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론 에서 딜워스의 정리 (Dilworth의定理, 영어 : Dilworth’s theorem )는 부분 순서 집합 의 반사슬 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리다.
부분 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q )}
의 높이 (영어 : height )는
P
{\displaystyle P}
속의 사슬(부분 전순서 집합 )의 크기 의 상한 이다. 즉, 다음과 같다.
height
P
=
sup
{
n
:
x
1
<
⋯
<
x
n
,
{
x
0
,
…
,
x
n
}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height} P=\sup \left\{n\colon x_{1}<\cdots <x_{n},\;\{x_{0},\dots ,x_{n}\}\subseteq P\right\}}
부분 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q )}
의 너비 (영어 : width )는
P
{\displaystyle P}
속의 반사슬 의 크기 의 상한 이다. 즉, 다음과 같다.
width
P
=
sup
{
|
S
|
:
S
⊆
P
,
s
∥
s
′
∀
s
,
s
′
∈
S
}
∈
Z
+
∪
{
0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th} P=\sup \left\{|S|\colon S\subseteq P,\;s\parallel s'\forall s,s'\in S\right\}\in \mathbb {Z} ^{+}\cup \{0,\infty \}}
(여기서
s
∥
s
′
{\displaystyle s\parallel s'}
은 두 원소가 비교 불가능임을 뜻한다.)
임의의 부분 순서 집합
P
{\displaystyle P}
에 대하여,
P
{\displaystyle P}
를 사슬들로 분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할의 최소 크기를
c
(
P
)
{\displaystyle c(P)}
라고 하자. 또
P
{\displaystyle P}
를 반사슬 들로도 분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할의 최소 크기를
a
(
P
)
{\displaystyle a(P)}
라고 하자. 한원소 집합 은 사슬이자 반사슬이므로, 자명하게
c
(
P
)
≤
|
P
|
{\displaystyle c(P)\leq |P|}
a
(
P
)
≤
|
P
|
{\displaystyle a(P)\leq |P|}
이다.
딜워스의 정리 에 따르면, 만약 부분 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q )}
의 너비가 유한하다면, 이는
c
(
P
)
{\displaystyle c(P)}
와 같다.[ 1] :303 반대로, 미르스키의 정리 (영어 : Mirsky’s theorem )에 따르면, 만약
P
{\displaystyle P}
의 높이가 유한하다면, 이는
a
(
P
)
{\displaystyle a(P)}
와 같다.
width
P
<
ℵ
0
⟹
width
P
=
c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th} P<\aleph _{0}\implies \operatorname {width} P=c(P)}
height
P
<
ℵ
0
⟹
height
P
=
a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height} P<\aleph _{0}\implies \operatorname {height} P=a(P)}
이 정리들은 무한한 너비 또는 높이의 부분 순서 집합에 대하여 기수 로서 성립하지 않는다.[ 2]
부분 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q )}
속의 사슬
C
⊆
P
{\displaystyle C\subseteq P}
및 반사슬
A
⊆
P
{\displaystyle A\subseteq P}
에 대하여
|
A
∩
C
|
≤
1
{\displaystyle |A\cap C|\leq 1}
이다. 따라서, 만약
P
{\displaystyle P}
를 사슬
{
C
i
}
i
∈
I
{\displaystyle \{C_{i}\}_{i\in I}}
들로 분할 하였을 때, 각 반사슬
A
⊆
P
{\displaystyle A\subseteq P}
에 대하여
|
C
i
∩
A
|
≤
1
{\displaystyle |C_{i}\cap A|\leq 1}
이므로
|
A
|
≤
|
I
|
{\displaystyle |A|\leq |I|}
이며, 즉
width
P
≤
c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th} P\leq c(P)}
이다.[ 1] :303 반대로, 만약
P
{\displaystyle P}
를 반사슬
{
A
j
}
j
∈
J
{\displaystyle \{A_{j}\}_{j\in J}}
들로 분할 하였을 때, 각 사슬
C
⊆
P
{\displaystyle C\subseteq P}
에 대하여
|
C
∩
A
j
|
≤
1
{\displaystyle |C\cap A_{j}|\leq 1}
이므로
|
C
|
≤
|
J
|
{\displaystyle |C|\leq |J|}
이며, 즉
height
P
≤
a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height} P\leq a(P)}
이다.
따라서, 딜워스의 정리와 미르스키의 정리에서 자명하지 않은 것은 반대 방향의 부등식이다. 이 경우, 두 정리의 증명은 매우 다르다.
딜워스의 정리의 증명은 쾨니그의 정리 를 이용한 기법 등 여러 방법이 있다. 만약
P
{\displaystyle P}
가 유한 집합 일 경우, 미카 아셰르 페를레스(히브리어 : מִיכָה אָשֵׁר פרלס , 1936~)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증명을 제시하였다.[ 3] [ 1] :303–304
유한 부분 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q )}
가 주어졌다고 하자.
P
{\displaystyle P}
의 극대 원소 들의 집합을
m
a
x
e
l
e
m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x\,elem} (P)}
, 극소 원소 들의 집합을
m
i
n
e
l
e
m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min\,elem} (P)}
라고 하자. 이들은 각각 반사슬 을 이룬다.
