일 ~ 2014년 4월 13일
2014년 5월 11일 ~ 2014년 9월 14일
2014년 10월 5일 ~ 2015년 6월 28일
2015년 7월 19일 ~ 2016년 4월 24일
2017년 4월 23일
2005년 3월 6일[4] 일요일 저녁 7시
2005년 8월 14일
2005년 12월 25일
2006년 1월 29일
2006년 4월 23일
2006년 10월 22일
2007년 9월 23일
2007년 12월 30일
2008년 2월 10일
2008년 3월 9일
2009년 1월 25일
2009년 4월 19일
2009년 11월 8일
2009년 12월 27일[5]
2017년 8월 20일
2018년 6월 10일[6]
2018년 9월 2일
2016년 5월 1일 ~ 2016년 7월 31일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10분
2016년 8월 14일 ~ 2016년 11월 20일
2016년 12월 11일 ~ 2016년 12월 25일
2017년 2월 12일
2017년 2월 26일 ~ 2017년 3월 5일
2017년 3월 19일
2020년 3월 8일 ~ 2020년 4월 5일(이후 참가 중단)
2020년 4월 12일 (스페셜 1부)[7]
2020년 5월 10일
2020년 6월 21일 ~ 2020년 6월 28일
(온라인 특집(학교별) 6부~7부)(임시중단)[8]
2017년 5월 5일(어린이날 특집) 금요일 저녁 7시 10분[9]
2017년 3월 26일 일요일 저녁 7시 15분
2017년 2월 19일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10분
2017년 4월 2일 ~ 2017년 4월 16일
2017년 4월 30일
2017년 5월 7일 ~ 2017년 8월 13일
2017년 8월 27일 ~ 2017년 9월 10일
2017년 10월 8일
2018년 3월 4일 ~ 2018년 3월 11일
2018년 3월 25일[10] ~ 2018년 6월 3일
2018년 6월 17일 ~ 2018년 8월 26일
2018년 9월 9일 ~ 2019년 7월 21일
2019년 8월 11일 ~ 2019년 9월 15일
2019년 9월 29일 ~ 2020년 2월 16일[11]
2020년 4월 19일 ~ 2020년 5월 3일
(스페셜 2부 ~ 5부)[12]
2020년 5월 17일 ~ 2020년 5월 31일
(온라인 특집 1부 ~ 3부 - 역대 참가학교 도전자별)[13]
2020년 6월 7일 ~ 2020년 6월 28일(임시 종영-중단)
(온라인 특집 4부 ~ 7부(학교별 1부 ~ 4부))[14]
2010년 8월 15일 일요일 저녁 6시[15]
2018년 3월 18일[16] 일요일 저녁 6시 50분
2003년 3월 2일 일요일 저녁 6시 55분
2005년 11월 27일
2003년 11월 23일 일요일 저녁 6시 50분
2004년 12월 26일
2002년 12월 29일 일요일 저녁 6시 40분
KBS 2TV[17] 1999년 9월 3일 ~ 2000년 4월 28일 매주 금요일 저녁 7시 5분 ~ 밤 8시[18]
1999년 12월 31일 금요일 저녁 6시 45분 ~ 밤 8시[19]
2000년 12월 29일 금요일 저녁 6시 30분 ~ 밤 8시[20]
2001년 8월 31일[21] 금요일 저녁 6시 ~ 7시 30분
2000년 5월 5일 ~ 2001년 4월 27일 매주 금요일 저녁 7시 ~ 밤 8시[22]
2001년 5월 4일 ~ 2001년 11월 2일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30분 ~ 7시 30분[23]

역사편집

MC편집

남자편집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1대 김홍성 아나운서[24]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 《접속! 신세대》 코너 편성, 남성 MC 첫 진행[25][26][27][28]
1999년 9월 3일 ~ 2001년 3월 30일 프로그램 독립 편성(2TV 이후)[29]
2대 윤인구(24기) 아나운서[30] 2001년 4월 6일 ~ 2001년 11월 2일 (KBS 2TV)
2001년 11월 11일 ~ 2002년 11월 10일 (KBS 1TV)
독립 편성 포함의 2TV 이후 1TV 옮겨 진행함[31][32]
3대 김홍성 아나운서[33] 2002년 11월 17일 ~ 2005년 9월 11일 남성 MC 2번째 재진행[34][35]
4대 김현욱(26기) 前 아나운서[36] 2005년 9월 25일 ~ 2011년 2월 20일 패자부활전 끝나고 남성 MC 물러남[37][38]
5대 김승휘 아나운서 2011년 2월 20일 ~ 2012년 3월 18일 패자부활전 끝나고 남성 MC 교체
6대 박태원(30기)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 팀장[39] 2012년 3월 25일 ~ 2016년 1월 3일 역대 남자 MC 최장기간 4년간 진행자
7대 오승원(30기) 아나운서 2016년 1월 10일 ~ 2018년 6월 17일
8대 강성규 아나운서 2018년 6월 24일 ~ 2020년 4월 5일
2020년 4월 12일 ~ 2020년 5월 10일[40]
2020년 5월 17일 ~ 2020년 5월 31일[41]
2020년 6월 7일 ~ 2020년 6월 28일
마지막 남자 MC 최후의 진행자

