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제국 육군
러시아 제국의 지상전 분파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9월) |
러시아 제국군(러시아어: Ру́сская импера́торская а́рмия 루스카야 임페라토르스카야 아르미야[*])은 1721년에서 1917년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의 육군이다.[1]
Ру́сская импера́торская а́рмия | |
---|---|
![]() 배지 | |
후신 | 붉은 군대 |
국적 | ![]() |
지도부 | |
명령체계 | 스티브카 |
본부 | 스티브카 |
총사령관 |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초대) |
총참모장 | 카벨 가브릴로비치 가가린 (초대) |
인사 | |
충원방식 | 징병제 |
병력 | 1,000,000 ~ 1,300,000 명 (1913년) 예비 병력 포함 15,000,000 명 이상 (1914년) |
예비군 | 21세 ~ 43세 |
군사비 | |
예산 | 3억 2,560만 루블 (1902년) |
지휘 체계
편집이 군대의 주요 지도자는 1808년까지는 황족이나 몇몇 귀족들이었다. 이 군대는 1808년에 육군성을 설치하였으며, 1815년에는 전쟁성으로 이름을 고친다. 그 이후 황족이 아닌 사람들이 전쟁성 장관을 맡게 되었다. 해군은 1815년에 해군성을 따로 설치하여 해군성의 통제를 받았다. 그러나 최고 사령관은 엄연히 황제(차르)가 맡았다.
참모 학교(러시아어: Академия генерального штаба, Akademiya general'nogo shtaba)는 1832년에 설립되었다. 러시아 제국군은 정규군, 카자크 부대, 무슬림 부대, 국가 민병대로 분류되었다.
계급 제도
편집다음 표에 등장하는 계급장은 제1 네바 보병연대의 계급장이다.[2]
계급 | ||||
---|---|---|---|---|
보병 | 포병 | 기병 | 카자크 | 계급장 |
일반 야전사령관 (General-feldmarshal) | ||||
보병 장군 | 포병 장군 | 기병 장군 | ||
장군 (중장) | ||||
장군 (소장) | ||||
볼코프니크 (대령) | ||||
포드볼코프니크 (중령) | 포드볼코프니크 (중령, 1884년 폐지)
보이스코바이 스타시나(1885년 신설) |
|||
마요르 (소령) | 보이스코바이 스타시나 (소령) | |||
카피탄 (대위, 1884년 신설) | 로트미스트르 (기병대위, 1884년 신설) | 이사울 (1884년 신설) | ||
스타브스-카피탄 | 스타브스 로트미스트르 | 포디이사울 | ||
포루치크 (전시만 해당) | ||||
포드포루치크 | 코네트 | 코룬지 | ||
프라포르쉬치크 (전시만 해당) | ||||
자우랴드 프라포르시치크 | ||||
포드프라포르쉬치크 | 포드코룬지 | |||
펠드페벨 (상사) | 바흐미스트르 | |||
스타시 운터-오피처 (상등병) | 스타시 페예르베르케르 | 스타시 운터-오피처 | 스타시 우랴드니크 | |
믈라드시 운터-오피처 (하급 상등병) | 믈라드시 페예르베르케르 | 믈라드시 운터-오피처 | 믈라드시 우랴드니크 | |
예페이토르 (게프라이터) | 프리카스니 | |||
랴도보이 (이등병) | 포병 | 랴도보이 (후사르) | 카자크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ndbook of the Russian Army, London (1914). 《General Staff, War Office》. All pages쪽.
-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uniforms and insignia”. 2024년 2월 10일에 확인함.