집합의 크기 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 을 사용하자. 우선, 딜워스의 정리는 한원소 집합 인 부분 순서 집합 에 대하여 자명하게 성립한다. 이제 딜워스의 정리가 크기
|
P
|
{\displaystyle |P|}
미만의 모든 부분 순서 집합 에 대하여 대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크기
width
P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th} P}
의 반사슬은 모두
m
a
x
e
l
e
m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x\,elem} (P)}
과 같거나,
m
i
n
e
l
e
m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min\,elem} (P)}
와 같다.
m
a
x
e
l
e
m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x\,elem} (P)}
및
m
i
n
e
l
e
m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min\,elem} (P)}
와 같지 않은, 크기
width
P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th} P}
의 반사슬
A
⊆
P
{\displaystyle A\subseteq P}
가 존재한다.
1의 경우,
a
≤
b
{\displaystyle a\leq b}
인
a
∈
m
i
n
e
l
e
m
(
P
)
{\displaystyle a\in \operatorname {min\,elem} (P)}
와
b
∈
m
a
x
e
l
e
m
(
P
)
{\displaystyle b\in \operatorname {max\,elem} (P)}
를 찾을 수 있다. (그렇지 아니하다면 크기가
width
P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th} P}
보다 더 큰 반사슬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이다.)
P
∖
{
a
,
b
}
{\displaystyle P\setminus \{a,b\}}
의 최소 사슬 분할
P
∖
{
a
,
b
}
=
⨆
i
=
1
c
(
P
∖
{
a
,
b
}
)
C
i
{\displaystyle P\setminus \{a,b\}=\bigsqcup _{i=1}^{c(P\setminus \{a,b\})}C_{i}}
이 주어졌을 때
P
=
{
a
,
b
}
⊔
⨆
i
=
1
c
(
P
∖
{
a
,
b
}
)
C
i
{\displaystyle P=\{a,b\}\sqcup \bigsqcup _{i=1}^{c(P\setminus \{a,b\})}C_{i}}
는
P
{\displaystyle P}
의 사슬 분할이므로,
P
∖
{
a
,
b
}
{\displaystyle P\setminus \{a,b\}}
에 딜워스의 정리를 적용하면
c
(
P
)
≤
c
(
P
∖
{
a
,
b
}
)
+
1
=
width
(
P
∖
{
a
,
b
}
)
+
1
=
width
P
{\displaystyle c(P)\leq c(P\setminus \{a,b\})+1=\operatorname {width} (P\setminus \{a,b\})+1=\operatorname {width} P}
이다.
2의 경우, 다음과 같은 두 부분 집합
A
±
⊊
P
{\displaystyle A_{\pm }\subsetneq P}
를 정의하자.
A
+
=
{
x
∈
P
:
∃
a
∈
A
:
x
≥
a
}
{\displaystyle A_{+}=\{x\in P\colon \exists a\in A\colon x\geq a\}}
A
−
=
{
x
∈
P
:
∃
a
∈
A
:
x
≤
a
}
{\displaystyle A_{-}=\{x\in P\colon \exists a\in A\colon x\leq a\}}
width
(
A
+
)
=
width
(
A
−
)
=
|
A
|
=
width
P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th} (A_{+})=\operatorname {width} (A_{-})=|A|=\operatorname {width} P}
A
+
⊊
P
⊋
A
−
{\displaystyle A_{+}\subsetneq P\supsetneq A_{-}}
A
+
∩
A
−
=
A
{\displaystyle A_{+}\cap A_{-}=A}
A
±
{\displaystyle A_{\pm }}
에 딜워스의 정리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사슬 분해를 얻는다고 하자.
A
±
=
⨆
a
∈
A
C
±
(
a
)
{\displaystyle A_{\pm }=\bigsqcup _{a\in A}C_{\pm }(a)}
max
C
−
(
a
)
=
a
=
min
C
+
(
a
)
{\displaystyle \max C_{-}(a)=a=\min C_{+}(a)}
그렇다면
P
{\displaystyle P}
의 사슬 분해
P
=
⨆
a
∈
A
(
C
+
(
a
)
∪
C
−
(
a
)
)
{\displaystyle P=\bigsqcup _{a\in A}(C_{+}(a)\cup C_{-}(a))}
를 얻는다. 즉,
c
(
P
)
≤
|
A
|
=
width
P
{\displaystyle c(P)\leq |A|=\operatorname {width} P}
가 된다.
미르스키의 정리의 증명은 딜워스의 정리의 증명보다 더 간단하다.
P
{\displaystyle P}
가 유한한 높이의 부분 순서 집합 이라고 하자. 원소
x
∈
P
{\displaystyle x\in P}
에 대하여,
N
(
x
)
{\displaystyle N(x)}
가
x
{\displaystyle x}
를 최대 원소 로 하는 사슬의 길이의 최댓값이라고 하자. 이는 함수
N
:
P
→
N
{\displaystyle N\colon P\to \mathbb {N} }
을 정의한다.
그렇다면, 각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의 원상
N
−
1
(
n
)
⊆
P
{\displaystyle N^{-1}(n)\subseteq P}
은 반사슬 을 이루며, 이들은
P
{\displaystyle P}
의 분할 을 이룬다.
P
=
⨆
n
=
0
∞
N
−
1
(
n
)
{\displaystyle P=\bigsqcup _{n=0}^{\infty }N^{-1}(n)}
따라서
a
(
P
)
≤
height
(
P
)
{\displaystyle a(P)\leq \operatorname {height} (P)}
이다.
딜워스의 정리는 미국 의 수학자 로버트 파머 딜워스(영어 : Robert Palmer Dilworth , 1914~1993)가 1950년 논문에서 처음 제시하였다.[ 1] :303 [ 4]
미르스키의 정리는 러시아 태생의 영국 수학자 레오니트 미르스키(러시아어 : Леонид Мирский , 영어 : Leonid Mirsky , 1918~1983)가 1971년에 증명하였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