여자편집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1대 손미나(24기) 前 아나운서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 《접속! 신세대》 코너 편성, 남성 MC 첫 진행[42]
1999년 9월 3일 ~ 2001년 5월 18일 프로그램 독립편성(2TV 이후)[43][44]
2대 최원정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2001년 5월 25일 ~ 2001년 11월 2일 (KBS 2TV)
2001년 11월 11일 ~ 2004년 5월 2일 (KBS 1TV)
역대 여자 MC 3년간 최장 진행자
독립편성 포함의 2TV 이후 1TV 옮겨 진행함[45][46]
3대 김보민 아나운서[47] 2004년 5월 9일 ~ 2007년 5월 20일 역대 여자 MC 3년간 최장 진행자[48]
4대 오정연 前 아나운서[49] 2007년 5월 27일 ~ 2008년 12월 7일 [50]
[51]
5대 박은영(33기) 前 아나운서[52] 2008년 12월 14일 ~ 2009년 11월 29일 [53]
7대 정다은(34기) 아나운서 2009년 12월 6일 ~ 2011년 12월 4일
6대 차다혜 前 아나운서[54] 2011년 12월 11일 ~ 2012년 10월 7일 [55]
7대 가애란 아나운서[56] 2012년 10월 14일 ~ 2012년 12월 23일 역대 여자 MC의 최단 진행자(3개월)[57][58][59]
8대 정지원(38기) 아나운서[60] 2013년 1월 6일 ~ 2013년 10월 27일 [61]
[62]
9대 전주리 아나운서[63] 2013년 11월 3일 ~ 2015년 3월 29일 [64]
10대 김지원(39기) 前 아나운서 2015년 4월 5일 ~ 2017년 5월 28일
11대 박소현(42기) 아나운서[65] 2017년 6월 4일 ~ 2018년 9월 30일[66] [67]
12대 이혜성 前 아나운서 2018년 10월 7일[68] ~ 2019년 3월 3일
13대 강서은 前 아나운서[69] 2019년 3월 10일 ~ 2019년 8월 25일
14대 박지원(45기) 아나운서[70] 2019년 9월 1일 ~ 2020년 4월 5일
2020년 4월 12일 ~ 2020년 5월 10일[71]
2020년 5월 17일 ~ 2020년 5월 31일[72]
2020년 6월 7일 ~ 2020년 6월 28일[73]
마지막 여자MC 최후의 진행자

역대 제작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과거
  • 책임프로듀서 : 강성철 CP
  • 연출 : 백항규· 이연식· 박현민· 한경택· 김은주
  • 구성 : 김정화, 왕보경, 이동은, 최현옥 작가
이후
  • 책임프로듀서 : 박현민
  • 기획 : 유경탁
  • 연출 : 백항규, 박인식, 임현진, 김현기, 김창완
  • 각본 : 박정은. 김수현, 김미성, 김은주, 김유진

구성편집

코너명 진행자 비고
OP 회 - 고등학교 기준(2022년 ?월 ?일 기준) (참가 중단 이후 미정)
첫인사 및 OP 멘트 남성 아나운서, 여성 아나운서
* 참가학교 오프닝 회 - 고등학교 기준(2022년 ?월 ?일 기준)
** 문제출제 여성 아나운서
** 인터뷰 남성 아나운서
** 영어문제 여성 아나운서, 각 참가 학교의 영어담당 선생님
** 정답 발표 여성 아나운서
** 패자부활전 남성 아나운서, 여성 아나운서
** 최후의 1~4인 소개 남성 아나운서
* 최후의 1인 결정
** 글로벌 코리아 문제 여성 아나운서
** 찬스 문제 남성 아나운서
최종문제 번 탈락( 회 - 편)
*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 충북 청주여고(2번 이상 재도전)(131대 골든벨 류한나(2학년,37번)) 정우정 교장이 문제 출제
※ 선택(색) 통 선택 후 문제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참가한 학교의 최후의 1인은 각 색의 통에 있는 다른 분야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 통은 교장에게 전달되어 교장이 마지막 문제를 출제한다.
** 명예의 전당에 울릴 경우 131대 골든벨 류한나(2학년,37번) (충북 청주여자고등학교(2번 이상 재도전) 든(하얀색) 선택(988회, 2020년 3월 22일 기준)
** 실패할 경우 강효진(2학년,65번) (광주 문정여자고등학교) 든(하얀색) 선택(987회, 2020년 3월 15일 기준)
상품소개 남성 아나운서(내레이션)
* ED 멘트 남성 아나운서, 여성 아나운서
** 엔딩 곡
** 참가하신 여러분
** 다음주 학교 및 특집 예고 고등학교
** 제작진 명단
** ED 멘트 자막

코너편집

최후의 1인편집

  • 2010년 9월 방송분부터 최후의 1인이 글로벌 코리아 문제를 맞히면 '지식 실크로드 대장정' 참여 기회를 한국로타리장학문화재단에서 준다.
  • 최후의 1인에게는 상패가 주어지며, 골든벨을 울리면 대학입학등록장학금, 골든벨 장학금, 해외 배낭여행 연수비가 추가로 해외연수를 가천대학교에서 주어진다.
  • 2001년 8월 3일 96회(KBS 2TV 편성 당시), 2015년 1월 4일 750회 ~ 2020년 4월 5일 990회 마지막 참가 학교(이후 참가 중단 - 미정) 이상 방송분 대개편으로 새단장으로 도전 상황의 직선 글자 자막 표시 변경과 정답 발표 모습 변경과 정답 발표 모습 변경과 최후의 1인 도전자의 학생이 확정 이후 무대 세팅에서 기존 밝은 표현이 이후 어두운 밤으로 표현함(최종 4?번 ~ 49번 탈락할 때까지와 최종 《50번 골든벨 문제》까지의 <명예의 전당 - 등극자>와 <골든벨 실패자>까지 도전한다.)
  •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교는 삼성전자에서 LED TV를 기증받는다.
  •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교의 전교생들은 KBS 미디어의 DVD를 받는다.

역대 참가 학교편집

  • 역대 참가 학교 중 방송되어 참가하지 않았던 지역은 다음과 같으며 특집편에서만 해당 특집편 당 도전자 중 소속 학교의 학생이 참가하는 경우가 있다.
  • 참가 학교, 도전 결과는 보안상 방송 전에 공개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도 있었다.
  • 역대 참가 학교 중 특정 특목고 중 체육고,과학고가 참가한 지역 학교는 없다.
  • 역대 참가 학교 중 일부 시도 시군구 지역 참가한 지역은 없다.

50번 골든벨 문제편집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참가한 학교의 최후의 1인은 각 통의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통을 남자 MC가 교장에게 전달하고, 교장이 직접 마지막 문제를 출제한다. 문제들의 통 색깔은 다음과 같다.

  •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28일 : 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을 선택한다.
  • 26대 골든벨 도전 당시(2002년 3월 24일) : 과학(노란색), 문학(초록색), 시사상식(하얀색), 예술(빨간색), 역사(파란색)를 선택한다.
  • 27대 ~ 32대 골든벨 도전 당시(2002년 7월 14일 ~ 2003년 6월 22일) : 역사(노란색), 과학(파란색), 예술(초록색), 시사상식(빨간색), 문학(하얀색)를 선택한다.
  • 2015년 1월 4일 ~ 2019년 12월 1일(106대 ~ 129대) : 도(남색), 전(빨간색), 골(회색), 든(보라색), 벨(진한 보라색)을 선택한다.
  • 2019년 12월 8일 ~ 2020년 3월 29일(130대 ~ 131대) 이후 임시 중단 : 도(빨간색), 전(파란색), 골(초록색), 든(하얀색), 벨(노란색)을 선택한다.

역대 《명예의 전당》 골든벨 등극자 명단편집

  • 참고로 명예의 전당 중 재도전에서 같은 학교 참가한 이후 2번 이상 울린 지역의 학교는 없다.
  • 참고로 명예의 전당 중 3번 이상 재도전에서 참가한 학교 중 울린 지역의 학교는 없다.
  • 참고로 명예의 전당 울린 지역 중 성별 학교가 일부 지역에 울린 지역은 없다.

※ 참고로 등극자 131명 중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은 이후 단 한번도 울린 지역은 없다.
※ 참고로 한해 9회 까지 울렸으나 이후 매년 두자리수 10명 이상 등극하지 않았으며, 10명 이상 울린 횟수는 없다.

역대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탈락자편집

특집 방송편집

회차 없이 편성편집

코로나 감염으로 인해 회차 없이 별도 편성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 2020년 4월 12일 ~ 5월 10일 : 스페셜 방송
  • 2020년 5월 17일 ~ 5월 31일 : 온라인 도전 골든벨 (역대 도전자별)
  • 2020년 6월 7일 ~ 6월 28일 : 온라인 도전 골든벨 (학교별)

스페셜 방송편집

온라인 도전 골든벨(역대 도전자별,학교별)편집

참가자로 도전한 관련 연예인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09년
  • 이정영 : 4월 26일 473회 대구 상서여자정보고등학교 (현 상서고등학교) 편 (학과 미상 2학년) 참가 (탁구 선수(국가대표))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골든벨 소재를 응용하거나 차용한 예들편집

역대 오프닝 (OP)편집

과거 2019년 10월 20일 ~ 2020년 4월 5일 오프닝(OP)의 참가 학교까지를 기준으로 한다.
※ 코로나 감염으로 인하여 같은 해 회차 없이 별도 편성하여 OP닝을 별도로 했다. 4월 12일 ~ 5월 10일은 스페셜 방송 과 온라인 도전 골든벨은 5월 17일 ~ 5월 31일(역대 도전자별) 2020년 6월 7일 ~ 6월 28일 : (학교별)까지 회차 없이 편성

방송 기간 비고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 <접속! 신세대> 코너 당시 오프닝
1999년 9월 3일 ~ 2001년 11월 3일 독립 편성 이후 KBS 2TV로 프로그램 전후 광고
2001년 11월 11일 ~ 2004년 5월 2일 2001 가을 개편으로 KBS 1TV로 방송시간 변경 이후 프로그램 광고 없이 방송됨
2004년 5월 2일 ~ 2006년 3월 12일 [1]
2006년 3월 19일 ~ 2007년 5월 27일
2007년 6월 3일 ~ 2011년 2월 27일 오프닝(OP) 영상의 2006년 6월 4일 부산 경원고 최후의 1인 이시은 학생,
2006년 6월 11일 경북 칠곡군 순심고&순심여고(56대 윤문열(순심고)) (2학교 이상) 도전 모습
2006년 7월 16일 전북 전주 우석고 최후의 1인 이재민 학생이 도전했음
2011년 3월 13일 ~ 2011년 8월 7일
2011년 8월 14일
2011년 8월 21일 ~ 2012년 2월 26일
2012년 3월 4일 ~ 2014년 4월 13일
2014년 5월 11일 ~ 2014년 12월 14일 큐브 모양
2015년 1월 4일 ~ 2018년 9월 2일 2015년 KBS 대개편으로 타이틀(프로그램명)의 글꼴 로고 변경
2018년 9월 9일 ~ 2019년 10월 13일 타이틀(프로그램명)의 글꼴 로고 변경 홈페이지의 로고 없음, 공(번호 모양)이 추출되어 나오는 모습
2019년 10월 20일 ~ 2020년 4월 5일 과거의 오프닝(OP)으로 2006년 3월 19일 ~ 2014년 12월 14일 기준으로 복귀
2020년 4월 12일 ~ 2020년 5월 10일 코로나 감염 관계로 회차 없이 별도로
<도전! 골든벨 스페셜 방송 목록> 하이라이트 편성
2020년 5월 17일 ~ 2020년 6월 28일 코로나 감염 관계로 회차 없이 별도로
<온라인 도전! 골든벨 방영 목록>
(역대 학교 소속 도전자별(5월 17일 ~ 5월 31일) 및 학교별(6월 7일 ~ 6월 28일))으로 오프닝 대체 이후 중지

배경 음악편집

수상 경력편집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편집

※ 해당 연도 1999년 ~ 2020년 에피소드 목록 결방 참조

1999년
2000년
2001년
  • KBS 2TV 이후 KBS 1TV 방송시간 옮겨 결방 없음
2002년
2003년
  • 3월 23일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으로 사스(SARS)의 1번째 결방과 2002년 월드컵 1주년 특집 삼성 하우젠 K-리그 2003 개막전 《전남 드래곤즈 VS 대전 시티즌》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광양축구전용구장)
  • 6월 8일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으로 사스(SARS)의 2번째 결방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경기 《대한민국 VS 우루과이》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서울월드컵경기장)
2004년
2005년
2006년
  • 1월 1일 : 신년 특집 《2006! 다시 한 번 대~한민국》 편성으로 인한 결방.
  • 7월 16일 : KBS 뉴스특보 - 태풍 '에위니아' 북상 및 중부지방 집중호우 호우특보로 인해 한 주 연기되어 결방
2007년
  • 2월 11일 : 2007년 KBS 1TV 설날 특집《설 특집 체감 대한민국 36.5》방송 관계로 1주 연기
  • 6월 17일 : KBS 1TV 한국언론재단 초청토론 《노무현 대통령 언론인과의 대화》중계방송 관계로 1주 연기
2008년
2009년
  • 8월 23일 : 신종풀루 감염 및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따른 사망 애도 분위기의 조성을 위하여 KBS 1TV 특집《특별 생방송 중소기업 살리기 프로젝트》방송 관계로 1주 연기
  • 12월 27일 : 《2009 왕중왕전》의 패자부활 축하공연 이후 도중에 KBS 뉴스특보 - 《원전 수주 성공》(앵커 김희수(28기) 아나운서)의 뉴스특보를 내보냈으나 5분간 방영 중단되었다.
2010년
2011년
2012년
  • 4월 1일  : KBS 1TV 중계방송《조선의 혼 다시 살아나다 의궤의 재현》특집 방송 관계로 결방으로 1주 뒤인 관양고등학교로 연기
  • 7월 29일  :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①비치발리볼 여자 예선 ② 배드민턴(녹) 남자 단식, ③ 조정 여자 경량급더블스컬 ④ 수영(녹)남 자유형200m(박태환 출전), ⑤유도(녹) 여 52kg/남 66kg ⑥ 사격 여자 10m 공기 권총 결승 ⑦ 펜싱(남자) 사브르 32강》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8월 5일 :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① 사이클 남자 옴니엄 4 km 개인추발 ② 탁구 남자 단체 8강 ③ 배구 여자 예선(한국VS중국) ④ 사격 남자 50m 권총 결승전(진종오 출전) ⑤ 여자 마라톤》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8월 12일 :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남자 마라톤(19:00-21:30)중계방송 관계로 2주 뒤인 창원대산고등학교 편으로 연기되었다.
  • 12월 30일 : KBS 1TV 2012년 송년 특집 2부작 《희망을 그리는 학교》(2부)-(고사리 밴드의 팡파르) 편으로 인하여 결방되어 내년 2013년 1주 뒤인 대광고등학교로 연기
2013년
2014년
2015년
  • 7월 5일 : 메르스로 인한 녹화 취소로 인해 《해양 다큐멘터리 샤크 <제2편 은밀한 사생활>》방송 관계로 2주 연기됐다.
  • 7월 12일 : 메르스로 인한 녹화 취소로 인해 《해양 다큐멘터리 샤크 <제3편 상어, 결정적 순간>》방송 관계로 2주 연속 결방으로 2주 뒤인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편으로 연기되었다.
2016년
2017년
  • 1월 1일  : 《신년특별생방송 희망 2017》 방송 관계로 1주 연기되었다.
  • 3월 12일 : KBS 뉴스특보 -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 퇴거》 긴급 뉴스 관계로 능동고등학교 편이 1주 연기되었다.
  • 9월 17일 ~ 9월 24일, 10월 15일 ~ 12월 31일 : KBS 파업으로 인해 16주 연기되어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 단 한글날의 한글 골든벨 도전 참가 및 방송은 제외이다.
  • 10월 1일 : 추석 특집은 KBS 파업으로 인해 취소로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으나, 파업으로 인하여 참여 및 방송되지 않았다.
  • 12월 31일 : KBS 파업으로 인해 2017년 왕중왕전은 파업으로 인하여 참여 및 방송되지 않았다.
2018년
  • 1월 7일 ~ 2월 11일, 2월 25일 : KBS 파업으로 인해 다음 해인 2018년 8주 연기되어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
  • 2월 18일 : 2018년 설 특집 도전 참가의 파업으로 인하여 참여 및 방송되지 않았다.
  • 3월 18일 : 충북 음성 대금고 편의 평창 동계 패럴림픽 폐막식 방송 관계로 오후 6시 50분에 편성
  • 6월 10일 : 900회 특집 - 2부 역대 최강자전의 KBS 뉴스특보 -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싱가포르 곧 도착 방송 관계로 오후 7시에 편성
  • 9월 2일 : 밤 8시 KBS 뉴스 9, 밤 8시 30분 ~ 11시 이후까지 <2018 자카르타 팔렘 아시안게임 중계방송> 저녁 7시~밤 8시로 10분을 앞당겨 방송시간이 변경되었다.
2019년
  • 7월 28일 : KBS의 비상체제로 ‘휴가철을 맞은 혹서기 편성’으로 최대 적자로 재정 위기 상황을 맞아 특집 - 아리랑 로드 <제1편 유랑의 노래>(저녁 7시 10분 ~ 8시 10분) 특집 편성의 결방으로 1주일 연기되었다.
  • 8월 4일 : KBS의 비상체제로 ‘휴가철을 맞은 혹서기 편성’으로 최대 적자로 재정 위기 상황을 맞아 특선다큐멘터리 (저녁 7시 10분 ~ 8시 5분) 특집 편성의 결방으로 2주일 연속 연기되었다.
  • 9월 22일 : KBS 뉴스특보 《태풍 타파(수화)》/ 2안 긴급뉴스 및 뉴스특보의 결방으로 1주일 연기(2019년 9월 22일)
2020년
  • 2월 23일  : KBS 뉴스특보《‘코로나19’ 확진자 46명 추가… 총 602명(수화)》 (19:00~21:00)의 2시간 편성되어 긴급뉴스 및 뉴스특보의 결방으로 1주일 연기
  • 3월 1일 : 19:15 ~ 20:05 KBS 공사창립 47주년 특집 및 《3.1절 특선 앙코르 소녀가 소녀에게(재)》 편성으로 인하여 결방

홈페이지 메뉴편집

  방송사 요청에 따라 VOD 서비스 추후 제공 불가
메뉴 분류 링크 비고
프로그램 소개 프로그램정보 링크
알려드립니다 링크
방송보기 미리보기 링크 [77][78]
다시보기 링크 [79][80]
TV클립 링크
매거진 역대 참가학교 링크 [81]
[82]
[83]
시청자참여 학교 출연신청 링크
나도 출제위원
시청자소감 링크

각주편집

  1. 프로그램 소개
  2. 학교 출연신청 게시판
  3. 명예의 전당 게시판
  4. KBS 78년과 공사창립 32주년 특집 경북 구미여고(46대 김유진,47대 김지혜-2인 동시 등극)가 편성되었다.
  5. 《2009 왕중왕전》의 패자부활 축하공연 이후 도중에 KBS 뉴스특보- 《원전 수주 성공》(앵커 김희수 아나운서)의 뉴스특보를 내보내면서 5분간 방송이 중단되었다.
  6. (900회 특집 역대 골든벨 최강전 1부) 방송분의 《KBS 뉴스특보》- 트럼프 싱가포르 곧 도착으로 인해 저녁 7시 ~ 밤 8시로 앞당겨 방송 시간이 변경되었다.
  7. 코로나19로 인해 방송 분량이 5분 축소되었으며, 회차 없이 스페셜 특집 1부(김홍성 아나운서(남자) 출연 및 게스트)로 대체하여 별도로 편성했다.
  8. 코로나19로 인해 방송 분량이 5분 축소되었으며, 회차 없이 1,000회 이상은 편성되지 않았으나 편성 취소로 공식적인 회차에 가산되지 않았으며, 2020년 6월 21일 온라인 특집(학교별 6부(학교별 3부)(충남 예산고) ~ 2020년 6월 28일 7부(학교별 4부)(경기창조고))로 대체하여 별도로 편성했다가 이후 방영 중단으로 방송 재개 미확정과 1,000회 특집 편성은 다음 해인 2021년 KBS 2TV로 이후 미확정이다.
  9. 2017년 어린이날 특집 편성 관계로 금요일로 앞당겨 55분동안 방송되었다.
  10. 2018년 4월 29일 (894회-경북 구미시 선산고 편) 방송분은 다시보기 불가이다.
  11. 2019년 10월 6일 (966회-한글날 특집 도전! 한글골든벨 5회 편) 방송분은 다시보기 불가이다.
  12. 코로나19로 인해 회차 없이 공식적인 회차에 가산되지 않았으며, 스페셜 특집(2부 ~ 3부) 하이라이트 편성으로 대체하여 별도로 편성했다.
  13. 코로나19로 인해 회차 없이 공식적인 회차에 가산되지 않았으며, 온라인 특집(참가 학교 - 소속 도전자별 및 학교별)로 참가 학교 - 소속 도전자별(2020년 5월 17일 ~ 2020년 5월 31일) 온라인 특집으로 대체하여 별도로 편성했다.
  14. 코로나19로 인해 회차 없이 공식적인 회차에 가산되지 않았으며, 온라인 특집(참가 학교 - 소속 도전자별 및 학교별)로 참가 학교 - 2020년 6월 7일(학교별 4부(학교별 1부)(울산 성광여고) ~ 2020년 6월 14일 5부(학교별 2부)(경부 경주 선덕여고))로 대체하여대체했으나 이 중 2020년 6월 14일 1,000회 특집은 편성되지 않았으나 편성 취소로 회차 가산되지 않았으며, 온라인 특집 5부(경북 경주 선덕여고)로 대체하여 별도로 편성하였다.
  15. 2010년 광복절 특집 통일골든벨 편성 관계로 1시간 앞당겨 방송되었다.
  16. 2018년 3월 18일 (888회 충북 음성 대소금왕고등학교(대금고등학교) - 최종문제:46번 탈락) 기준 - 2018 평창패럴림픽 중계방송(수화:조성현)으로 인해 저녁 6시 50분 ~ 저녁 7시 50분으로 20분 앞당겨 방송되었다.
  17. KBS 2TV가 방송채널을 변경하여 예정되어 있었으나 KBS 1TV를 유지하게 되며, 당초 2020년 9월 6일(편성 취소)에 오전 10시 50분 ~ 12시 10분에 방송시간을 변경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감염으로 인하여 방송시간 변경 취소로 인하여 2023년 코로나 종식으로의 방송시간의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40분 ~ 11시 50분을 변경하게 되었다.(이후 미확정)
  18. 1999년 가을 편성 조정으로 단독 첫 방송되었다.
  19. 1999년 연말 왕중왕전으로 1시간 15분 동안 편성되었다.
  20. 2000년 연말 왕중왕전으로 1시간 30분 동안 편성되었다.
  21. 100회 특집 2001년 왕중왕전은 90분동안 방송되었다.
  22. KBS 2TV의 2000년 봄 개편으로 인해 5분 확대로 편성되었다.
  23. KBS 2TV의 2001년 봄개편으로 인해 30분 앞당겨 1시간으로 편성되었다.
  24. 접속신세대 코너 당시 이후 독립편성 당시 現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남자MC, 당시 前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장 역임
  25. 1999년 KBS 노조파업으로 인하여, 1999년 7월 16일의 28회(접속! 신세대 37회)에서 대진고등학교 방송분은 김홍성 아나운서(現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아나운서 대신 김관동 前 아나운서가 진행하였다.
  26. 1999년 7월 23일의 29회(접속! 신세대 38회)에서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 방송분은 김홍성 아나운서(現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대신 김성수 前 아나운서가 진행하였다.
  27. 출신 학교(서울 대성고)에 2001년 학교가 참가한 적이 있었다.
  28. 접속! 신세대 코너 및 독립편성 이후 첫진행, 2007년 11월 25일 방송분 400회 특집 전국고교최장전, 800회 특집 서울 송파구 한림연예예술고 편, 2020년 4월 12일 특집 도전 골든벨 스페셜 1부(회차 없이 편성), 5월 10일특집 도전 골든벨 스페셜 5부 여자MC 김보민 아나운서와 같이 잠시 출연
  29. 김홍성 아나운서의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00년 3월 3일 방송분의 공사창립 27주년 특집 <금강산 가는길> 편은 김재원(21기) 아나운서(現 아침마당 남자MC 진행)가 대신 진행했으며, 건강문제로 불참으로 인하여, 2000년 4월 14일, 4월 21일 방송분은 신영일(24기) 前 아나운서(퀴즈 대한민국 前 MC · 프리선언 이후 EBS-TV 장학퀴즈 前 MC)가 대신 진행하였다.
  30. 6시 내고향 남자 MC
  31. 김영진 성우의 휴가로 인하여 2001년 10월 26일 방송분 <107회 경북 안동고(1회 첫도전)>은 이원준 성우가 대신 내레이션을 했다.
  32. 2007년 11월 25일 방송분 400회 특집 전국고교최장전, 2020년 5월 10일 방송분 회차 없음 - 스페셜 5부(역대 MC별 5부)에도
  33. 독립편성 1TV 방송시간 채널 옮겨 변경 이후 재진행, 現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남자MC, 당시 前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장 역임
  34. 김홍성 아나운서(現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두 번째) 남자 MC 컴백했으나 진행 외 다른 남자 아나운서(이씨 남자 아나운서 등 다수)의 MC의 새 MC를 진행하지 않았다.
  35. 4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에도 잠시 출연, 800회 특집 서울 한림연예예술고에도 잠시 출연했다.
  36. 565회 방송분은 패자부활전이 끝나고 남자MC 물러남, 2012년 퇴사
  37. 2011년 2월 20일에 방송된 562회 천안오성고등학교편(최종문제:46번)에서 패자부활전이 끝난 뒤 물러났다.
  38. 800회 특집 서울 한림연예예술고에도 김홍성 아나운서와 같이 잠시 출연., 2020년 4월 12일 특집 도전 골든벨 스페셜 1부(회차 없이 편성) 에 잠시 출연했다.
  39. 지구촌 뉴스 남자앵커, 前 아나운서 · 방송인 박용호의 아들, 공채 30기 아나운서로 데뷔하여 호남제주권 지역의 제주총국 소속으로 근무하다가 2010년 본사에 이직했다.
  40. 특집 도전! 스페셜 편성(회차 없이 진행)
  41. 온라인 도전 골든벨 - 역대 도전자별(회차 없이 진행)
  42. 1999년 KBS 노조파업으로 인하여, 1999년 7월 16일의 28회(접속! 신세대 37회)에서 대진고등학교 방송분은·손미나(24기) 前 아나운서 대신 신성원 아나운서(24기 공채 아나운서 동기의 여자 MC 및 現 KBS 아침뉴스타임 여자앵커), 7월 23일의 29회(접속! 신세대 38회)에서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 방송분은 유애리 前 아나운서(前 KBS 월드뉴스)가 대신 진행하였다.
  43. 손미나 前 아나운서의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00년 3월 3일 방송분의 공사창립 27주년 특집 <금강산 가는길> 편은 백정원 아나운서실 라디오팀장(現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여자 재진행 MC 및 KBS 뉴스광장 토요일 여자앵커)이 대신 진행했으며, 문제를 출제하는 역할을 했으나 이후 문제 20여번에서 특별 게스트의 출연자 금강호 리셉션리스트 이덕심 씨 (직원)이 결선문제를 출제했다.
  44. 800회 특집 서울 한림연예예술고 편에서 잠시 출연하여 문제 출제했다.
  45. “+13 저널 응접실 * 제2TV '도전! 골든벨' 진행자 최원정 아나운서”. KBS 저널 2001년 8월호. 2001년 8월. 2015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1년 8월에 확인함. 
  46. 2020년 4월 19일 방송분 회차 없음 - 스페셜 2부(역대 MC별 2부)에도 잠시 출연
  47. 축구선수 김남일의 부인과 아들 김서우를 둠,現 제1라디오 라디오전국일주 진행자
  48. 보도자료 (2007년 5월). “김보민 아나운서, 20일 ‘도전골든벨’ 마지막 방송”. KBS 공식 블로그 MYloveKBS. 
  49. 2014년 퇴사 후 방송인이 됨
  50. 보도자료 (2007년 5월 22일). “<도전 골든벨> 새 MC 오정연 아나운서”. KBS 공식 블로그 MYloveKBS. 2007년 5월 2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1. 보도자료 (2007년 5월 22일). “오정연 아나운서 첫 방 녹화 소감 및 각오”. KBS 공식 블로그 MYloveKBS. 2007년 5월 2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2. 2020년 1월 초 퇴사, 現 국악TV 일상에 문화를 더하다 여자MC, [문화n공감] · 現 JTBC 닥터홈즈 여자MC
  53. 보도자료 (2008년 11월 6일). “도전 골든벨 새 MC 결정”. KBS 공식 블로그 MYloveKBS. 2016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6일에 확인함. 
  54. 2012년 육아문제로 임시진행 없이 이후 2016년 퇴사, 現 유튜버 활동중
  55. '도전 골든벨' 차다혜 아나운서 '우아한 3월의 신부'. 《세상을 여는창》. 2012년 3월 5일.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5일에 확인함. 
  56. 現 6시 내고향 여자MC ·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여자MC(이상 2개의 프로그램 출산휴가 이후 재개함)
  57. 이나희 기자 (2012년 10월 12일). “가애란 골든벨 새MC 발탁...차다혜 '하차'. 《시사1번지》.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58. 보도자료 (2012년 10월 12일). “<도전골든벨 새 MC/가애란 아나운서>”. KBS 공식 블로그 MYloveKBS. 2016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59. <도전골든벨 새 MC/가애란 아나운서>
  60. 멘사 소유를 가진 여자 아나운서
  61. '야구여신' 정지원 아나운서, '골든벨' 새 MC 발탁”. 《조선일보》. 2013년 1월 3일. 2013년 1월 3일에 확인함. 
  62. 보도자료 (2013년 1월 3일). “도전 골든벨 새 MC! KBS의 새로운 얼굴! 정지원 아나운서”. KBS 공식 블로그 MYloveKBS. 2016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3일에 확인함. 
  63. KBS 뉴스 5 여자 앵커, 6시 내고향의 최후의 임시 여자MC 마지막
  64. “[단독] '도전골든벨' MC 교체, 정지원 아나운서 하차…전주리 아나운서 투입”. 2012년 11월. 
  65. 영화가 좋다 여자MC, 現 KBS 뉴스 7 여자 앵커
  66. 10월 7일이 아닌 9월 30일로 마지막 여자MC의 방송일 앞당겨 변경
  67. 박소현(42기)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2017년 여학생이 울리지 않았으나 2018년 여학생이 1회 울렸다. 그리고 2017년 파업으로 인하여 왕중왕전에 참여하지 않았다.
  68. 10월 14일이 아닌 10월 7일로 새 여자MC의 방송일 앞당겨 변경
  69. MBN 아나운서 출신, 2020년 9월 이후 퇴사
  70. 누가누가 잘하나 한국인 마지막 아나운서 여자MC의 최후의 진행자, 現 KBS 뉴스 9 평일 여자 앵커 · 現 우리말 겨루기 여자MC
  71. 특집 도전! 스페셜 편성(회차 없이 진행)
  72. 온라인 도전 골든벨 - 역대 도전자별(회차 없이 진행)
  73. 온라인 도전 골든벨 - 학교별(회차 없이 진행)
  74. 박하선, 고교시절 '골든벨'서 김보민과 미모대결《세계일보》2011.08.19. 작성
  75. 강지영, 교복에 민낯으로 공중파 출연...“용기있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TV리포트 2010.10.25. 작성
  76. 전현매 기자 조인성이 `도전 골든벨`에 떴다? "여자친구는 아쉽게도 없어요"| 매일경제 2011.5.9. 작성
  77. 2018년 이후 미리보기 가능(2018년 6월 3일~2020년 4월 5일(해당 참가학교), 2020년 4월 12일 ~ 2020년 6월 28일(회차 없이 특집 스페셜 및 온라인 특집 - 역대 도전자별 및 학교별) 미리보기 가능(2018년 6월 3일~ ~ 2020년 4월 5일, 2020년 4월 12일 ~ 2020년 6월 28일(회차 없이 특집 스페셜 및 온라인 특집 - 역대 도전자별 및 학교별)(해당 방송일 이후 기준)
  78. 미리보기의 동영상 예고편에 나오지 않고 있음
  79. 2017년 이후 다시보기 가능,그외 2000년 3월 31일 ~ 2016년 12월 25일 다시보기 없음(검색 해본 결과 "찾으시는 다시보기 영상이 없습니다." 나옴)(2017년 1월 8일~2020년 4월 5일(해당 참가학교), 2020년 4월 12일 ~ 2020년 6월 28일(회차 없이 특집 스페셜 및 온라인 특집 - 역대 도전자별 및 학교별))(해당 방송일 이후 기준)
  80. 2018년 6월 3일 ~ 2020년 4월 5일(해당 참가학교), 2020년 4월 12일 ~ 2020년 6월 28일(회차 없이 특집 스페셜 및 온라인 특집 - 역대 도전자별 및 학교별) 미리보기 가능(2018년 6월 3일~ ~ 2020년 4월 5일, 2020년 4월 12일 ~ 2020년 6월 28일)(해당 방송일 이후 중단 기준)
  81. 해당 연도 상,하반기 참가 학교 수록(2009년~2012년)(2009년 1월 4일~2012년 9월 23일)(해당 방송일 기준) 그외 1999년 ~ 2008년, 2012년 9월 30일까지 이후 2013년 ~ 2019년(거의 7년), 2020년(이후 참가 중단) 리스트가 나오지 않고 있음(검색결과시 "게시글이 없습니다" 나옴)
  82. 매거진 속의 <명예의 전당> 없음
  83. 2004년 10월 26일부터 <기출문제>메뉴는 저작권 문제로 기출문제를 삭제하여 이후 없어졌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